노루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루아과는 사슴과의 아과로, 노루족, 말코손바닥사슴족, 흰꼬리사슴족으로 분류된다. 노루족에는 노루속과 고라니속이 속하며, 말코손바닥사슴족에는 말코손바닥사슴속이, 흰꼬리사슴족에는 순록속, 흰꼬리사슴속, 늪사슴속, 안데스사슴속, 마자마사슴속, 팜파스사슴속, 푸델라속, 푸두속 등이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노루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apreolinae |
명명자 | Brookes, 1828 |
이명 | Neocervinae Carette, 1922 Odocoileinae Pocock, 1923 |
화석 범위 | 중기 마이오세 ~ 현재 |
하위 분류 | |
속 | Alces Blastocerus Capreolus Hippocamelus Hydropotes Mazama Odocoileus Ozotoceros Pudella Pudu Rangifer |
2. 하위 분류
노루아과는 크게 노루족, 말코손바닥사슴족, 흰꼬리사슴족으로 분류된다.[3][4][5][6][7]
- 노루족(Capreolini)
- * 노루속(''Capreolus'')
- ** 서부 노루 (''C. capreolus'')
- ** 동부 노루 (''C. pygargus'')
- * 고라니속(''Hydropotes'')
- ** 물사슴 (''H. inermis'')
- 말코손바닥사슴족(Alceini)
- * 말코손바닥사슴속(''Alces'')
- ** 말코손바닥사슴 (''A. alces'')
- ** †갈리아 말코손바닥사슴 (''A. gallicus'')
- 흰꼬리사슴족(Odocoileini)
- * 순록속(''Rangifer'')
- ** 순록 (''R. tarandus'')
- * 흰꼬리사슴속(''Odocoileus'')
- ** 검은꼬리사슴 (''O. hemionus'')
- ** 흰꼬리사슴 (''O. virginianus'')
- ** 유카탄갈색브로켓 (''O. pandora'')
- ** †아메리카산사슴 (''O. lucasi'')
- * 늪사슴속(''Blastocerus'')
- ** 늪사슴 (''B. dichotomus'')
- * 안데스사슴속(''Hippocamelus'')
- ** 타루카 (''H. antisensis'')
- ** 남부 안데스 사슴 (''H. bisulcus'')
- * 마자마사슴속(''Mazama'')
- ** 회색브로켓 (''M. gouazoubira'')
- ** 북부 베네수엘라 브로켓 (''M. cita'', 일부 학자들은 ''M. gouazoubira''의 아종으로 간주)
- ** 에콰도르 브로켓 (''M. murelia'', 일부 학자들은 ''M. gouazoubira''의 아종으로 간주)
- ** 산호세섬 브로켓 (''M. permira'', 일부 학자들은 ''M. gouazoubira''의 아종으로 간주)
- ** 콜롬비아 브로켓 (''M. sanctaemartae'', 일부 학자들은 ''M. gouazoubira''의 아종으로 간주)
- ** 브라질 브로켓 (''M. superciliaris'', 일부 학자들은 ''M. gouazoubira''의 아종으로 간주)
- ** 페루 브로켓 (''M. tschudii'', 일부 학자들은 ''M. gouazoubira''의 아종으로 간주)
- ** 로돈 (''M. rondoni'', 일부 학자들은 ''M. gouazoubira''의 아종으로 간주)
- ** 아마존갈색브로켓 (''M. nemorivaga'')
- ** 중앙아메리카 붉은브로켓 (''M. temama'')
- ** 작은붉은브로켓 (''M. bororo'')
- ** 난쟁이브로켓 (''M. chunyi'')
- ** 피그미브로켓 (''M. nana'')
- ** 메리다브로켓 (''M. bricenii'')
- ** 작은붉은브로켓 (''M. rufina'')
- ** 아메리카 붉은브로켓 (''M. americana'') (이 종은 다른 브로켓보다 ''Odocoileus''에 더 가깝다는 것이 밝혀졌다.)[6]
- ** 에콰도르 붉은브로켓 (''Mazama gualea'', 일부 학자들은 ''M. americana''의 아종으로 간주)
- ** 브라질 붉은브로켓 (''M. jucunda'', 일부 학자들은 ''M. americana''의 아종으로 간주)
- ** 유카탄갈색브로켓 (''M. pandora'')
- ** 트리니다드 붉은브로켓 (''M. trinitatis'', 일부 학자들은 ''M. americana''의 아종으로 간주)
- ** 남부 붉은브로켓 (''Mazama whitelyi'', 일부 학자들은 ''M. americana''의 아종으로 간주)
- ** 페루 붉은브로켓 (''Mazama zamora'', 일부 학자들은 ''M. americana''의 아종으로 간주)
- ** 콜롬비아 붉은브로켓 (''Mazama zetta'', 일부 학자들은 ''M. americana''의 아종으로 간주)
- * 팜파스사슴속(''Ozotoceros'')
- ** 팜파스사슴 (''O. bezoarticus'')
- * 푸델라속(''Pudella'')
- ** 페루융가스푸두(''Pudella carlae'')
- ** 북부푸두 (''P. mephistophiles'')
- * 푸두속(''Pudu'')
- ** 남부푸두 (''P. pudu'')
2. 1. 노루족 (Capreolini)
노루족(Capreolini)은 노루속(''Capreolus'')과 고라니속(''Hydropotes'')을 포함한다.[3][4][5][6][7]- '''Capreolus속'''
- 서부 노루(''C. capreolus'')
- 동부 노루(''C. pygargus'')
- '''Hydropotes속'''
- 물사슴(''H. inermis'')
2. 2. 말코손바닥사슴족 (Alceini)
말코손바닥사슴족(Alceini)은 말코손바닥사슴속(''Alces'')을 포함한다.[3][4][5][6][7] 말코손바닥사슴속에는 말코손바닥사슴(또는 유라시아 엘크)(''A. alces'')과 †갈리아말코손바닥사슴( ''A. gallicus'')이 있다.2. 3. 흰꼬리사슴족 (Odocoileini)
흰꼬리사슴족(Odocoileini)은 순록속(Rangifer), 흰꼬리사슴속(Odocoileus), 늪사슴속(Blastocerus), 안데스사슴속(Hippocamelus), 마자마사슴속(Mazama), 팜파스사슴속(Ozotoceros), 푸두속(Pudu)을 포함한다.[3][4][5][6][7]순록속(''Rangifer'')에는 순록(R. tarandus)이 속한다.
흰꼬리사슴속(''Odocoileus'')에는 검은꼬리사슴(O. hemionus), 흰꼬리사슴(O. virginianus), 유카탄갈색브로켓(O. pandora)이 속하며, 멸종된 아메리카산사슴(O. lucasi)도 포함된다.
늪사슴속(''Blastocerus'')에는 늪사슴(B. dichotomus)이 속한다.
안데스사슴속(''Hippocamelus'')에는 타루카(H. antisensis)와 남부 안데스 사슴(H. bisulcus)이 속한다.
마자마사슴속(''Mazama'')에는 회색브로켓(M. gouazoubira)과 그 아종으로 간주되는 여러 종, 아마존갈색브로켓(M. nemorivaga), 중앙아메리카 붉은브로켓(M. temama), 작은붉은브로켓(M. bororo), 난쟁이브로켓(M. chunyi), 피그미브로켓(M. nana), 메리다브로켓(M. bricenii), 작은붉은브로켓(M. rufina), 붉은브로켓(M. americana)과 그 아종으로 간주되는 여러 종이 속한다. 붉은브로켓(M. americana)은 다른 브로켓보다 흰꼬리사슴속(Odocoileus)에 더 가깝다는 것이 밝혀졌다.[6]
팜파스사슴속(''Ozotoceros'')에는 팜파스사슴(O. bezoarticus)이 속한다.
푸델라속(''Pudella'')에는 페루융가스푸두(Pudella carlae)와 북부푸두(P. mephistophiles)가 속하며, 푸두속(''Pudu'')에는 남부푸두(P. pudu)가 속한다.
3. 계통 분류
참조
[1]
논문
The early Turolian (late Miocene) Cervidae (Artiodactyla, Mammalia) from the fossil site of Dron-Durkheim 1 (German) and implications on the origin of crown cervids
[2]
논문
Mitochondrial and nuclear phylogenies of Cervidae (Mammalia, Ruminantia): Systematics, morphology, and biogeography
2006-07
[3]
논문
A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phylogeny of the Cervinae: speciation in ''Cervus'' and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2001-02
[4]
논문
Evolution and phylogeny of old world deer
2004-12
[5]
문서
Alvarez D.
2007
[6]
논문
The surprising evolutionary history of South American deer
2008-10
[7]
웹사이트
A new perspective on Ungulate Taxonomy
http://www.ultimateu[...]
2013-01-23
[8]
서적
Order Artiodactyla
https://www.departm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9]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10]
논문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Cervidœ'', with a Synopsis of the existing Species
1878
[11]
간행물
シカ科動物の進化と社会・その課題
日本哺乳類学会
1986
[12]
간행물
ミトコンドリアゲノムに基づくニホンジカ(''Cervus nippon'')の分子系統
日本動物遺伝育種学会
2010
[13]
논문
The early Turolian (late Miocene) Cervidae (Artiodactyla, Mammalia) from the fossil site of Dron-Durkheim 1 (German) and implications on the origin of crown cervids
[14]
논문
Mitochondrial and nuclear phylogenies of Cervidae (Mammalia, Ruminantia): Systematics, morphology, and biogeography
[15]
논문
Pattern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of Cetartiodactyla (Mammalia, Laurasiatheria), as revealed b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itochondrial genomes.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