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라 이치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무라 이치로는 일본 제국의 건축가로, 1895년 도쿄제국대학 조가학과를 졸업했다. 대만 총독부에서 기사로 근무했으며, 조선총독부 청사 건축설계 심사위원을 겸임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타이완 총독 관저(현 타이베이 영빈관), 국립 타이완 박물관, 조선총독부 청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건축가 - 이소자키 아라타
이소자키 아라타는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선구자로, 히로시마 원폭 경험을 바탕으로 전통과 현대의 융합을 추구하며 사회적 담론을 이끌었고, 국제적인 프로젝트와 건축계에 큰 영향을 미쳐 2019년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일본의 건축가이다. - 일본의 건축가 - 마키 후미히코
일본 건축가 마키 후미히코는 모더니즘과 일본 전통 건축의 조화를 추구하며 힐사이드 테라스, MIT 미디어랩 증축 건물 등 국내외 주요 건축물을 설계했고, 프리츠커 건축상, 미국건축가협회 금메달 등을 수상했다. - 19세기 일본 사람 - 우타가와 히로시게
우타가와 히로시게는 에도 시대 후기 우키요에 화가로, 풍경화 스타일을 확립하여 『도카이도 오십삼차』, 『에도 명소 백경』 등의 대표작을 남겼고 서양 인상파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9세기 일본 사람 - 주만 가나에
주만 가나에는 메이지 시대의 교육자이자 야구 선수로, "야구"라는 용어를 일본에 정착시키고 일본 최초의 야구 전문서를 출판하여 일본 야구 용어 표준화와 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며, 교육계에서도 활동한 인물이다. - 1868년 출생 - 펠릭스 호프만
펠릭스 호프만은 바이엘사 연구원으로 아스피린과 헤로인을 합성한 독일 화학자이며, 특히 아스피린은 아르투어 아이헨그륀의 지휘 아래 합성되어 진통, 해열, 항염증제로 널리 쓰였으나, 아이헨그륀의 역할 축소 및 호프만의 공로 과장 논란이 존재한다. - 1868년 출생 - 이용구
이용구는 동학 농민 운동에 참여하고 일본으로 망명하여 친일 활동을 하다가 시천교를 창설하고 한일 합방을 주도한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노무라 이치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노무라 이치로 (野村 一郞) |
로마자 표기 | Nomura Ichirō |
상세 정보 | |
출생 | 1908년 4월 20일 |
사망 | 1991년 12월 24일 (83세) |
출신지 | 일본 효고현 미카타군 무라오카정 (현재의 미카타군 가미정) |
학력 | 교토 대학 법학부 졸업 |
소속 | 자유민주당 |
경력 | |
직업 | 정치인 |
정당 | 자유민주당 |
주요 경력 | 내각총리대신 비서관 중의원 의원 방위청 장관 |
의원 배지 | 3선 |
2. 생애 및 경력
1895년 도쿄제국대학 조가학과를 졸업하고, 1900년 대만 총독부 민정부 토목과 기사로 근무를 시작했다. 이후 1902년 타이완 총독부 민정부 영선과 기사, 1904년에는 과장을 역임했다. 1907년 조선총독부 청사 건축설계 심사위원을 겸무했고, 1911년 타이페이시 시구계획위원을 겸무했다. 1912년 시게 쇼고로 건축사무소에서 일했으며, 1913년 하시모토 츠토무와 함께 무노무라 사무소를 공동 경영했다. 1926년 노무라 이치로 건축사무소를 개소했고, 1942년 사망했다.[1]
2. 1. 일본 및 대만에서의 활동 (1895년 ~ 1912년)
1895년(메이지 28년) 도쿄제국대학 조가학과(造家学科)를 졸업하였다. 동기생으로는 세키노 다다시(関野 貞일본어)가 있었다.[1]1900년(메이지 33년) 대만 총독부 민정부(民政部) 토목과(土木課) 기사(技師)가 되었다.[1]
1902년(메이지 35년) 타이완 총독부 민정부 영선과(営繕課) 기사가 되었다.[1]
1904년(메이지 37년) 타이완 총독부 민정부 영선과 기사 겸 과장이 되었다.[1]
1907년(메이지 40년) 조선총독부 청사 건축설계 심사위원을 겸무하였다.[1]
1911년(메이지 44년) 타이페이 시 시구계획위원을 겸무하였다.[1]
1912년(다이쇼 1년) 시게 쇼고로(茂 庄五郎일본어) 건축사무소(간사이에서 건축설계사무소를 개척)에서 일했다.[1]
2. 2. 건축사무소 개설 및 조선총독부 청사 설계 (1913년 ~ 1942년)
1912년(다이쇼 1년) 시게 쇼고로(茂 庄五郎일본어)가 간사이에서 건축설계사무소를 개척하였다.[1] 1913년(다이쇼 2년) 시게가 사망한 후, 하시모토 츠토무(橋本 勉)와 함께 시게노무라(茂野村) 사무소를 공동 경영하였다.[1] 1926년(쇼와 1년) 노무라 이치로 건축사무소를 개소하였다.[1] 1942년 (쇼와 17년)에 사망하였다.(향년 73세)[1]3. 주요 작품
- 타이완 총독 관저(현 타이페이 영빈관, 후쿠다 도고(福田東吾)・미야오 린(宮尾麟)과 공동 설계, 1901년, 타이베이시)
- 국립 타이완 박물관(1915년, 타이베이시)
- 동탁 빌딩(東託ビル일본어, 기코 코자부로(木子幸三郎)와 공동 설계, 1925년)
- 동양 빌딩(東洋ビルヂング일본어, 기코 코자부로・아베 미키시(阿部美樹志) 공동 설계, 1926년)
- 조선총독부 청사(게오르크 데 랄란데・구니에다 히로시(國枝 博일본어)와 공동 설계, 1926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1996년 철거)
- 오사카 시 전기국 승합자동차 우메다 제2차고(大阪市電気局乗合自動車梅田第二車庫일본어, 1931년, 현존하지 않음)
3. 1. 대만
- 1901년 타이베이시에 지어진 타이완 총독 관저(현재 타이페이 영빈관)는 후쿠다 도고(福田東吾)・미야오 린(宮尾麟)과 공동 설계하였다.
- 1915년 타이베이시에 지어진 국립 타이완 박물관을 설계하였다.
3. 2. 대한민국
1926년 게오르크 데 랄란데, 구니에다 히로시(國枝 博일본어)와 공동 설계한 조선총독부 청사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었으며, 1996년에 철거되었다.
3. 3. 일본
노무라 이치로는 일본에서 다음과 같은 건축물들을 설계했다.- 동탁 빌딩 (東託ビル일본어, 기코 코자부로(木子幸三郎)와 공동 설계, 1925년)
- 동양 빌딩 (東洋ビルヂング일본어, 기코 코자부로・아베 미키시(阿部美樹志) 공동 설계, 1926년)
- 오사카 시 전기국 승합자동차 우메다 제2차고 (大阪市電気局乗合自動車梅田第二車庫일본어, 1931년, 현존하지 않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