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퍽섬의 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퍽섬의 기는 1980년 1월 17일부터 시행된 법률에 따라 제정되었으며, 종횡비 1:2의 녹색, 흰색, 녹색의 수직 삼색기이다. 녹색은 노퍽섬의 풍부한 초목과 비옥한 토지를 상징하며, 팬톤 356 색상으로 지정되어 있다. 깃발 중앙에는 노퍽섬 소나무 그림이 위치해 있으며, 이는 섬의 고유종이자 공식 나무이다. 노퍽섬의 기는 캐나다, 네우켄 주, 나이지리아의 국기와 유사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퍽섬의 문화 - 노퍽어
노퍽어는 핏케언 섬 주민들이 노퍽섬으로 이주한 후 영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2004년 노퍽 아일랜드의 공식 언어가 되었으나 현재는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 오스트레일리아의 국기
오스트레일리아 국기는 영국 연방의 상징인 유니언 잭, 6개 주와 2개 준주를 뜻하는 연방의 별, 남십자자리를 나타내는 다섯 개의 별로 구성된 청색 바탕의 국기로, 국가의 역사와 지리적 위치, 정체성을 상징한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 크리스마스섬의 기
크리스마스섬의 기는 녹색과 파란색 배경에 섬의 지도, 남십자성, 보슨새를 담고 있으며, 1986년 디자인 공모전을 통해 제작되어 2002년 오스트레일리아의 날에 공식적으로 선포되었다. - 속령의 기 - 페로 제도의 기
페로 제도의 깃발은 흰색 바탕에 파란색 테두리가 있는 빨간색 노르딕 십자가로, 1919년 디자인되어 1940년 영국 점령 정부에 의해 사용이 승인된 후 1948년 덴마크 정부에 의해 공식 국기로 인정받았으며, 흰색은 바다의 거품과 하늘, 빨간색과 파란색은 북유럽 국가들과의 유대 관계를 상징하며 매년 4월 25일에 기념된다. - 속령의 기 - 올란드 제도의 기
올란드 제도의 기는 스웨덴 국기 디자인에 핀란드 국장의 색을 혼합하여 스웨덴과 핀란드와의 역사적 관계를 나타내며, 자치권 획득 후 1954년에 공식화되었다.
노퍽섬의 기 | |
---|---|
기본 정보 | |
용도 | 110000 |
비율 | 1:2 |
채택일 | 1979년 6월 9일 |
디자인 | 녹색 줄무늬 두 개 사이에 흰색 줄무늬가 있으며, 중앙에는 노퍽 섬 소나무(Araucaria heterophylla)가 그려져 있음. |
기호학 |
2. 역사
노퍽섬은 1774년 제임스 쿡에 의해 발견되었고, 1788년부터 영국의 정착이 시작되었다.[2][3] 초기에는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의 일부였으며, 두 차례에 걸쳐 죄수 식민지로 이용되었다.[2][3] 1856년에는 인구가 과밀해진 핏케언 제도 주민들이 이주해 왔고, 섬은 호주 본토와 분리된 별개의 정착지로 지정되었다.[2][3] 이후 1897년에 자치권을 잃었으며, ''1913년 노퍽섬 법''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의 특별 자치구로 편입되었다.[2] 1975년 왕립 위원회 설립 이후[2] 1979년에는 자체적인 입법 의회를 갖게 되었고,[2] 같은 해 노퍽섬의 국기와 공인에 관한 법안이 호주 의회에 제출되어 1980년에 국왕의 재가를 받았다.[4]
2. 1. 초기 역사
노퍽섬은 1774년 제임스 쿡이 남부 태평양으로 향하는 그의 두 번째 항해 중에 처음 발견했다. 1788년 3월,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의 일부로 정착민들이 섬으로 이주했다. 쿡은 섬의 노퍽섬 소나무(''Araucaria heterophylla'')가 배의 돛대로 유용할 것이라 생각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2][3]이 섬은 1814년까지, 그리고 1825년부터 1855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 죄수 식민지로 이용되었다.[2][3] 이후 1856년에는 인구가 너무 많아진 핏케언 제도의 주민들을 옮겨오는 데 사용되었고,[2][3] 같은 해 6월 24일 호주 본토와는 별개의 "독립된 정착지"로 지정되었다.[2] 그러나 1897년에 자치권을 잃고, 영국은 이 섬을 뉴사우스웨일스 주지사의 관리 아래 두었다. 이 섬은 ''1913년 노퍽섬 법''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에 특별 자치구로 편입되었지만, 당시 연방과의 정확한 헌법적 관계는 명확히 정해지지 않았다.[2]
1975년, 노퍽섬의 헌법적 지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왕립 위원회가 만들어졌다.[2] 4년 뒤인 1979년, 섬은 자체적인 입법 의회를 갖게 되었지만,[2] 연방 의회에는 대표를 보내지 못했다. ''1979년 노퍽섬 국기 및 공인 법''이 될 법안이 그 해 호주 의회에 제출되었고, 1980년 1월 17일에 국왕의 승인을 받았다.[4]
2. 2. 죄수 유배지 시대
이 섬은 1814년까지, 그리고 1825년부터 1855년까지 죄수 식민지로 사용되었다.[2][3]2. 3. 핏케언 제도 주민 이주
노퍽섬은 1814년까지, 그리고 1825년부터 1855년까지 영국의 죄수 식민지로 사용되었다.[2][3] 이후 1856년, 인구가 지나치게 늘어난 핏케언 제도의 주민들을 이곳으로 이주시켰다.[2][3] 이 이주에 따라 노퍽섬은 같은 해 6월 24일 호주 본토와는 별개인 "독립된 별개의 정착지"로 지정되었다.[2]2. 4.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특별 자치구 편입
1856년, 인구가 과밀해진 핏케언 제도 주민들이 이주하면서[2][3] 노퍽섬은 같은 해 6월 24일에 호주 본토와 분리된 "독립된 별개의 정착지"로 지정되었다.[2] 그러나 1897년에 자치권을 잃었고, 영국은 이 지역을 뉴사우스웨일스 주지사의 관할 하에 두었다. 이후 ''1913년 노퍽섬 법''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에 특별 자치구로 합류했지만, 당시 연방과의 정확한 헌법적 관계는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았다.[2]1975년, 노퍽섬의 헌법적 지위를 해결하기 위해 왕립 위원회가 설립되었다.[2] 4년 후인 1979년, 이 지역은 자체 입법 의회를 갖게 되었지만,[2] 연방 의회에는 대표를 두지 못했다. 같은 해 ''1979년 노퍽섬 국기 및 공인 법''이 될 법안이 호주 의회에 제출되었고, 1980년 1월 17일에 국왕의 재가를 받았다.[4]
2. 5. 자치권 획득과 현재
1856년, 인구가 과밀해진 핏케언 제도에서 사람들이 이주하면서[2][3] 노퍽섬은 같은 해 6월 24일 호주 본토와 분리된 "독립된 별개의 정착지"로 지정되었다.[2] 그러나 1897년에 자치권을 잃고, 영국은 이 지역을 뉴사우스웨일스 주지사의 관할 하에 두었다. 이 섬은 ''1913년 노퍽섬 법''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에 특별 자치구로 합류했지만, 당시 연방과의 정확한 헌법적 관계는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았다.[2]1975년에는 노퍽섬의 헌법적 지위를 해결하기 위해 왕립 위원회가 설립되었다.[2] 4년 후인 1979년, 이 지역은 자체 입법 의회를 부여받았으나,[2] 연방 의회에는 여전히 대표를 두지 못했다. ''1979년 노퍽섬 국기 및 공인 법''이 될 법안은 그 해 호주 의회에 제출되었고, 1980년 1월 17일에 국왕의 재가를 받았다.[4]
3. 노퍽섬의 기
오스트레일리아의 외부 영토인 노퍽섬을 상징하는 기이다. 1980년 1월 17일에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4] 녹색과 흰색의 수직 삼색기 형태로, 가운데 흰색 부분에는 섬의 상징인 노퍽섬소나무가 그려져 있다. 기의 녹색은 섬의 풍부한 식생을 나타낸다.[7] 이 기는 캐나다의 기와 디자인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7]
3. 1. 디자인
노퍽섬의 기는 1980년 1월 17일부터 시행된 연방법인 ''노퍽섬 기 및 공공 인장 법 1979''에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이 법은 기의 종횡비를 1:2로 규정하고 있다. 이 법은 기의 녹색에 대해 팬톤 색상 356을 지정하고 있으며, 흰색에 대해서는 더 자세한 내용을 제공하지 않는다.[4]색상 | 팬톤 색상 | RGB 변환 | 16진수 코드 |
---|---|---|---|
녹색 | 356[4][5] | 0-120-51[6] | #007833[6] |
흰색 | 미지정 |
3. 2. 색상
노퍽섬의 기는 1980년 1월 17일부터 시행된 연방법인 노퍽섬 기 및 공공 인장 법 1979에 자세히 명시되어 있다. 이 법은 기의 종횡비를 1:2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기에 사용된 녹색은 팬톤 색상 356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흰색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명시가 없다.[4]색상 | 팬톤 색상 | RGB 변환 | 16진수 코드 |
---|---|---|---|
녹색 | 356[4][5] | 0-120-51[6] | #007833[6] |
흰색 | 미지정 |
3. 3. 상징
노퍽 섬 국기의 색상과 상징은 문화적, 정치적, 지역적 의미를 담고 있다. 녹색은 노퍽 섬의 풍부한 초목과 비옥한 토지를 상징한다.[7] 노퍽 섬 소나무는 섬의 고유종이며,[7] 이 지역의 공식 나무이다.3. 4. 유사한 깃발
노퍽섬의 기는 캐나다의 기와 유사점을 지닌다. 두 깃발 모두 수직 삼색기 디자인에 단 두 가지 색상만을 사용하며, 중간 띠에 지역의 수목 상징을 담고 있다. 이 깃발은 또한 네우켄 주의 기와도 유사하다. 두 깃발 모두 두 가지 색상의 삼색기 디자인을 사용하며 아라우카리아 나무를 특징으로 한다. 노퍽섬의 기는 또한 녹색과 흰색의 삼색기를 유사하게 사용하는 나이지리아의 기와도 유사하다.[7]참조
[1]
서적
The Australian Flag: Colonial Relic or Contemporary Icon?
The Federation Press
1996
[2]
간행물
Norfolk Island – History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Inc.
2021-03-10
[3]
웹사이트
Norfolk Island National Park – History
https://parksaustral[...]
Government of Australia
2020-07-11
[4]
법률
Norfolk Island Flag and Public Seal Act 1979
http://www.norfolkis[...]
1980
[5]
웹사이트
Pantone 356 C
https://www.pantone.[...]
Pantone LLC
2021-11-12
[6]
웹사이트
Converting Pantone to RGB
https://www.namebadg[...]
Name Badges International
2021-11-12
[7]
웹사이트
Norfolk Island – Details
https://www.cia.gov/[...]
CIA
2021-06-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