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군·공주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논산군·공주군은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논산군과 공주군 선거구를 통합하여 신설된 선거구이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운영되었으며, 1986년 공주읍의 공주시 승격 및 소선거구제 재도입으로 논산군과 공주시·공주군 선거구로 분리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박찬, 이병주, 정석모, 임덕규, 김한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주시의 정치 - 공주시·연기군
공주시·연기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시 선거구와 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2년 연기군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공주시의 정치 - 공주군 을
1948년부터 1960년까지 존속한 공주군 을은 충청남도 공주군의 장기면, 의당면, 정안면, 우성면, 사곡면, 신풍면, 유구면을 관할했던 선거구로, 신방현, 김명동, 윤치영, 김달수, 김학준 등이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1963년 공주군 갑과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 논산시의 정치 -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충청남도 논산시, 계룡시, 금산군으로 구성된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선거구는 2004년 신설되어 이인제, 김종민 의원을 거쳐 2024년 황명선 의원이 당선되었다. - 논산시의 정치 - 논산시장 선거
논산시장 선거는 충청남도 논산시의 시장을 뽑는 선거로, 1995년 논산군수 선거로 시작하여 1998년부터 논산시장 체제로 바뀌었으며, 민선 초대 논산군수는 전일순, 3선 연임 시장은 황명선, 2022년 당선자는 백성현이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공주시·연기군
공주시·연기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시 선거구와 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2년 연기군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아산시 (선거구)
아산시 선거구는 1995년 아산시 출범과 함께 설치되어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아산시 갑, 아산시 을로 분구되면서 폐지되었다.
| 논산군·공주군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 선거구 정보 | |
| 이름 | 논산군·공주군 |
| 의회 | 국회 |
| 큰 지도 | 충청남도 |
| 연도 | 1973 |
| 폐지 | 1988 |
| 유형 | 국회 |
| 이전 선거구 | 논산군 공주군 |
| 이후 선거구 | 논산군 공주시·공주군 |
| 의원 수 | 2인 |
2. 역사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논산군 선거구와 공주군 선거구를 통합하면서 신설되었다.
1973년부터 1988년까지 논산군·공주군 선거구에서 당선된 역대 국회의원 목록은 다음과 같다.
1986년 1월 1일을 기해 공주군 공주읍이 공주시로 승격되었다. 또한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소선거구제가 재도입되었다. 이에 따라 논산군은 논산군 선거구를 형성했고 공주시, 공주군은 공주시·공주군 선거구를 형성하게 됨에 따라 각각 분리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선거 정당 1위 의원 정당 2위 의원 9대 총선 신민당 박찬 민주공화당 이병주 10대 총선 민주공화당 정석모 무소속 박찬 11대 총선 민주정의당 정석모 한국국민당 임덕규 12대 총선 민주정의당 정석모 신한민주당 김한수
3. 1. 역대 국회의원 명단 (제9대 ~ 제12대)
4. 역대 선거 결과
논산군·공주군 선거구에서는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1985년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총 네 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각 선거에서는 두 명의 국회의원이 선출되었다.
4. 1. 제9대 국회의원 선거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민당 박찬 후보와 민주공화당 이병주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박찬 | 신민당 | 43,857 | 30.85% |
| 이병주 | 민주공화당 | 42,088 | 29.60% |
| 오수득 | 무소속 | 26,038 | 18.31% |
| 박종배 | 무소속 | 12,342 | 8.68% |
| 김달수 | 민주통일당 | 11,866 | 8.34% |
| 김인영 | 무소속 | 5,960 | 4.19% |
| 합계 | 142,151 | ||
| 무효표 | 3,173 |
4. 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1978년)
1978년 12월 12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정석모 후보와 무소속 박찬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정석모 | 민주공화당 | 77,762 | 46.70 |
| 박찬 | 무소속 | 23,934 | 14.37 |
| 윤완중 | 신민당 | 17,329 | 10.40 |
| 백승대 | 민주통일당 | 12,736 | 7.64 |
| 임덕규 | 무소속 | 12,526 | 7.52 |
| 김형대 | 무소속 | 7,775 | 4.66 |
| 이희원 | 무소속 | 5,705 | 3.42 |
| 이종길 | 무소속 | 3,091 | 1.85 |
| 강병진 | 무소속 | 2,914 | 1.75 |
| 임길수 | 무소속 | 2,737 | 1.64 |
| 합계 | 166,509 | 100 | |
| 무효표 | 2,497 | - |
4. 3.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1981년)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정석모 후보와 한국국민당 임덕규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 정석모 | 민주정의당 | 74,552 | 45.67 |
| 임덕규 | 한국국민당 | 28,731 | 17.60 |
| 김태형 | 민권당 | 22,585 | 13.83 |
| 육순응 | 민주한국당 | 18,504 | 11.33 |
| 김영운 | 신정당 | 10,714 | 6.56 |
| 이성구 | 한국기민당 | 8,153 | 4.99 |
| 합계 | 163,239 | 100 | |
| 무효표 | 2,089 | - |
4. 4.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1985년)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정석모 후보와 신한민주당 김한수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정석모 | 민주정의당 | 91,479 | 50.79% |
| 김한수 | 신한민주당 | 39,135 | 21.73% |
| 조계형 | 무소속 | 18,176 | 10.09% |
| 박찬 | 민주한국당 | 15,310 | 8.50% |
| 임덕규 | 한국국민당 | 11,220 | 6.23% |
| 이성구 | 무소속 | 4,776 | 2.65% |
| 합계 | 180,096 | 1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