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라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놀라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 위치한 도시이다. 1911년 모로코-콩고 조약에 따라 독일 식민지가 되었다가 제1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에 의해 재정복되었다. 수면병이 오랫동안 문제였으며,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는 잘못된 예방 캠페인의 중심지였다. 2013년 셀레카군에 점령되었고, 2014년 안티 발라카 민병대에 의해 점령되어 무슬림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 2016년 반군으로부터 해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도시 - 방가수
방가수는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남동부, 콩고 민주 공화국 국경의 음보무강 북안에 위치한 도시로, 술탄국에서 프랑스 식민지 시대를 거쳐 음보무 현의 주도가 되었으며, 내전의 격변기를 겪었지만 야생 동물과 켐베 폭포 등의 관광 명소, 그리고 방가수 공항과 대성당이 있는 열대 사바나 기후 지역이다.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도시 - 베르베라티
베르베라티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 위치한 도시로, 1893년 설립되었으며 프랑스와 독일의 지배를 받았고, 열대 몬순 기후와 다양한 종교 시설, 국립 대학 병원, 그리고 장가-응도키 국립공원과 베르베라티 공항을 갖추고 있다.
놀라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놀라 |
기타 명칭 | 해당 없음 |
현지 명칭 | Nola |
별칭 | 해당 없음 |
위치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국가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행정 구역 | 상가-음바에레 주 |
하위 행정 구역 | 해당 없음 |
설립 | 해당 없음 |
아롱디스망 | 해당 없음 |
해발 고도 | 442m |
좌표 | 3°32'N 16°04'E |
행정 | |
하위 현 | 하위 현 |
정부 형태 | 해당 없음 |
하위 현 지사 | Janvier Seledonon |
면적 | |
총 면적 | 알 수 없음 |
육지 면적 | 알 수 없음 |
수역 면적 | 알 수 없음 |
인구 | |
총 인구 (2012년) | 41,462명 |
인구 밀도 | 알 수 없음 |
민족 구성 | 알 수 없음 |
종교 | 알 수 없음 |
기타 정보 | |
시간대 | 알 수 없음 |
UTC 오프셋 | 알 수 없음 |
우편 번호 유형 | 해당 없음 |
우편 번호 | 해당 없음 |
지역 번호 | 해당 없음 |
웹사이트 | 해당 없음 |
2. 역사
놀라는 20세기 초 독일과 프랑스의 식민 통치를 번갈아 겪었다. 1911년 모로코-콩고 조약에 따라 독일령 노이카메룬의 일부가 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가 지역 그바야족의 도움을 받아 다시 점령했다.[2] 식민지 시대 동안 수면병이 지역 사회의 주요 문제였으며, 프랑스 당국은 효과가 입증되지 않은 위험한 예방 캠페인을 실시하기도 했다.[3]
21세기 들어서는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내전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2013년 3월에는 셀레카 반군에게 점령되었고,[4] 이듬해인 2014년 2월에는 안티 발라카 민병대가 도시를 장악했다.[5] 이 과정에서 안티 발라카에 의한 무슬림 주민 학살이 발생하는 비극을 겪기도 했다.[6] 놀라는 2016년 9월이 되어서야 반군으로부터 해방되었다.[7]
2. 1. 식민지 시대
1911년, 모로코-콩고 조약에 따라 부아르 주변 지역과 함께 놀라는 프랑스로부터 독일에 양도되어 독일 식민지 노이카메룬의 일부가 되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프랑스는 이 지역을 다시 점령했다. 전쟁 중 지역 그바야족 족장 다디오는 프랑스군이 독일로부터 놀라를 되찾는 것을 돕기 위해 많은 카누를 제공했으며, 또 다른 족장 응구쿠 1세 역시 독일군에 맞서 싸우는 프랑스를 지원했다.[2]한편, 수면병은 오랫동안 놀라 주변 지역의 심각한 문제였다. 프랑스 식민 당국은 '로미디나화'(Lomidinisation프랑스어)라는 예방 캠페인을 시행했지만, 이는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매우 위험한 조치였다. 프랑스 콩고의 놀라와 요카두마는 이러한 잘못된 예방 접종 캠페인의 중심지가 되었다.[3]
2. 2.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내전
2013년 3월 28일 놀라는 셀레카군에 의해 점령되었다.[4] 2014년 2월 12일에는 안티 발라카 민병대가 도시를 점령했다.[5] 같은 해 2월, 놀라에서는 안티 발라카에 의해 무슬림 주민 17명이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으며, 살아남은 이들은 카메룬으로 피난해야 했다.[6] 2016년 9월, 놀라는 반군으로부터 해방된 것으로 선언되었다.[7]참조
[1]
웹사이트
Centrafrique : Décrets portant nomination des Gouverneurs, des Préfets et des Sous-Préfets
https://oubanguimedi[...]
Oubangui Medias
2024-06-05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Central African Republic
Rowman & Littlefield
2016
[3]
서적
The Lomidine Files: The untold story of a medical disaster in colonial Africa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7
[4]
웹사이트
Central African Republic Situation Report No. 9 (as of 28 March 2013)
https://reliefweb.in[...]
2013-03-28
[5]
웹사이트
IPIS Map CAR V3
https://www.ipisrese[...]
[6]
문서
Les Peuhls Mbororo de Centrafrique une communauté qui souffre
https://ccfd-terreso[...]
[7]
문서
KIMBERLEY PROCESS DECLARES THREE MORE ZONES IN CENTRAL AFRICAN REPUBLIC (CAR) AS ‘COMPLIANT ZONES’
https://www.thediamo[...]
2016-09-27
[8]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