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래기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놀래기속은 놀래기과에 속하는 어류의 한 속으로, 2024년 기준으로 80종이 인정된다. 이 속에는 태평양 검정놀래기, 얼룩꼬리청줄돔, 이색청줄돔, 황금청줄돔, 세이텐베라 등 다양한 종이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놀래기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 | |
학명 | Halichoeres |
명명자 | 뤼펠, 1835 |
모식종 | Halichoeres bimaculatus |
모식종 명명자 | 뤼펠, 1835 |
동의어 | |
동의어 목록 | Artisia (데 뷰포르, 1939) Biochoeres (쿠이터, 2010) Choerojulis (길, 1862) Guentheria (블레커, 1862) Hemitautoga (블레커, 1862) Hemiulis (스웨인슨, 1839) Iridio (조던 & 에버먼, 1896) Julichoeres (쿠이터, 2010) Octocynodon (파울러, 1904) Oxyjulis (길, 1863) Platyglossus (블레커, 1862) Pseudojulis (블레커, 1862) Pusa (조던 & 길버트, 1879) Sagittalarva (빅터, 알파로 & 소렌슨, 2013) Whitleychoeres (쿠이터, 2010) |
2. 종 목록
학명 | 한국어 명칭 | 비고 |
---|---|---|
Halichoeres adustus (C. H. 길버트, 1890) | 검은놀래기, 태평양검정놀래기 | |
Halichoeres aestuaricola (W. A. 버싱, 1972) | 맹그로브놀래기 | |
Halichoeres argus (블로흐 & J. G. 슈나이더, 1801) | 아르구스놀래기, 얼룩꼬리청줄돔 | |
Halichoeres bathyphilus (비비 & 티-반, 1932) | 녹색띠놀래기 | |
Halichoeres bicolor (블로흐 & J. G. 슈나이더, 1801) | 진주점놀래기, 이색청줄돔 | |
Halichoeres binotopsis (블리커, 1849) | 사오위사타놀래기 | |
Halichoeres biocellatus L. P. 슐츠, 1960) | 붉은선놀래기, 비단청줄돔 | |
Halichoeres bivittatus (블로흐, 1791) | 미끄러운 딕 | |
Halichoeres bleekeri (슈타인다흐너 & 되더라인, 1887) | Platyglossus bleekeri(=Halichoeres bleekeri),Halichoeres tremebundus는 홍놀래기의 시노님[11] | |
Halichoeres brasiliensis (블로흐, 1791) | 브라질놀래기 | |
Halichoeres brownfieldi (휘틀리, 1945) | 브라운필드놀래기 | |
Halichoeres burekae 위버 & L. A. 로차, 2007 | 마르디 그라스놀래기 | |
Halichoeres caudalis (포이, 1860) | 페인티드놀래기, 꼬리점청줄돔 | 대서양 서식, 일본 미서식[13] |
Halichoeres chierchiae 디 카포리아코, 1948) | 부상놀래기 | |
Halichoeres chlorocephalus 쿠이터 & J. E. 랜들, 1995) | 녹두놀래기 | |
Halichoeres chloropterus (블로흐, 1791) | 파스텔녹색놀래기 | |
Halichoeres chrysotaenia (블리커, 1853) | 인도양줄무늬놀래기 | |
Halichoeres chrysus J. E. 랜들, 1981) | 카나리아놀래기, 황금청줄돔 | |
Halichoeres claudia J. E. 랜들 & L. A. 로차, 2009) | 클라우디아놀래기 | |
Halichoeres cosmetus J. E. 랜들 & M. M. 스미스, 1982) | 아도른놀래기 | |
Halichoeres cyanocephalus (블로흐, 1791) | 노란뺨놀래기, 청줄돔 | 대서양 서식, 일본 미서식[13] |
Halichoeres dayi (슈타인다흐너, 1870) | 데이놀래기 | |
Halichoeres dimidiatus (아가시, 1831) | 브라질푸른놀래기 | |
Halichoeres discolor W. A. 버싱, 1983) | 코코스놀래기 | |
Halichoeres dispilus (귄터, 1864) | 카멜레온놀래기 | |
Halichoeres erdmanni J. E. 랜들 & G. R. 앨런, 2010) | 에르드만놀래기, 어드만놀래기 | |
Halichoeres garnoti (발랑시엔, 1839) | 노랑머리놀래기, 옐로우헤드놀래기 | |
Halichoeres gurrobyi 빅터, 2016) | 검은안장놀래기 | |
Halichoeres hartzfeldii (블리커, 1852) | 하르츠펠드놀래기, 줄청줄돔 | |
Halichoeres hilomeni J. E. 랜들 & G. R. 앨런, 2010) | 힐로멘놀래기 | |
Halichoeres hortulanus (라세페드, 1801) | 체커보드놀래기, 토카라베라 | |
Halichoeres insularis G. R. 앨런 & D. R. 로버트슨, 1992) | 소코로놀래기 | |
Halichoeres iridis J. E. 랜들 & M. M. 스미스, 1982) | ||
Halichoeres javanica (블리커, 1857) | 자바놀래기 | |
Halichoeres kallochroma (블리커, 1853) | 분홍코놀래기 | |
Halichoeres kneri (블리커, 1862) | 에히메현 아이난정 및 오키나와현 이리오모테섬에서 관찰, 표준 일본어 명칭 없음[14] | |
Halichoeres lapillus J. L. B. 스미스, 1947) | 보석놀래기 | |
Halichoeres leptotaenia J. E. 랜들 & 얼, 1994) | ||
Halichoeres leucoxanthus J. E. 랜들 & M. M. 스미스, 1982) | 카나리아톱놀래기 | |
Halichoeres leucurus (발바움, 1792) | 회색머리놀래기, 그물무늬청줄돔 | |
Halichoeres maculipinna (J. P. 뮐러 & 트로셸, 1848) | 광대놀래기, 아메리카크라운놀래기 | |
Halichoeres malpelo G. R. 앨런 & D. R. 로버트슨, 1992) | 말펠로놀래기 | |
Halichoeres margaritaceus (발랑시엔, 1839) | 분홍배놀래기, 붉은무늬놀래기 | |
Halichoeres marginatus 뤼펠, 1835) | 어두운놀래기, 가노코놀래기 | |
Halichoeres melanochir 파울러 & B. A. 빈, 1928) | 주황지느러미놀래기, 무나텐베라 | |
Halichoeres melanotis (C. H. 길버트, 1890) | 금색놀래기 | |
Halichoeres melanurus (블리커, 1851) | 꼬리점놀래기, 검은꼬리청줄돔 | |
Halichoeres melas J. E. 랜들 & 얼, 1994) | ||
Halichoeres melasmapomus J. E. 랜들, 1981) | 뺨점놀래기, 점박이청줄돔 | |
Halichoeres miniatus (발랑시엔, 1839) | 원뺨놀래기, 볼빨간청줄돔 | |
Halichoeres nebulosus (발랑시엔, 1839) | 흐린놀래기, 이노즈마베라 | |
Halichoeres nicholsi (D. S. 조던 & C. H. 길버트, 1882) | 스핀스터놀래기 | |
Halichoeres nigrescens (블로흐 & J. G. 슈나이더, 1801) | 거품지느러미놀래기 | |
Halichoeres notospilus (귄터, 1864) | 줄무늬놀래기 | |
Halichoeres orientalis J. E. 랜들, 1999) | 오리엔탈놀래기 | |
Halichoeres ornatissimus (A. 가렛, 1863) | 장식놀래기 | |
Halichoeres pallidus 쿠이터 & J. E. 랜들, 1995) | 창백한놀래기 | |
Halichoeres papilionaceus (발랑시엔, 1839) | 잡초놀래기, 위드놀래기 | 솔로몬 제도 산타크루즈 제도 원기재 기준, 타 지역과 다른 종일 가능성[11] |
Halichoeres pardaleocephalus (블리커, 1849) | 선얼룩놀래기, 싱가라자놀래기 | |
Halichoeres pelicieri J. E. 랜들 & M. M. 스미스, 1982) | 펠리시에놀래기 | |
Halichoeres penrosei 스타크스, 1913) | 브라질크라운놀래기 | |
Halichoeres pictus (포이, 1860) | 무지개놀래기 | |
Halichoeres podostigma (블리커, 1854) | 겨드랑이점놀래기 | |
Halichoeres poeyi (슈타인다흐너, 1867) | 검은귀놀래기 | |
Halichoeres prosopeion (블리커, 1853) | 투톤놀래기, 프로소페이온놀래기 | |
Halichoeres radiatus (린네, 1758) | 푸딩와이프놀래기, 푸딩와이프 | 속의 최대종 |
Halichoeres richmondi 파울러 & B. A. 빈, 1928) | 리치몬드놀래기, 고시키청줄돔 | |
Halichoeres rubricephalus 쿠이터 & J. E. 랜들, 1995) | 붉은머리놀래기 | |
Halichoeres rubrovirens L. A. 로차, 피네이루 & 가스파리니, 2010 | ||
Halichoeres salmofasciatus G. R. 앨런 & D. R. 로버트슨, 2002 | 붉은줄놀래기 | |
Halichoeres sanchezi B. C. 빅터, B. W. 프레이블 & W. B. 루드, 2024 | 꼬리점놀래기 | |
Halichoeres sazimai O. J. 루이즈, C. E. L. 페레이라 & L. A. 로차, 2009 | ||
Halichoeres scapularis (E. T. 베넷, 1832) | 지그재그놀래기, 세이텐베라 | 미츠보시큐우센과 잡종 개체 보고[15] |
Halicoeres schwartzii (Bleeker, 1847) | 슈바르츠놀래기 | |
Halichoeres semicinctus (에이어스, 1859) | 바위놀래기 | |
Halichoeres signifer J. E. 랜들 & 얼, 1994) | ||
Halichoeres socialis J. E. 랜들 & 로벨, 2003) | ||
Halichoeres solorensis (블리커, 1853) | 녹색놀래기 | |
Halichoeres stigmaticus J. E. 랜들 & M. M. 스미스, 1982) | U자점놀래기 | |
홍놀래기 Halichoeres tenuispinis (귄터, 1862) | ||
Halichoeres timorensis (블리커, 1852) | 티모르놀래기 | |
Halichoeres trimaculatus (콰이 & 가이마르, 1834) | 세점놀래기, 세점청줄돔 | 세이텐베라와 잡종 개체 보고[15] |
Halichoeres trispilus J. E. 랜들 & M. M. 스미스, 1982) | 삼점놀래기 | |
Halichoeres vrolikii (Bleeker, 1855) | ||
Halichoeres zeylonicus (E. T. 베넷, 1833) | 금줄놀래기, 스리랑카놀래기 | |
Halichoeres zulu J. E. 랜들 & D. R. 킹, 2010 | 콰줄루-나탈놀래기 |
참조
[1]
간행물
Halichoeres
2019-01-09
[2]
간행물
2019-01-09
[3]
논문
Rediscovery of Sagittalarva inornata n. gen., n. comb. (Gilbert, 1890) (Perciformes: Labridae), a long-lost deepwater fish from the eastern Pacific Ocean: a case study of a forensic approach to taxonomy using DNA barcoding.
http://www.mapress.c[...]
2013
[4]
논문
Two new labrid fishes of the genus Halichoeres from the East Indies.
2010
[5]
학술지
Halichoeres gurrobyi, a new labrid fish (Teleostei: Labridae) from Mauritius in the southwestern Indian Ocean, with a review of the H. zeylonicus species complex
http://www.oceanscie[...]
[6]
논문
Description of Halichoeres rubrovirens, a new species of wrasse (Labridae: Perciformes) from the Trindade and Martin Vaz Island group, southeastern Brazil, with a preliminary mtDNA molecular phylogeny of New World Halichoeres.
2010
[7]
논문
Halichoeres zulu, a new labrid fish from South Africa.
2010
[8]
웹사이트
Halichoeres Rüppell, 1835
https://www.marinesp[...]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2023-12-29
[9]
서적
ベラ亜目
小学館
[10]
서적
日本産魚類検索 全種の同定 第三版
東海大学出版会
[11]
서적
Labridae fishes: Wrasses
Reef Builders Inc. and Aquatic photographics
[12]
서적
日本産魚類全種目録 これまでに記録された日本産魚類全種の現在の標準和名と学名
https://www.museum.k[...]
鹿児島大学総合研究博物館
[13]
서적
スリナム・ギアナ沖の魚類
海洋水産資源開発センター
[14]
서적
えひめ愛南お魚図鑑
創風社出版
2010-03-20
[15]
서적
ネイチャーガイドブック ベラ&ブダイ 日本で見られる192種+幼魚、成魚、雌雄、婚姻色のバリエーション
誠文堂新光社
2016-08-25
[16]
논문
Rediscovery of Sagittalarva inornata n. gen., n. comb.
http://www.mapress.c[...]
2013
[17]
논문
Two new labrid fishes of the genus Halichoeres from the East Indies.
2010
[18]
학술지
Halichoeres gurrobyi, a new labrid fish (Teleostei: Labridae) from Mauritius in the southwestern Indian Ocean, with a review of the H. zeylonicus species complex
http://www.oceanscie[...]
[19]
논문
Description of Halichoeres rubrovirens, a new species of wrasse (Labridae: Perciformes) from the Trindade and Martin Vaz Island group, southeastern Brazil, with a preliminary mtDNA molecular phylogeny of New World Halichoeres.
2010
[20]
논문
Halichoeres zulu, a new labrid fish from South Africa.
2010
[21]
웹인용
Fishbase
http://www.fishbase.[...]
2017-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