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샤텔 크사막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뇌샤텔 크사막스는 1912년 창단된 스위스의 축구 클럽이다. 1970년 두 클럽의 합병으로 현재의 팀이 되었으며, 1987년과 1988년 스위스 슈퍼리그에서 우승했다. 재정 위기를 겪으며 2012년 파산하여 5부 리그로 강등되었으나, 이후 연이은 승격을 통해 2018년 슈퍼리그로 복귀했다. 그러나 2019-20 시즌 최하위로 챌린지 리그로 강등되었다. 스타드 드 라 말라디에르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UEFA 유로파 리그에서 8강에 진출한 경험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뇌샤텔 - 뇌샤텔 대학교
뇌샤텔 대학교는 1838년 설립된 스위스 뇌샤텔의 프랑스어 사용 대학으로, 학사, 석사, 박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인문학, 자연과학, 법학, 경제학 등 다양한 학부를 운영한다. - 스위스 챌린지리그 구단 - FC 샤프하우젠
FC 샤프하우젠은 1896년 창단된 스위스 축구 클럽으로, 1950-60년대 전성기를 누렸으며 스위스컵 준우승 2회, 2012-13 시즌 프로모션리그 우승 후 챌린지리그에 승격하여 현재 프라이알텐-아레나를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 스위스 챌린지리그 구단 - FC 빌-비엔
FC 빌-비엔은 1947년 스위스 슈퍼리그 우승 경력이 있으며, 스위스 챌린지 리그에서 활동하다가 현재는 라파엘 라드케 등을 포함한 선수 명단으로 운영되고 있다. - 스위스 축구에 관한 -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스위스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올림픽 은메달, 월드컵 11회 및 유로 6회 본선 진출, 그리고 알렉산더 프라이, 그라니트 자카, 제르단 샤키리 등의 대표적인 선수들을 배출했다. - 스위스 축구에 관한 - FC 샤프하우젠
FC 샤프하우젠은 1896년 창단된 스위스 축구 클럽으로, 1950-60년대 전성기를 누렸으며 스위스컵 준우승 2회, 2012-13 시즌 프로모션리그 우승 후 챌린지리그에 승격하여 현재 프라이알텐-아레나를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뇌샤텔 크사막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뇌샤텔 크사막스 풋볼 클럽 세리에르 |
약칭 | 크사막스 |
별칭 | 크사막스 |
![]() | |
창단 | 1912년 |
경기장 | 스타드 드 라 말라디에르, 뇌샤텔 |
수용 능력 | 12,000명 |
소유주 | 뱅상 빙겔리 |
회장 | 크리스티앙 빙겔리 |
감독 | 울리 포르테 |
리그 | 스위스 챌린지리그 |
2023-24 시즌 | 스위스 챌린지리그, 10개 팀 중 4위 |
현재 시즌 | 2024-25 뇌샤텔 크사막스 FCS 시즌 |
웹사이트 | 뇌샤텔 크사막스 공식 웹사이트 |
클럽 색상 | 빨간색, 검은색 |
유니폼 | |
홈 | pattern_la1: _xamax1819h pattern_b1: _xamax1819h pattern_ra1: _xamax1819h pattern_sh1: _xamax1819h pattern_so1: _xamax1819h leftarm1: 000000 body1: FF0000 rightarm1: 000000 shorts1: 000000 socks1: ff0000 |
원정 | pattern_la2: _xamax1819a pattern_b2: _xamax1819a pattern_ra2: _xamax1819a pattern_sh2: _xamax1819a leftarm2: FFE000 body2: FFE000 rightarm2: FFE000 shorts2: FFE000 socks2: FFE000 |
역사 | |
이전 명칭 | 뇌샤텔 크사막스 FCS |
창단 연도 (합병) | 1970년 |
2. 역사
뇌샤텔 크사막스는 1910년 뇌샤텔의 콜레지 라틴 학생들을 중심으로 시작된 축구팀이다. 1912년에 공식적으로 창단되었으며, 1970년 FC 자마스와 FC 캉토날 누샤텔의 합병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3]
1980년대 후반에는 스위스 슈퍼리그에서 2회 연속 우승(1987, 1988년)을 차지하는 등 전성기를 누렸다.[4] 그러나 이후 재정 위기를 겪으며 2012년에는 파산 선고를 받고 5부 리그까지 강등되기도 했다.[5]
이후 재창단과 여러 번의 승격을 거쳐 2018년에는 스위스 슈퍼 리그로 복귀했지만, 2019–20 스위스 슈퍼 리그 시즌 최하위로 다시 스위스 챌린지 리그로 강등되었다.[7]
2. 1. 창단과 초기 역사 (1912-1970)
1910년, 뇌샤텔의 콜레지 라틴(Collège Latin) 학생들을 중심으로 조직적인 축구 활동이 시작되었다.[3] 1912년, 뇌샤텔 크사막스가 공식적으로 창단되었다.[3] 1970년, FC 자마스와 FC 캉토날 누샤텔이 합병하여 현재의 뇌샤텔 크사막스가 되었다.2. 2. 전성기 (1980년대)
1980년대 후반은 뇌샤텔 크사막스의 최전성기였다. 1987년과 1988년에 스위스 슈퍼리그에서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4] 또한, 스위스 컵 결승전에 5번 진출했지만 우승컵을 들어 올리지는 못했다.[4]2. 3. 재정 위기와 파산 (2000년대 - 2012년)
2000년대 들어서 뇌샤텔 크사막스는 여러 차례 재정 위기를 겪었다. 2005-06 시즌 스위스 슈퍼리그에서 9위를 기록하며 스위스 챌린지 리그(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4]2011년 5월, 러시아의 기업가 브라트 차가예프가 클럽을 인수했다. 차가예프는 FC 테레크 그로즈니의 스폰서를 맡고 있었으며, 대표는 스위스 리그에서 선수 경험이 있는 안드레이 루다코프였으나 이후 이슬람 사치예프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인수 후에도 재정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결국 2012년 1월 26일, 뇌샤텔 크사막스는 파산 선고를 받고 스위스 슈퍼 리그에서 퇴출되었다.[5] 클럽은 재창단되었지만, 스위스 축구 리그 시스템의 5부 리그인 2. 리가 인터리저널에서 다시 시작해야 했다.[6]
2. 4. 재건과 승격 (2012년 - 현재)
2012년 1월 26일, 뇌샤텔 크사막스는 파산 선고를 받고 스위스 슈퍼 리그에서 퇴출되었다.[5] 클럽은 재창단되어 2012-13 시즌에 스위스 축구 리그 시스템의 5부 리그인 2. 리가 인터리저널에서 다시 시작해야 했다.[6] 2012-13 시즌, 2. 리가 인터레지오날에서 1위를 차지하며 1. 리가 클래식(4부 리그)으로 승격했다.[4]2013년, FC 세리에르와 합병하여 팀명을 뇌샤텔 크사막스 FCS로 변경했다. 2013-14 시즌, 1. 리가 클래식에서 1위를 차지하며 1. 리가 프로모션(3부 리그)으로 승격했다.[4] 2014-15 시즌에는 1. 리가 프로모션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스위스 챌린지 리그(2부 리그)로 승격, 세 시즌 연속 승격이라는 기록을 달성했다.[4]
2018년, 뇌샤텔 크사막스는 스위스 슈퍼 리그로 승격하며 6년 만에 스위스 축구 최고 리그에 복귀했다. 그러나 2019–20 스위스 슈퍼 리그 시즌에서 최하위를 기록하며 다시 스위스 챌린지 리그로 강등되었다.[7]
3. 경기장
뇌샤텔 크사막스는 2004년에 착공하여 2007년에 개장한 스타드 드 라 말라디에르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 이 경기장은 12,500명을 수용할 수 있다.[8]
4. 선수 명단
뇌샤텔 크사막스한국어의 선수 명단은 2024년 9월 9일[9] 기준 다음과 같다.
4. 1. 현역 선수
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앤서니 모시 | Anthony Mossi|안토니 모시영어 |
3 | DF | 조나단 폰타나 | Jonathan Fontana|조나단 폰타나영어 |
4 | DF | 세아드 하즈로비치 | Sead Hajrović|세아드 하즈로비치영어 |
5 | DF | 라브드림 하이룰라후 | Lavdrim Hajrullahu|라브드림 하이룰라후영어 |
6 | MF | 파비오 사이스 | Fabio Saiz|파비오 사이스영어 |
7 | MF | 케난 파트키치 | Kenan Fatkić|케난 파트키치영어 |
8 | MF | 사미르 라미지 | Samir Ramizi|사미르 라미지영어 |
9 | FW | 스켈킴 데마사지 | Shkëlqim Demhasaj|스켈킴 데마사지영어 |
10 | FW | 후세인 투아티 | Hussein Touati|후세인 투아티영어 |
11 | FW | 살림 벤 세기르 | Salim Ben Seghir|살림 벤 세기르영어 |
15 | DF | 요안 에피토 | Yoan Epitaux|요안 에피토영어 |
17 | FW | 앙헬로 캄포스 | Ângelo Campos|앙헬로 캄포스영어 |
19 | DF | 유클리데스 카브랄 | Euclides Cabral|유클리데스 카브랄영어 |
20 | FW | 코로 코네 | Koro Koné|코로 코네영어 |
22 | FW | 파스칼 드루그보르 | Pascal Durugbor|파스칼 드루그보르영어 |
23 | DF | 미카엘 곤칼베스 | Mickaël Gonçalves|미카엘 곤칼베스영어 |
24 | MF | 롤랜드 은동고 | Roland Ndongo|롤랜드 은동고영어 |
26 | FW | 기욤 푸레르 | Guillaume Furrer|기욤 푸레르영어 |
27 | GK | 에딘 오메라기치 | Edin Omeragic|에딘 오메라기치영어 |
30 | GK | 위고 비기리마나 | Hugo Bigirimana|위고 비기리마나영어 |
31 | MF | 프란체스코 렌티니 | Francesco Lentini|프란체스코 렌티니영어 |
32 | MF | 마루안 칼람 | Maruane Kalem|마루안 칼람영어 |
38 | DF | 브릴라니 소로 | Brilani Soro|브릴라니 소로영어 |
42 | MF | 조반니 밤바 | Giovanni Bamba|조반니 밤바영어 |
4. 2. 유명 선수
국가 | 선수 |
---|---|
카메룬 | 프레디 므벵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루이 마푸타 |
이집트 | 호삼 하산 |
코트디부아르 | 에릭 티아 |
나이지리아 | 브라운 이데이, 칼루 우체 |
세네갈 | 파파 부바 디오프 |
시에라리온 | 우마루 방구라 |
필리핀 | 마이클 켐프터 |
사우디아라비아 | 후세인 압둘가니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무스타파 세이메노비치, 엔사르 아리포비치 |
불가리아 | 트리폰 이바노프 |
헝가리 | 러요시 데터리 |
서독 | 울리 슈틸리케 (선수, 감독) |
아일랜드 | 돈 기븐스 (선수, 공동 감독) |
리히텐슈타인 | 노아 프리크 |
스페인 | 빅토르 산체스 |
스위스 | 요한 주루, 뤼시앙 파브르, 마리오 가브라노비치, 하리스 세페로비치 |
네덜란드 | 르네 판 데르 하이프 |
스위스 | 스테판 앙쇼, 파스칼 추버뷜러 |
일본 | 이마야 나오키 |
브라질 | 아드리아누 제를린 다 실바, 카를루스 알레샹드르 데 소자 실바 |
아르헨티나 | 훌리오 에르난 로시 |
세네갈 | 앙리 카마라 |
우크라이나 | 세르히 스카첸코 |
카메룬 | 피에르 누장카 |
이집트 | 하니 람지 |
오스트레일리아 | 조엘 그리피스 |
바레인 | 압둘라 바바 파타디, 압둘라 오마르 |
스페인 | 하비에르 아리스멘디, 빅토르 산체스 마타, 다비드 나바로 |
5.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파올로 마차 | 1946 ~ 1948 |
로이 호지슨 | 1990 ~ 1992 |
울리 슈틸리케 | 1992 ~ 1994 |
미로슬라브 블라제비치 | 2005 ~ 2006 |
알랭 가이거 | 1998 ~ 2002, 2005, 2009 |
조반니 페라리 | 1946 ~ 1948 |
페르낭 자카르 | 1948 ~ 1952 |
요제프 훔팔 | 1961 ~ 1965, 1969 ~ 1970 |
밀로라드 밀루티노비치 | 1968 ~ 1969 |
폴 가르바니 | 1970년 7월 ~ 1972년 1월 |
요제프 아르티모비츠 | 1972년 1월 ~ 1972년 7월 |
레브 만툴라 | 1972년 7월 ~ 1975년 1월, 1979년 10월 ~ 1980년 7월 |
브랑코 레주아르 | 1975년 1월 ~ 1975년 7월 |
길베르 그레스 | 1975 ~ 1977, 1981 ~ 1990, 1994 ~ 1997 |
안토니오 메를로 | 1977년 7월 ~ 1978년 4월 |
에리히 포겔 | 1978년 4월 ~ 1979년 10월 |
장마르크 기유 | 1980 ~ 1981 |
클로드 리프 | 2002년 7월 ~ 2004년 2월 |
르네 로벨로, 크리스토프 물랭 | 2004년 2월 ~ 2004년 7월 |
르네 로벨로, 지안니 델라 카사 | 2004 ~ 2005 |
제라르 카스텔라 | 2006년 6월 ~ 2008년 3월 |
네스토르 클라우센 | 2008년 ~ 2009년 1월 |
장미셸 에비 | 2009년 1월, 2010년 4월 ~ 2010년 8월 |
피에르-앙드레 쉬르만 | 2009년 6월 ~ 2010년 4월 |
디디에 올레-니콜 | 2010년 9월 ~ 2011년 5월 |
베르나르 샬랑드 | 2011년 5월 |
소니 앤더슨 | 2011 |
프랑수아 시콜리니 | 2011년 6월 ~ 2011년 7월 |
호아킨 카파로스 | 2011년 7월 ~ 2011년 9월 |
빅토르 무뇨스 | 2011년 9월 ~ 2012년 1월 |
6. 수상 경력
뇌샤텔 크사막스는 스위스 슈퍼리그와 스위스 챌린지리그 등 여러 리그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다. 또한 스위스 슈퍼컵 우승 및 스위스컵, 스위스 리그컵 준우승 기록도 가지고 있다.
6. 1. 스위스 국내 대회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준우승 횟수 | 준우승 연도 |
---|---|---|---|---|
스위스 슈퍼리그 | 2 | 1986-87, 1987-88 | - | - |
스위스 챌린지리그 | 3 | 1972-73, 2006-07, 2017-18 | - | - |
스위스 프로모션 리그 | 1 | 2014-15 | - | - |
1. 리가 클래식 | 1 | 2013-14 | - | - |
2. 리가 인터레지오날 | 1 | 2012-13 | - | - |
스위스 슈퍼컵 | 3 | 1987, 1988, 1990 | - | - |
스위스컵 | - | - | 4 | 1974, 1985, 1990, 2003 |
스위스 리그컵 | - | - | 1 | 1977 |
7. 유럽 대항전 기록
뇌샤텔 크사막스는 UEFA 챔피언스리그(유러피언컵) 및 UEFA 유로파리그(UEFA컵)에 여러 차례 참가했다. 특히 1981-82 UEFA컵과 1985-86 UEFA컵에서는 8강까지 진출하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팀 | 홈 | 원정 | 합계 |
---|---|---|---|---|---|---|
1981–82 | UEFA 컵 | 1R | 스파르타 프라하 | 4–0 | 2–3 | 6–3 |
2R | 말뫼 | 1–0 | 1–0 | 2–0 | ||
3R | 스포르팅 CP | 1–0 | 0–0 | 1–0 | ||
QF | 함부르크 | 0–0 | 2–3 | 2–3 | ||
1984–85 | UEFA 컵 | 1R | 올림피아코스 | 2–2 | 0–1 | 2–3 |
1985–86 | UEFA 컵 | 1R | 스포르툴 스투덴체스크 | 3–0 | 4–4 | 7–4 |
2R | 로코모티프 소피아 | 0–0 | 1–1 | 1–1 (a) | ||
3R | 던디 유나이티드 | 3–1 | 1–2 | 4–3 | ||
QF | 레알 마드리드 | 2–0 | 0–3 | 2–3 | ||
1986–87 | UEFA 컵 | 1R | 링비 | 2–0 | 3–1 | 5–1 |
2R | 흐로닝언 | 1–1 | 0–0 | 1–1 (a) | ||
1987–88 | 유러피언컵 | 1R | 쿠우시시 | 5–0 | 1–2 | 6–2 |
2R | 바이에른 뮌헨 | 2–1 | 0–2 | 2–3 | ||
1988–89 | 유러피언컵 | 1R | 라리사 | 2–1 | 1–2 | 3–3 (3–0 승부차기) |
2R | 갈라타사라이 | 3–0 | 0–5 | 3–5 | ||
1990–91 |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 1R | 에스트렐라 다 아마도라 | 1–1 | 1–1 | 2–2 (3–4 승부차기) |
1991–92 | UEFA 컵 | 1R | 플로리아나 | 2–0 | 0–0 | 2–0 |
2R | 셀틱 | 5–1 | 0–1 | 5–2 | ||
3R | 레알 마드리드 | 1–0 | 0–4 | 1–4 | ||
1992–93 | UEFA 컵 | 1R | BK 프렘 | 2–2 | 1–4 | 3–6 |
1995–96 | UEFA 컵 | QR | 츠르베나 즈베즈다 | 0–0 | 1–0 | 1–0 |
1R | 로마 | 1–1 | 0–4 | 1–4 | ||
1996–97 | UEFA 컵 | QR | 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 | 4–0 | 2–1 | 6–1 |
1R | 디나모 키예프 | 2–1 | 0–0 | 2–1 | ||
2R | 헬싱보리 | 1–1 | 0–2 | 1–3 | ||
1997–98 | UEFA 컵 | Q1 | 틸리굴-티라스 티라스폴 | 7–0 | 3–1 | 10–1 |
Q2 | 비킹 | 3–0 | 1–2 | 4–2 | ||
1R | 인테르 | 0–2 | 0–2 | 0–4 | ||
2003–04 | UEFA 컵 | QR | 발레타 | 2–0 | 2–0 | 4–0 |
1R | 오세르 | 0–1 | 0–1 | 0–2 |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que : La Genèse | NEUCHÂTEL XAMAX'
http://www.xamax.ch/[...]
Xamax.ch
2012-01-27
[2]
웹사이트
Le Neuchâtel Xamax FCS est né
https://www.rts.ch/s[...]
RTS Sport
2018-12-13
[3]
웹사이트
La Genèse
http://www.xamax.ch/[...]
Neuchâtel Xamax
2018-12-13
[4]
웹사이트
Un palmarès plus que respectable
http://www.xamax.ch/[...]
Neuchâtel Xamax
2018-12-13
[5]
웹사이트
'Swiss club Xamax bankrupt, Chechen owner arrested - - SI.com'
http://sportsillustr[...]
Sportsillustrated.cnn.com
2012-01-27
[6]
Webarchive
Meisterschaft 2. Liga interregional
http://www.al-la.ch/[...]
2013-01-15
[7]
웹사이트
Switzerland side Neuchatel Xamax return to top division six years after bankruptcy, collapse
http://www.espn.com/[...]
ESPN
2018-12-13
[8]
웹사이트
LA MALADIÈRE – HISTORIQUE
http://www.xamax.ch/[...]
Neuchâtel Xamax
2018-12-13
[9]
웹사이트
Équipe
https://xamax.ch/equ[...]
Neuchâtel Xamax FCS
2023-06-30
[10]
웹사이트
ロシアの企業家、スイスのサッカークラブ買収
http://japanese.ruvr[...]
[11]
웹사이트
Fusion entre NE Xamax et Serrières
https://www.rts.ch/s[...]
2013-03-25
[12]
문서
1ère Equipe – Neuchâtel Xamax 1912
http://www.xamax.ch/[...]
[13]
웹인용
Le Neuchâtel Xamax FCS est né
https://www.rts.ch/s[...]
RTS Sport
2020-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