닐기리담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닐기리담비는 담비과에 속하는 종으로, 담비보다 크고 두개골 구조가 다르다. 목 부위는 노란색 또는 오렌지색이며, 몸길이는 55~65cm, 꼬리는 40~45cm 정도이다. 남인도의 서고츠 산맥의 숄라 초원과 남서 고산 습윤 상록수림에 주로 서식하며, 주행성이며 잡식성이다. 토머스 호스필드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수집가 레이놀즈 깟킨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담비속 - 산달
산달은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담비과의 포유류로, 일본에서는 두 아종이 확인되었으며, 한국에서는 토착 개체군 존재가 불확실하고,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아 일본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담비속 - 담비 (동물)
담비는 아시아에 넓게 분포하는 잡식성 동물로, 숲에 서식하며 나무를 잘 타고 땅에서도 활동하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과거 모피를 얻기 위한 사냥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보호받고 있으며 IUCN 적색 목록에 관심대상으로 등재되어 있다. - 1851년 기재된 포유류 - 붉은늑대
붉은늑대는 개과의 동물로, 한때 미국 남동부에 널리 분포했으나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해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인 종이며, 코요테와 회색늑대의 중간 크기에 붉은색 털을 가졌고,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서식지 파괴와 인간의 박해 등으로 개체수가 급감하여 사육 프로그램을 통해 재도입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1851년 기재된 포유류 - 검은발족제비
검은발족제비는 족제비과 포유류로 검은색 발, 귀, 얼굴 일부, 꼬리를 가지며 프레리도그를 주식으로 삼고 멸종 위기를 극복했으나 제한적 유전적 다양성으로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인도의 포유류 - 부탄타킨
부탄타킨은 부탄, 중국, 인도에 서식하며 해발 1,000~4,500m 고도의 숲에서 풀, 새싹, 나뭇잎 등을 먹는 주행성 포유류로, 불법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으며 부탄의 국가 동물이다. - 인도의 포유류 - 황금랑구르
황금랑구르는 인도 아삼 주와 부탄에 분포하며 크림색에서 황금색 털을 가진 멸종위기종 영장류로,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닐기리담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상태 | 취약종 |
상태 기준 | IUCN3.1 |
학명 | Martes gwatkinsii |
명명자 | (Horsfield, 1851) |
속 | 담비속 |
종 | 닐기리담비 |
이명 | Charronia gwatkinsii |
![]() |
2. 특징
닐기리담비는 담비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더 크고 두개골 구조, 특히 이마뼈 함몰부가 현저히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몸은 진한 갈색이며, 목 부분은 밝은 노란색 또는 주황색을 띠어 눈에 띈다. 궁둥이 아래쪽은 불그레한 갈색을 띤다.[14][15]
2. 1. 신체 특징
담비와 겉모습이 비슷하지만, 담비보다 크고 특히 두개골 구조 이마뼈 함몰부가 현저히 다르다. 노랑과 오렌지색의 밝은 목 부위 색깔 위로 검은색을 띠기 때문에 눈에 잘 띈다. 머리부터 궁둥이까지는 진한 갈색을 띠며, 궁둥이 아래쪽은 거의 불그레한 갈색을 띤다.[14][15] 뚜렷한 앞머리 사발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노란목담비보다 크다.[2]
닐기리담비는 주로 숄라 초원과 남서 고산 습윤 상록수림에 서식하며, 때로는 인접한 남서 고산 습윤 낙엽성림과 카르나타카, 케랄라, 타밀나두의 남인도 주에 걸쳐 있는 서고츠 산맥의 상업용 농장에서도 발견된다. 이 담비의 영어 일반명칭은 서식 범위의 중심을 이루는 닐기리 언덕에서 유래되었지만, 차르마디 고개에서 북쪽으로 멀리 떨어진 곳과 네이야르 야생동물 보호구역, 페파라 야생동물 보호구역에서 남쪽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목격된 사례가 보고되었다.[1]
닐기리담비는 주행성이다.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수목 생활을 하지만 가끔 땅으로 내려온다. 잡식성이며 조류, 작은 포유류(말라바르왕족다람쥐 포함) 및 매미와 같은 곤충을 먹이로 삼는다.[10][2] 또한 다양한 과일과 씨앗을 먹는 모습도 관찰되었다.[11]
토머스 호스필드에 의해 동인도 회사 박물관에 소장된 가죽을 바탕으로 처음 기술되었으며, 수집가 레이놀즈 깟킨스(Reynolds Gwatkins)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2]
[1]
간행물
Martes gwatkinsii
2015
3. 분포 및 서식지
4. 생태 및 습성
5. 분류
참조
[2]
서적
The Book of Indian Animals
Bombay Natural History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3]
간행물
Mustelids, Viverrids and Herpestids of India: Species Profile and Conservation Status
https://archive.org/[...]
[4]
간행물
Sightings of Nilgiri marten (''Martes gwatkinsii'' Horsfield) at Peppara Wildlife Sanctuary and Silent Valley National Park, Kerala, India
http://nebula.wsimg.[...]
[5]
간행물
Sighting of the Nilgiri marten (''Martes gwatkinsii'') at Eravikulam National Park, Kerala, India
http://nebula.wsimg.[...]
[6]
간행물
A record of the Nilgiri marten (''Martes gwatkinsii'' Horsfield) in Upper Bhavani
https://archive.org/[...]
[7]
간행물
Lesser Known Carnivores of the Western Ghats
https://archive.org/[...]
Wildlife Institute of India
[8]
간행물
Recent sightings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 endemic Nilgiri Marten ''Martes gwatkinsii'' in Western Ghats, India
http://nebula.wsimg.[...]
[9]
간행물
New records of the Nilgiri marten ''Martes gwatkinsii'' in the Western Ghats, India
http://nebula.wsimg.[...]
[10]
간행물
Feeding habits of the Nilgiri marten [''Charronia gwatkinsii'' (Horsfield)]
https://archive.org/[...]
[11]
간행물
Observations on the Nilgiri Marten ''Martes gwatkinsii'' (Mammalia: Carnivora: Mustelidae) from Pampadum Shola National Park, the southern Western Ghats, India
2018
[12]
서적
Catalogue of the Mammalia in the Museum of the Hon. East-India Company
Printed by J. & H. Cox
[13]
문서
Martes gwatkinsii
[14]
웹인용
The Book Of Indian Animals, S.H.PRATER Bombay Natural History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5]
웹인용
Zoological Survey of India, Pune
http://stp.unipune.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