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무라 무네요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무라 무네요시는 센다이 번의 무사로, 이와누마 번의 초대 번주이다. 다테 타다무네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스즈키 모토노부의 가계를 잇고, 조모의 유언에 따라 타무라 가문을 다시 일으켜 이와가사키에 1만 석을 받았다. 다테 쓰나무라의 후견인을 지냈으며, 2만 석을 가증받아 종5위하, 우쿄노스케에 서임되었다. 이후 이와누마 번주가 되었으나, 다테 소동에 연루되어 폐문되었다가 죄를 용서받았다. 42세에 사망했으며, 법호는 즈이운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와누마번주 - 다무라 다쓰아키
다무라 다쓰아키는 무쓰 센다이 번의 일문으로, 도쿠가와 쓰나요시에게 중용되어 오쿠즈메슈와 소자반을 역임했으며, 아사노 나가노리의 할복 사건과 관련되어 있고, 학문과 예술에도 능했다. - 스즈키씨 - 스즈키 이치조
스즈키 이치조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근무하며 경제 정책 수립에 관여하고, 퇴임 후 중의원 의원을 역임했으나 친일반민족행위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스즈키씨 - 사이카 스즈키씨
사이카 스즈키 씨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에 걸쳐 철포 용병 집단으로 이름을 날린 스즈키 마고이치의 가문으로,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연관되었으며, 기이 정벌 후 미토번의 가신으로 정착하여 메이지 유신 이후까지 이어진 가문이다. - 이치노세키 다무라가 - 다무라 구니미치
에도 시대 이치노세키 번의 8대 번주인 다무라 구니미치는 번교 재흥, 의학관 및 신세이칸 설립, 서양식 군대 도입 등 번정 개혁을 추진하여 명군으로 칭송받았다. - 이치노세키 다무라가 - 다무라 유키아키
다무라 유키아키는 이치노세키번주 다무라 쿠니유키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나 센다이번주 다테 요시쿠니의 양자가 되어 다테 모치무라로 개명하고 종4위하 시종 미마사쿠노카미에 서임되었으나 요시쿠니보다 먼저 사망하였다.
다무라 무네요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다무라 무네요시 |
일본어 이름 | 田村 宗良 |
로마자 표기 | Tamura Muneyoshi |
이명 | 가메치요 |
일본어 이명 | 亀千代 |
다른 이름 | 스즈키 무네요시 |
일본어 다른 이름 | 鈴木宗良 |
생애 | |
출생 | 1637년 6월 11일 |
사망 | 1678년 5월 16일 |
사망 장소 | 에도 |
매장 장소 | 도젠지, 다카나와, 에도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야마구치 시게유키의 딸 |
자녀 | 다무라 다쓰아키 |
어머니 | 후사노카타 |
아버지 | 다테 다다무네 |
경력 | |
직위 | 이와누마번 번주 |
임기 시작 | 1660년 |
임기 종료 | 1671년 |
기타 | |
씨족 | 다테 씨 → 스즈키 씨 → 다무라 씨 |
아버지 | 다테 다다무네 |
어머니 | 미타무라 마타에몬의 딸 후사 |
양아버지 | 스즈키 시게노부 |
형제자매 | 나베히메 호라치요마루 다테 미쓰무네 다테 고로키치 다테 무네토모 다테 쓰나무네 다테 무네노리 다테 무네후사 이이자카 무네아키 |
부인 | 야마구치 시게유키의 딸 이토 |
자녀 | 다무라 다쓰아키 (建顕) 아키히로 (顕寛) 아키하루 (顕始) 아키타카 (顕普) 무네쓰네 (宗常) 나가이 나오타네의 정실 |
관위 | 종5위하 우쿄노스케, 오키노카미 |
2. 생애
간에이 14년(1637년) 4월 19일) 무쓰 국(陸奥国) 센다이 번 제2대 번주 다테 다다무네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엔포 6년(1678년) 3월 26일 에도에서 사망했다. 와카와 서예에 능했으며, 온화한 성품으로 인망을 얻었으나, 다소 유약한 면모를 보여 다테 무네카츠의 횡포를 막지 못했다. 간분 10년(1670년) 오키노카미에 서임되었다.
2. 1. 출생과 가계 계승
1637년 4월 19일, 무쓰 국(陸奥国) 센다이 번의 제2대 번주 다테 다다무네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4] 어릴 적 이름은 가메치요였다.1639년, 아버지의 명으로 1,500석의 센다이 번 중신 스즈키 모토노부의 가계를 이어 시다 군(志田郡) 오사키를 다스렸다.[4] 스즈키 무네요시로 칭했다.
1654년 5월, 다무라 씨(田村氏) 출신인 조모 요토쿠인(陽徳院)의 유언에 따라 가문을 다시 일으켜 세우고 다무라 성을 사용했다. 구리하라 군(栗原郡) 이와가사키에 1만 석을 받았다.
2. 2. 이와누마 번주 취임
만지 3년(1660년) 다테 쓰나무라가 어린 나이로 센다이 번주에 취임하자, 다테 무네카츠와 함께 쓰나무라의 후견인이 되었다.[4] 같은 해 쓰나무라로부터 2만 석을 추가로 받아 종5위하, 우쿄노스케에 서임되었다. 간분 2년(1662년), 나토리 군 이와누마로 전봉되어, 내분분지 다이묘로서 이와누마 번의 초대 번주가 되었다.2. 3. 다테 소동과 폐문
1671년 다테 소동(간분 사건) 때 지도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에도 막부의 명령으로 연좌 처분을 받아 폐문되었다.[4] 1672년 죄를 용서받았다.2. 4. 사망
엔포 6년(1678년) 3월 26일에 에도에서 사망했다. 향년 42세였다.[4] 법호는 즈이운인이다.[4]3. 가계
다테 무네무네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미타무라 도에몬의 딸인 후사(쇼운인)이다. 스즈키 시게노부와 다무라 기요아키를 양아버지로 두었다. 정실은 야마구치 시게유키(나이키)의 딸 이토(테이가와인)이다.
3. 1. 부모
- 친아버지: 다테 다다무네
- 친어머니: 후사(쇼운인) - 미타무라 도에몬의 딸, 측실
- 양아버지: 스즈키 시게노부, 다무라 기요아키
3. 2. 정실
야마구치 시게유키(나이키)의 딸 이토(테이가와인)3. 3. 자녀
이름 | 비고 |
---|---|
다무라 마쓰노스케(장남) | 요절, 생모는 야마구치 시게유키의 딸인 이토(테이가와인) |
다무라 다테아키(차남) | 생모는 야마구치 시게유키의 딸인 이토(테이가와인) |
다무라 아키히로(삼남) | |
다무라 아키모토(사남) | |
다무라 아키히로(오남) | |
다무라 무네츠네(육남) | |
나가이 나오타네 정실 | |
딸 |
참조
[1]
서적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du Japon
http://www.unterstei[...]
2013-06-13
[2]
서적
Ichinoseki Domain (Clan Stories Series)
[3]
서적
A History of Japan, 1615-1867
Stam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一関藩
現代書館
[5]
문서
貞岩院の出自
[6]
문서
貞岩院と政宗の婚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