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수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수항은 전라남도 장산면 다수리에 위치한 항구로, 풍부한 어족 자원과 김 등의 생산, 유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선 시대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조성된 노거수림이 존재하며, 63m 길이의 물양장이 설치되어 어선 접안 및 어획물 양륙을 지원한다. 숭어, 농어, 서대 등 다양한 어종이 어획된다. 다수항은 대한민국의 지방어항 중 하나이며,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울산광역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등 각 지역의 지방어항 목록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안군의 어항 - 사리항
    사리항은 흑산도 서해남부에 위치한 항구로, 풍부한 수산자원을 바탕으로 멸치, 전복, 돔, 우럭 등을 어획하며 낚시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
  • 신안군의 어항 - 우이도항
    전라남도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에 위치한 우이도항은 2002년 어항개발계획이 수립되었으며, 특히 조선시대 중수 기록이 있는 신안 우이도 선창은 전통 포구 시설로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지방어항 - 어사항
    어사항은 충청남도 홍성군에 있는 어항으로, 수역과 육역으로 구성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어항 - 우동항
    우동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어항으로, 방파제와 물양장이 설치되어 도다리, 삼치 등이 잡히며, 해양관광복합형 어항으로 정비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다수항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이름다수항
유형지방어항
주소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다수리
지정일1993년 12월 19일
시설관리자신안군수
위도34.6188063
경도126.1507023

2. 다수항

다수항은 장산면 서쪽에 위치한 다수리에 있어 초기에는 다수항이라 불렸다. 풍부한 어족 자원과 김 등을 생산, 유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항구이다.

조선 시대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조성된 노거수림이 존재한다. 첫째, 사창마을의 양곡 보관 창고를 은폐하기 위한 위장 숲으로 조성되었다는 설, 둘째, 도창마을의 겨울 바람을 막기 위한 방풍림, 셋째, 풍수지리설에 따라 마을의 번창을 위해 조성되었다는 설이 있다.

기축조된 선착장에서 북서쪽으로 220m 지점에서 정남쪽으로 420m, 정동쪽으로 385m, 다시 정북쪽으로 295m를 연결하는 수역으로, 면적은 117,000m3이다.

다수항에는 63m 길이의 물양장이 설치되어 있어 어선 접안 및 어획물 양륙을 지원한다.

다수항에서는 숭어, 농어, 서대 등 다양한 어종이 어획된다.

2. 1. 어항 연혁

다수항은 장산면 서쪽에 위치한 다수리에 있어 초기에는 다수항이라 불렸다. 풍부한 어족 자원과 김 등을 생산, 유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항구이다.

조선 시대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조성된 노거수림이 존재한다. 첫째, 사창마을의 양곡 보관 창고를 은폐하기 위한 위장 숲으로 조성되었다는 설, 둘째, 도창마을의 겨울 바람을 막기 위한 방풍림, 셋째, 풍수지리설에 따라 마을의 번창을 위해 조성되었다는 설이 있다.

2. 2. 어항 구역

기축조된 선착장에서 북서쪽으로 220m 지점에서 정남쪽으로 420m, 정동쪽으로 385m, 다시 정북쪽으로 295m를 연결하는 수역으로, 면적은 117,000m3이다.

2. 3. 어항 시설

다수항에는 63m 길이의 물양장이 설치되어 있어 어선 접안 및 어획물 양륙을 지원한다.

2. 4. 주요 어종

다수항에서는 숭어, 농어, 서대 등 다양한 어종이 어획된다.

3. 대한민국의 지방어항

3. 1. 지방어항 목록

3. 1. 1.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에는 다음과 같은 어항들이 있다.

3. 1. 2.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에는 다음과 같은 항구들이 있다.

  • 광명항
  • 답동항
  • 대무의항
  • 두무진항
  • 선두항
  • 소연평항
  • 외포항
  • 옥죽포항
  • 자월1리항
  • 장곳항
  • 장봉항
  • 주문항
  • 진두항
  • 진리항
  • 창후항
  • 후포항

3. 1. 3.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에는 여러 항구가 있으며, 그 중 주요 항구는 다음과 같다:

  • 나사항
  • 당사항
  • 신암항
  • 주전항

3. 1. 4. 경기도

경기도에는 다음의 항구들이 있다.

3. 1. 5. 강원특별자치도

가진항, 교암항, 동산항, 문암1리항, 문암2리항, 물치항, 봉포항, 소돌항, 신남항, 영진항, 오호항, 천진항, 초곡항, 호산항이 있다.

3. 1. 6. 충청남도

가의도항, 간월도항, 고대도항, 구도항, 구매항, 궁리항, 난지도항, 녹도항, 다사항, 마검포항, 만대항, 만리포항, 몽산포항, 방포항, 백사장항, 삽시도항, 송석항, 어사항, 여은돌항, 원산도항, 월하성항, 장고도항, 창리항, 채석포항, 천리포항, 통개항, 학암포항, 호도항, 효자도항

3. 1. 7. 전라북도

개야도항, 곰소항, 궁항, 동호항, 무녀도항, 방축도항, 비안도항, 선유3구항, 선유도항, 성천항, 송포항, 식도항 등이 있다.

3. 1. 8. 전라남도

다수항을 포함하여 전라남도에는 가교항, 검산항, 계동항, 관호항, 구암항, 굴포항, 금능항, 금사항, 금진항, 남성항, 내동항, 대영항, 대통항, 덕우항, 덕촌항, 덕흥항, 도리포항, 동고항, 동백항, 동봉항, 만재항, 망석항, 명천항, 모서항, 미라항, 방축항, 벌포항, 법성항, 봉남항, 사구미항, 사리항, 사초항, 상진항, 서도항, 서성항, 설도항, 성두항, 성등포항, 세포항, 소우이도항, 소율항, 손죽항, 송도항, 송평항, 송호항, 수대항, 수문항, 신기항, 신흥항, 심리항, 어불항, 연소항, 염포항, 영산항, 영전항, 오천항, 옹암항, 용동항, 용호항, 우두항, 우수영항, 우학항, 울포항, 원동항, 월양항, 율포항, 의성항, 이진목항, 잠두항, 장수항, 장용항, 장환항, 재원항, 죽도항, 죽포항, 진산항, 징의항, 창유항, 추포항, 충도항, 톱머리항, 하태항, 학가항, 함구미항, 해동항, 호령항, 화도항, 화전항, 화포항, 횡간항이 있다.

3. 1. 9. 경상북도

경상북도에는 다음과 같은 항구들이 있다.

  • 가곡항
  • 경정항
  • 골장항
  • 기성항
  • 나정항
  • 노물항
  • 대보1리항
  • 모포항
  • 발산항
  • 방석항
  • 백석항
  • 병곡항
  • 부경항
  • 삼정항
  • 이가리항
  • 전촌항
  • 죽천항
  • 지경항
  • 직산항
  • 창대항
  • 천부항
  • 태하항
  • 통구미항

3. 1. 10. 경상남도

경상남도에는 다음과 같은 항구들이 있다.

거제항, 견유항, 곡용포항, 곤리항, 관포항, 광천항, 낙지포항, 내항항, 냉천항, 농소항, 늑도항, 당동항, 당저항, 당항항, 대포항, 도장포항, 돈지항, 동갈화항, 동호항, 물안항, 서상항, 선소항, 성포항, 송포항, 수월항, 수치항, 술상항, 시락항, 시방항, 쌍근항, 연대항, 연명항, 연화항, 예포항, 평림항, 옥계항, 원천항, 유교항, 유포항, 유호항, 율포항, 은점항, 이수도항, 이운항, 장목항, 장작지항, 장포항, 적량항, 죽림항, 중평항, 중항항, 지족항, 진동항, 진촌항, 포교항, 하청항, 하포항, 학림항, 한내항, 항도항, 항촌항.

3. 1. 11. 제주특별자치도

가파항, 강정항, 고산항, 귀덕1리항, 대포항, 법환항, 사계항, 세화항, 신양항, 신창항, 신천항, 우도항, 조천항, 종달항, 태흥2리항, 표선항, 하귀1리항, 하효항, 화북항

4. 지방어항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4. 1. 문제점

4. 2. 개선 방안

5. 결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