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치 종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치 종속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의 종속성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특정 속성 집합(α)의 값에 따라 다른 속성 집합(β)의 값이 여러 개로 결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치 종속 α β는 릴레이션 r(R)에서 α의 값이 같은 튜플들이 β의 값을 서로 독립적으로 가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함수 종속을 일반화한 개념으로, 데이터베이스 정규화의 제4 정규형(4NF)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치 종속이 있는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중복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릴레이션을 분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치 종속 | |
|---|---|
| 다치 종속성 | |
| 정의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릴레이션에서, 어떤 속성 집합의 값들이 다른 속성 집합의 값들에 의해 결정될 때, 결정되는 속성 집합의 값들이 여러 개일 수 있는 종속성. |
| 표기법 | A [[파일:twoheadrightarrow.gif|twoheadrightarrow.gif]] B |
| 설명 | A는 B를 다치 결정한다. |
2. 정의
관계 스키마 에서 속성 집합 와 가 있을 때, 의 각 값에 대해 의 값 집합이 독립적으로 결정되면, 가 를 다치 종속한다고 한다.[4] 이는 
2. 1. 형식적 정의
Relation scheme|릴레이션 스키마영어 을 관계 스키마라고 하고, 와 를 속성 집합이라고 하자. 다치 종속 ("는 를 다결정한다")는 임의의 유효한 관계 에서 인 모든 튜플 쌍 과 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튜플 과 가 에 존재할 때 성립한다.[4]:
비공식적으로, 를 에 대한 값을 갖는 튜플로 표시하여 각각 라고 하면, 튜플 와 가 에 존재할 때마다 튜플 와 도 에 존재해야 한다.
다치 종속은 아래와 같이 도식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
3. 예제
대학교 강의 데이터베이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코스 | 참고 도서 | 강사 |
|---|---|---|
| AHA | Silberschatz | John D |
| AHA | Nederpelt | John D |
| AHA | Silberschatz | William M |
| AHA | Nederpelt | William M |
| AHA | Silberschatz | Christian G |
| AHA | Nederpelt | Christian G |
| OSO | Silberschatz | John D |
| OSO | Silberschatz | William M |
위 표에서 강사는 코스에 속해 있고, 참고 도서도 코스에 속해 있다. 하지만 강사와 참고 도서는 서로 독립적이다. 따라서 이 데이터베이스 설계에는 다치 종속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AHA 코스에 새로운 참고 도서를 추가하려면, 해당 코스의 각 강사 데이터에 대해 참고 도서를 추가해야 한다.
3. 1. 다치 종속이 있는 데이터베이스
"강좌", "교재", "강사" 속성을 가진 릴레이션에서 다치 종속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한 강좌에 여러 교재와 강사가 배정될 수 있고, 이들이 서로 독립적일 때 다치 종속이 발생한다.| 강좌 | 도서 | 강사 |
|---|---|---|
| AHA | Silberschatz | John D |
| AHA | Nederpelt | John D |
| AHA | Silberschatz | William M |
| AHA | Nederpelt | William M |
| AHA | Silberschatz | Christian G |
| AHA | Nederpelt | Christian G |
| OSO | Silberschatz | John D |
| OSO | Silberschatz | William M |
위 표에서 {강좌} →→ {도서} 및 {강좌} →→ {강사} 다치 종속이 존재한다.[1] 이는 AHA 강좌에 새로운 도서를 추가하려면, 해당 강좌의 각 강사에 대해 레코드를 하나씩 추가해야 함을 의미한다. {강좌} {교재} 및 {강좌} {강사}로 표현할 수 있다.[1]
이러한 다치 종속은 데이터 중복을 야기하며,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과정 중 제4 정규형에서 제거되어야 한다.[1]
3. 2. 제4 정규형으로 정규화
다치 종속으로 인해 발생하는 데이터 중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릴레이션을 분해하여 제4 정규형을 만족시킬 수 있다. 주어진 예시에서는 릴레이션을 {강좌, 교재}와 {강좌, 강사}로 분해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각 릴레이션에서 다치 종속성이 제거되어 데이터 중복이 사라진다.원래의 'Teaching database'는 다음과 같았다.
| 강좌 | 도서 | 강사 |
|---|---|---|
| AHA | Silberschatz | John D |
| AHA | Nederpelt | John D |
| AHA | Silberschatz | William M |
| AHA | Nederpelt | William M |
| AHA | Silberschatz | Christian G |
| AHA | Nederpelt | Christian G |
| OSO | Silberschatz | John D |
| OSO | Silberschatz | William M |
이 릴레이션에는 {강좌} {도서} 및 {강좌} {강사} 라는 두 개의 다치 종속이 존재하여 제4 정규형을 만족하지 못했다.
이를 {강좌, 교재}와 {강좌, 강사} 두 릴레이션으로 분해하면 다음과 같다.
| 강좌 | 도서 |
|---|---|
| AHA | Silberschatz |
| AHA | Nederpelt |
| OSO | Silberschatz |
| 강좌 | 강사 |
|---|---|
| AHA | John D |
| AHA | William M |
| AHA | Christian G |
| OSO | John D |
| OSO | William M |
위와 같이 분해하면, 각 릴레이션은 제4 정규형을 만족하게 된다.
4. 성질
다치 종속은 함수 종속을 일반화한 개념이다. 다치 종속과 관련하여 다음 성질들이 성립한다.
- R에서 X --|]] Y 가 성립하는 것과, R을 (X,Y) 및 (X,R-Y)로 분해하는 것이 무손실 분해라는 것은 동치이다.
- 만약 이면, 이다. (보완성)
- 만약 이고 이면, 이다. (증대성)
- 만약 이고 이면, 이다. (전이성)
함수 종속성과 관련된 규칙은 다음과 같다.
- 만약 이면, 이다. (복제)
- 만약 이고 이면, 이다.
위 규칙은 건전하고 완전하다.
4. 1. 다치 종속의 추론 규칙
다치 종속(MVD)의 추론 규칙은 다음과 같으며, 암스트롱의 공리와 유사하다.- 보완성: 이면, 이다.
- 증대성: 이고 이면, 이다.
- 전이성: 이고 이면, 이다.
함수 종속성과 관련된 규칙은 다음과 같다.
- 복제: 이면, 이다.
- 이고 이면, 이다.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
- R에서 X --|]] Y 가 성립하는 것과, R을 (X,Y) 및 (X,R-Y)로 분해하는 것이 무손실 조인 분해이라는 것은 동치이다.
위에 언급된 규칙들은 건전하고 완전하다.
4. 2. 함수 종속과의 관계
함수 종속은 다치 종속의 특수한 경우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즉, 어떤 속성 집합 가 다른 속성 집합 를 함수적으로 결정하면, 는 를 다치 결정한다.
또한, 다치 종속과 함수 종속 사이에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이는 가 를 다치 결정하고, 가 를 함수적으로 결정하면, 는 에서 를 제외한 속성들을 함수적으로 결정한다는 의미이다.
5. 용어 정의
관계 스키마 과 의 부분집합인 속성 집합 , 가 있다고 하자. 이 의 임의의 유효한 관계라고 할 때, 에 있는 모든 튜플 쌍 과 에 대해 이면,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 과 가 에 존재하면 다치 종속 ("는 를 다결정한다")가 에서 성립한다.[1]
이를 비공식적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를 각각 , , 에 대한 값을 갖는 튜플이라고 하고, , , 로 표현하면, 튜플 와 가 에 존재할 때마다 튜플 와 도 에 존재해야 한다.
다치 종속은 아래와 같이 도식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전체 제약: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속성에 대한 내용을 표현하는 제약 조건이다. 다치 종속성이 ''전체 제약''인 것은 속성에 대해 말하는 정의에 따른다.
- 튜플 생성 종속성: 관계에 특정 튜플이 존재해야 함을 명시적으로 요구하는 종속성이다.
- 자명한 다치 종속성:
- 관계의 모든 속성을 포함하는 다치 종속성 ( ).
- 인 다치 종속성.
참조
[1]
서적
Database System Concepts
https://archive.org/[...]
McGraw-Hill
[2]
서적
[3]
서적
데이터베이스시스템
정익사
[4]
서적
Database System Concep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