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다항 계수는 음이 아닌 정수들의 합이 주어졌을 때 정의되는 계수이며, 이항 계수를 일반화한 개념이다. 다항 계수는 조합론적으로 특정 함수의 개수, 중복 집합의 순열 개수, 격자 경로의 개수 등과 관련되며, 다항 정리 및 다항 분포와 같은 수학적 개념에 활용된다. 다항 정리에서는 다항식의 전개를 나타내며, 다항 분포는 여러 범주에 대한 확률 분포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2. 정의
음이 아닌 정수들의 합 이 주어졌을 때, '''다항 계수'''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다항 계수를 단체에 나열한 표를 '''파스칼의 단체'''(Pascal의單體, Pascal's simplex영어)라고 한다.
3. 성질
다항 계수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1]
- ()을 만족시키는 함수 의 수.
- 중복집합 의 순열의 수
- 위의, 시작점이 0, 끝점이 , 보폭이 표준 기저인 격자 경로(lattice path영어)의 개수
3. 1. 항등식
다음과 같은 점화식이 성립한다.
:
다음과 같은 합 공식이 성립한다. 이는 다항 정리의 따름정리이다.
:
다항 정리라고 불리는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
특히 로 놓으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3. 2. 수론적 성질
다항 계수의 소인수의 중복도를 쿠머 정리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3. 3. 조합론적 성질
- ()을 만족시키는 함수 의 수.
- * 즉, 개의 공을 크기가 각각 인 개의 상자에 넣는 방법의 수
- 중복집합 의 순열의 수
- * 즉, 글자 단어가 각각 번 나오는 가지 글자로 이루어졌을 때, 그 단어의 어구전철의 수
- 위의, 시작점이 0, 끝점이 , 보폭이 표준 기저인 격자 경로(lattice path영어)의 개수[1]
- 다항 전개의 계수
다항 계수 는 개의 대상을 개의 구별되는 상자에 분할하여 넣을 때, 각 번째 상자에 개만의 대상이 포함되도록 넣는 방법의 총수이다.
다항 계수 는 에 대해 각각 정확히 개의 구별 불가능한 대상이 포함된 개의 대상의 순열의 총 개수와 같다.
예시로, "MISSISSIPPI"의 아나그램 문자를 재배열하여 얻을 수 있는 서로 다른 "단어"의 개수를 생각해보자.
이 11개의 문자의 순열의 총 개수를 세어야 하는데, 문자 M은 1개, 문자 I는 4개, 문자 S는 4개, 문자 P는 2개이므로 다항 계수는 다음과 같다.
:
이와 대조적으로, 만약 11개의 문자가 모두 구별 가능하다면, 그 총 개수는 으로 훨씬 많아진다.
4. 응용
다항 계수는 다항 정리와 다항 분포에 응용된다. 다항 정리는 다항식의 전개를 나타내는 공식이며, 다항 분포는 여러 범주에 대한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하위 섹션 내용과 중복되어 최대한 간결하게 작성됨)
4. 1. 다항 정리
'''다항 정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항식의 전개가 성립한다.
:
다중지표 표기법을 사용하여 다항 정리를 다음과 같이 적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