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달의 마그마 바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의 마그마 바다는 달이 형성된 초기 단계에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규모의 용융 상태의 물질을 의미한다. 초기 화학 조성, 깊이, 온도가 열역학적 진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일반적으로 47.1% SiO2, 33.1% MgO, 12.0% FeO, 4.0% Al2O3, 3.0% CaO의 조성을 가지며, 깊이는 1000km로 추정된다. 마그마 바다는 감람석과 휘석의 결정화로 시작하여 사장석이 주를 이루는 사장암이 형성되면서 달의 원시 지각을 만들었다. 달의 마그마 바다는 달 형성 후 수천만 년에서 수억 년 동안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철질 사장암 표본과 KREEP의 연대를 통해 그 지속 기간을 추정한다. 달의 마그마 바다 이론에 대한 대안으로, 단계적 마그마화 이론과 연속 마그마 작용 모델이 제시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달의 지질 - KREEP
    KREEP는 칼륨, 희토류 원소, 인이 풍부한 달 암석으로, 폭풍의 대양과 비의 바다 밑에 집중된 폭풍 KREEP 지형에서 주로 발견되며 달의 기원과 진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달의 지질 - 달의 내부구조
    달의 내부구조는 금속 철 합금으로 이루어진 작은 핵, 맨틀, 지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핵은 부분적으로 용융된 층과 고체 내부 핵, 황을 포함할 수 있는 액체 외부 핵으로 이루어져 있다.
달의 마그마 바다
개요
유형지구형 행성
구성 성분감람석
휘석
사사장석
이론적 모델
정의달의 초기 진화 단계에서 표면 전체를 덮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마그마 층
형성 시기달의 탄생 직후
형성 메커니즘거대 충돌 가설에 따라 지구와 충돌한 테이아의 잔해로 형성된 원시 달이 겪은 극심한 열적 진화
원시 달 표면에 운석 충돌로 인한 열에너지 축적
진화 과정마그마 해양 냉각 및 결정화
밀도에 따른 광물 분리 및 층상 구조 형성
사장석 부상 및 현무암질 마그마 고결
잔재달 고지대를 구성하는 회장암
KREEP (칼륨, 희토류 원소, 인이 풍부한 물질)
증거회장암의 높은 사장석 함량
달 표면 암석의 희토류 원소 분포 패턴
텅스텐 동위원소 분석 결과
연구
연구 방법달 표면 암석 샘플 분석
달 탐사 위성 데이터 분석
실험실에서의 광물 결정화 실험
컴퓨터 시뮬레이션
관련 연구달의 기원 및 초기 진화 연구
지구형 행성의 마그마 해양 진화 연구
운석 충돌과 행성 표면 변화 연구
참고 자료
관련 용어거대 충돌 가설
회장암
사장석
현무암
KREEP
추가 정보
관련 정보달의 내부 구조
달의 지질학적 역사
지구의 초기 진화

2. 초기 상태

달의 마그마 바다의 초기 상태는 화학 조성, 깊이, 온도의 세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되며, 이 요소들이 열역학적 진화 과정을 결정한다.[45] 달의 마그마 바다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치는 47.1% SiO2, 33.1% MgO, 12.0% FeO, 4.0% Al2O3, 3.0% CaO이며, 초기 깊이는 1000 km, 온도는 1900 K이다.[45]

350x350px

2. 1. 초기 화학 조성과 깊이

달의 마그마 바다의 초기 화학 조성은 달 표본의 성분, 현재 달 지각의 성분 및 두께를 바탕으로 추정한다. 컴퓨터 모델링에서는 화학 조성을 기본 분자인 SiO2, MgO, FeO, Al2O3, CaO의 중량 백분율로 정의한다. 이러한 조성은 지구의 맨틀과 유사하지만, 내화물질의 구성비에 차이가 있다.[49][44]

초기 깊이 추정치는 100 km부터 달의 반지름 전체까지 다양하다.[50][45][51][52]

3. 결정화 단계

달의 마그마 바다(LMO)에서 광물결정화되는 순서는 초기 상태(화학적 조성, 깊이, 온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보언의 반응 계열에 따르면 감람석휘석이 먼저 결정화되어 밀도 차이로 인해 아래로 가라앉는다. LMO가 약 80% 정도 결정화되면 사장석 등 다른 광물들이 결정화된다. 사장암은 위로 떠올라 달의 원시 지각을 형성한다.[6]

3. 1. 결정화 순서

광물결정화 순서는 마그마 바다의 초기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보언의 반응 계열에 따르면, 감람석휘석이 가장 먼저 결정화된다. 이 광물들은 주변 마그마보다 밀도가 높아 아래로 가라앉기 때문에, 마그마 바다는 아래쪽부터 굳는 것처럼 보인다. 마그마 바다가 80% 정도 결정화되면, 사장석이 다른 광물들과 함께 결정화된다. 사장석이 주성분인 사장암은 위로 떠올라 달의 원시 지각을 형성한다.[6]

4. 기간

달의 마그마 바다는 달 형성 이후 수천만 년에서 수억 년 동안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철질 사장암 표본과 KREEP의 연대 측정을 통해 마그마 바다의 지속 기간을 추정할 수 있다. 과거에는 철질 감람암 간 나이 차이를 통해서도 지속 기간을 측정하려 했으나, 표본 나이의 오차가 크고 충돌로 인해 표본의 나이가 바뀐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4. 1. 연대 측정 및 가열원

달의 마그마 바다는 달이 형성된 후 수천만 년에서 수억 년 동안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달의 형성 시기는 칼슘-알루미늄 포유물 형성 이후 5200만~1억 5200만 년 사이로 추정되지만, 마그마 바다의 정확한 형성 시기는 불분명하다. 반면 마그마 바다가 사라진 시기는 철질 사장암 표본 60025 (43억 6000만±300만 년)와 KREEP의 추정 연도 (43억 6800만±2900만 년)를 통해 비교적 정확히 추산할 수 있다.[55]

만약 달이 태양계 형성 후 5200만 년 후에 형성되었다면, 표본과 KREEP 연도를 마그마 바다가 완전히 결정화된 시점으로 보아 마그마 바다의 지속 기간은 1억 5500만 년이 된다. 이 경우 컴퓨터 모형에서는 조석 가열 등 추가적인 가열원이 있어야 마그마 바다의 결정화가 지연된다는 결과가 나온다.[53][54] 달이 태양계 형성 후 1억 5200만 년 즈음에 형성되었다면, 표본과 KREEP 연도를 통해 5500만 년 동안 존재했다는 결론을 얻으며, 이는 마그마 바다를 가열한 추가적인 열원이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500x500px


과거에는 철질 감람암 간 나이 차이를 통해 마그마 바다의 지속 기간을 측정하려 하였으나, 표본 나이의 오차가 크고 충돌로 인해 표본의 나이가 바뀐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가장 오래된 철질 감람암 표본은 67016으로 45억 6000만±7000만 년이고,[56] 가장 최근 표본은 62236으로 42억 9000만±600만 년으로,[57] 둘 사이의 차이는 2억 7000만 년이다. 이 수치에 따르면 위와 마찬가지로 다른 가열원이 있어야 한다.[53]

5. 반론

달의 마그마 바다 이론에 대한 대표적인 대안으로 단계적 마그마화 이론이 제시되기도 한다.[58][59] 연속 마그마 작용 모델은 달의 마그마 바다 모델의 대안 모델 중 하나이다.[29][30]

참조

[1] 논문 Tungsten isotopes in ferroan anorthosites: Implications for the age of the Moon and lifetime of its magma ocean 2009-02
[2] 논문 Lunar accretion from an impact-generated disk 1997-09
[3] 논문 Evolution of a Circumterrestrial Disk and Formation of a Single Moon 2000-12
[4] 논문 Angular Momentum Transfer in a Protolunar Disk https://cds.cern.ch/[...] 2001-10-10
[5] 논문 A Petrologic Model for the Moon Based on Petrogenesis, Experimental Petrology, and Physical Properties 1970-07
[6] 논문 Lunar Anorthosites 1970-01-30
[7] 웹사이트 Apollo Sample Description https://curator.jsc.[...] 2019-09-29
[8] 웹사이트 PSRD: The Oldest Moon Rocks http://www.psrd.hawa[...] 2019-09-27
[9] 논문 Ferroan anorthosite: A widespread and distinctive lunar rock type 1974-11
[10] 서적 Exploring geology 2015-01-12
[11] 논문 Lunar Magma Ocean crystallization revisited: Bulk composition, early cumulate mineralogy, and the source regions of the highlands Mg-suite 2011-06
[12] 논문 The origin of the moon and the early history of the earth—A chemical model. Part 1: The moon 1991-04
[13] 논문 Modeling the Thermochemical Evolution of the Lunar Magma Ocean using Igneous Crystallization Programs 2018-12-01
[14] 논문 Petrogenesis of picritic mare magmas: Constraints on the extent of early lunar differentiation 2006-12
[15] 논문 The lunar magma ocean: Reconciling the solidification process with lunar petrology and geochronology 2011-04
[16] 논문 The moon: Composition determined by nebular processes 1978-06
[17] 논문 A dynamic model for mare basalt petrogenesis 1976-04-01
[18] 논문 Anorthosite assimilation and the origin of the Mg/Fe-related bimodality of pristine moon rocks: Support for the magmasphere hypothesis 1986-03-30
[19] 서적 Planetary Science: A Lunar Perspective Lunar and Planetary Institute
[20] 논문 Ancient Igneous Intrusions and Early Expansion of the Moon Revealed by GRAIL Gravity Gradiometry 2012-12-05
[21] 논문 Fractional crystallization of the lunar magma ocean: Updating the dominant paradigm 2018-04-16
[22] 논문 Thermal expansion and thermal stress in the moon and terrestrial planets - Clues to early thermal history 1976-04-01
[23] 논문 Tidal dissipation in the lunar magma ocean and its effect on the early evolution of the Earth–Moon system 2016-09
[24] 논문 Effect of Reimpacting Debris on the Solidification of the Lunar Magma Ocean 2018-05
[25] 논문 A review of lunar chronology revealing a preponderance of 4.34–4.37 Ga ages 2015
[26] 논문 An ancient Sm-Nd age for a ferroan noritic anorthosite clast from lunar breccia 67016 1994-07
[27] 논문 Isotopic studies of ferroan anorthosite 62236: a young lunar crustal rock from a light rare-earth-element-depleted source 1999-10
[28] 논문 Early formation of the Moon 4.51 billion years ago. https://doi.org/10.1[...] 2017-01
[29] 논문 Sinking the Lunar Magma Ocean: New Evidence from Meteorites and the Return of Serial Magmatism 2012-03
[30] 논문 Lunar feldspathic meteorites: Constraints on the geology of the lunar highlands, and the origin of the lunar crust 2014-02
[31] 논문 Tungsten isotopes in ferroan anorthosites: Implications for the age of the Moon and lifetime of its magma ocean 2009-02
[32] 논문 Lunar accretion from an impact-generated disk 1997-09
[33] 논문 Evolution of a Circumterrestrial Disk and Formation of a Single Moon 2000-12
[34] 논문 Angular Momentum Transfer in a Protolunar Disk http://cds.cern.ch/r[...] 2001-10-10
[35] 논문 A Petrologic Model for the Moon Based on Petrogenesis, Experimental Petrology, and Physical Properties 1970-07
[36] 저널 Lunar Anorthosites 1970-01-30
[37] 웹인용 Apollo Sample Description https://curator.jsc.[...] 2019-09-29
[38] 웹인용 PSRD: The Oldest Moon Rocks http://www.psrd.hawa[...] 2019-09-27
[39] 저널 Ferroan anorthosite: A widespread and distinctive lunar rock type 1974-11-01
[40] 서적 Exploring geology 2015-01-12
[41] 저널 Lunar Magma Ocean crystallization revisited: Bulk composition, early cumulate mineralogy, and the source regions of the highlands Mg-suite 2011-06-01
[42] 저널 The origin of the moon and the early history of the earth—A chemical model. Part 1: The moon 1991-04-01
[43] 저널 Modeling the Thermochemical Evolution of the Lunar Magma Ocean using Igneous Crystallization Programs 2018-12-01
[44] 저널 Petrogenesis of picritic mare magmas: Constraints on the extent of early lunar differentiation 2006-12-01
[45] 저널 The lunar magma ocean: Reconciling the solidification process with lunar petrology and geochronology 2011-04-01
[46] 저널 The moon: Composition determined by nebular processes 1978-06-01
[47] 저널 A dynamic model for mare basalt petrogenesis 1976-04-01
[48] 저널 Anorthosite assimilation and the origin of the Mg/Fe-related bimodality of pristine moon rocks: Support for the magmasphere hypothesis 1986-03-30
[49] 서적 Planetary Science: A Lunar Perspective https://archive.org/[...] Lunar and Planetary Institute 1982-01-01
[50] 저널 Ancient Igneous Intrusions and Early Expansion of the Moon Revealed by GRAIL Gravity Gradiometry 2012-12-05
[51] 저널 Fractional crystallization of the lunar magma ocean: Updating the dominant paradigm 2018-04-16
[52] 저널 Thermal expansion and thermal stress in the moon and terrestrial planets - Clues to early thermal history 1976-04-01
[53] 저널 Tidal dissipation in the lunar magma ocean and its effect on the early evolution of the Earth–Moon system 2016-09-01
[54] 저널 Effect of Reimpacting Debris on the Solidification of the Lunar Magma Ocean 2018-05-01
[55] 저널 A review of lunar chronology revealing a preponderance of 4.34–4.37 Ga ages 2015-01-01
[56] 저널 An ancient Sm-Nd age for a ferroan noritic anorthosite clast from lunar breccia 67016 1994-07-01
[57] 저널 Isotopic studies of ferroan anorthosite 62236: a young lunar crustal rock from a light rare-earth-element-depleted source 1999-10-01
[58] 저널 Sinking the Lunar Magma Ocean: New Evidence from Meteorites and the Return of Serial Magmatism 2012-03-01
[59] 저널 Lunar feldspathic meteorites: Constraints on the geology of the lunar highlands, and the origin of the lunar crust 2014-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