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REEP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REEP는 칼륨, 희토류, 인이 풍부하게 함유된 물질로, 달에서 발견된다. KREEP는 칼륨, 인산화물, 란타넘 등을 포함하며, 달의 마그마 바다가 결정화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루나 프로스펙터 탐사선의 관측 결과, KREEP는 폭풍의 바다와 비의 바다 아래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 지역은 폭풍 KREEP 지형으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달의 지질 - 달의 내부구조
    달의 내부구조는 금속 철 합금으로 이루어진 작은 핵, 맨틀, 지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핵은 부분적으로 용융된 층과 고체 내부 핵, 황을 포함할 수 있는 액체 외부 핵으로 이루어져 있다.
  • 달의 지질 - 달의 마그마 바다
    달의 마그마 바다는 달 초기 표면 아래에 존재했던 거대한 마그마 층으로, 달의 지각과 맨틀 진화, 지질학적 역사, 형성 시기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단계적 마그마화 이론이라는 대안도 존재한다.
  • 지구화학 -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 완화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과 흡수원 증진을 통해 지구 온난화를 억제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효율 향상, 농업 및 산업 정책, 탄소 흡수원 강화, 이산화탄소 제거 기술 개발 등 다양한 조치로 지구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노력이다.
  • 지구화학 - 미량 원소
    미량 원소는 지구과학에서 지각 내 극미량 원소를, 생물학에서 생명 활동에 필수적이나 함량이 적은 원소를 뜻하며, 두 분야의 정의는 다르나 극소량으로 존재하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공통점이 있고, 생물학적으로는 철보다 함량이 적은 원소를 지칭하며, 인체 필수 미량 원소 결핍 및 과다 섭취는 건강 문제를 야기하므로 적정량 섭취가 중요하다.
  • 광물학 - 결정
    결정은 원자들이 주기적으로 배열된 고체 물질로, 단위세포의 반복적인 배열, 219가지 결정 대칭성, 7가지 결정계로 특징지어지며, 다양한 화학 결합과 이방성으로 특별한 특성을 나타내 결정학 연구의 대상이 된다.
  • 광물학 - 광석
    광석은 유용한 광물을 포함하는 암석으로, 유용한 광물을 분리하는 과정을 거쳐 맥석은 광미가 되며, 금, 은, 구리, 철 등 주요 광석 광물이 있으며, 광상으로 분류되고 채굴 과정을 거쳐 국제적으로 거래된다.
KREEP
KREEP
유형지구화학적 구성 요소
발견 장소
주요 원소칼륨 (K)
희토류 원소 (REE)
(P)
상세 정보
특징달 암석에서 발견되는 지구화학적 성분으로, 칼륨(K), 희토류 원소(REE), 인(P)이 풍부함.
관련 용어KREEP 용암
KREEP 현무암

2. 일반적인 구성

KREEP은 질량 기준으로 약 1%의 칼륨과 인 산화물, 20~25ppm의 루비듐, 탄소질 운석에서 발견되는 농도의 300~350배에 달하는 란타넘을 포함한다.[3] KREEP 내 칼륨, 희토류, 인 대부분은 인회석과 메릴라이트 가루 속에 들어있다.[12]

2. 1. 구성 광물

KREEP에는 질량비로 약 1%가량의 칼륨과 산화 이 있으며, 10만 분의 2 ~ 2.5 정도 루비듐이 있고, 일반적인 구립운석에 비해 300 ~ 350배가량 란타넘이 많다.[11] KREEP 내의 칼륨, 희토류, 인 대부분은 인회석과 메릴라이트 가루 속에 들어있다.[12]

3. 기원

KREEP의 기원은 달의 기원과 관련이 있으리라 추정된다. 거대충돌 가설에 따르면, 약 45억 년 전 테이아가 지구와 충돌하여 달이 만들어졌다.[13][14] 이 충돌로 발생한 에너지로 인해 달의 대부분이 액체 상태가 되어 달의 마그마 바다를 형성했고, 마그마가 식으면서 감람석휘석 같은 광물은 가라앉아 맨틀을 형성하였다.

3. 1. 거대충돌 가설

현재 가장 유력한 가설은 거대충돌 가설에 따라 테이아가 약 45억 년 전 지구와 충돌하여 달이 형성되었다는 것이다.[13][14] 충돌로 인해 발생한 막대한 에너지로 인해 달의 마그마 바다가 형성되었고, 마그마가 결정화되면서 감람석이나 휘석은 가라앉아 맨틀을 형성하고, 밀도가 낮은 회장석은 떠올라 지각을 형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KREEP 성분은 지각과 맨틀 사이에 끼어 있게 되었다. 이 과정의 근거로는 달 고원에 사장질 암석의 비율이 높고, KREEP을 함유한 암석이 다수 존재한다는 것이 있다.[15]

4. 루나 프로스펙터의 측정

루나 프로스펙터 달 궤도 위성 임무 이전에는 KREEP 물질이 지각 아래에 광범위한 층으로 형성되었을 것이라고 일반적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이 위성에 탑재된 감마선 분광기의 측정 결과, KREEP를 포함하는 암석은 주로 폭풍의 바다와 비의 바다 아래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8]

4. 1. 폭풍 KREEP 지형

루나 프로스펙터 탐사선의 감마선 분광기 관측 결과, KREEP을 함유한 암석은 폭풍의 대양비의 바다 밑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지역은 현재 폭풍 KREEP 지형(Procellarum KREEP Terrane영어)으로 불린다.[16]

위난의 바다, 동쪽의 바다, 남극 에이트켄 분지 등 이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충돌로 인해 방출된 물질에서 KREEP 성분이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폭풍 KREEP 지형에서의 발열 원소 집중은 달의 앞면에서 화산 활동이 일어나 바다를 많이 형성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16]

참조

[1] 웹사이트 A New Moon for the Twenty-First Century http://www.psrd.hawa[...] University of Hawaii 2000-08-31
[2] 논문 Thermal and Magmatic Evolution of the Moon http://rimg.geoscien[...] Mineralogical Society of America and Geochemical Society 2006
[3] 논문 'K-Frac + REEP-Frac': A New Understanding of KREEP in Terms of Granite and Phosphate Petrogenesis http://articles.adsa[...] 1988-03
[4] 서적 understanding the lunar surface and Space-Moon Interactions Mineralogical society of America 2006
[5] 논문 Where Did The Moon Come From? 2005
[6] 웹사이트 Gamma Rays, Meteorites, Lunar Samples, and the Composition of the Moon http://www.psrd.hawa[...] University of Hawaii 2005-11-22
[7] 논문 The Constitution and Structure of the Lunar Interior http://rimg.geoscien[...] Mineralogical Society of America and Geochemical Society 2006
[8] 논문 Major lunar crustal terranes: Surface expressions and crust-mantle origi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00-02-25
[9] 웹인용 A New Moon for the Twenty-First Century http://www.psrd.hawa[...] University of Hawaii 2000-08-31
[10] 논문 Thermal and Magmatic Evolution of the Moon http://rimg.geoscien[...] Mineralogical Society of America and Geochemical Society 2006
[11] 논문 'K-Frac + REEP-Frac': A New Understanding of KREEP in Terms of Granite and Phosphate Petrogenesis http://articles.adsa[...] 1988-03
[12] 서적 understanding the lunar surface and Space-Moon Interactions Mineralogical society of America 2006
[13] 논문 Where Did The Moon Come From? 2005
[14] 웹인용 Gamma Rays, Meteorites, Lunar Samples, and the Composition of the Moon http://www.psrd.hawa[...] University of Hawaii 2005-11-22
[15] 논문 The Constitution and Structure of the Lunar Interior http://rimg.geoscien[...] Mineralogical Society of America and Geochemical Society 2006
[16] 논문 Major lunar crustal terranes: Surface expressions and crust-mantle origins http://www.agu.org/p[...]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00-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