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런 드라이포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런 드라이포트는 위치타 주립대학교 시절 투수와 타자로 활약하며 골든 스파이크 어워드 등을 수상하고, 1993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2순위로 지명된 야구 선수이다. 1994년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여 선발과 구원 투수로 활동했으나, 2000년 이후 팔꿈치, 무릎, 엉덩이 부상 등으로 인해 기량이 저하되어 '먹튀' 논란에 휩싸였다. 2001년 다저스와 5년 5,500만 달러의 대규모 계약을 맺었으나, 잦은 부상으로 인해 계약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선수 - 그레그 매덕스
그레그 매덕스는 뛰어난 제구력과 지략적인 투구로 '정밀 기계'라 불리며 4년 연속 사이 영 상을 수상하고 18시즌 연속 골드 글러브를 수상하는 등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355승을 거둔 전직 투수로서,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선수 - 박찬호
박찬호는 한국인 최초로 메이저 리그에 진출하여 아시아 출신 투수 최다승 기록을 세운 전직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에서 활약했으며 국가대표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 - 다코타 허드슨
다코타 허드슨은 미시시피 주립 대학교 출신의 미국 프로 야구 투수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하여 콜로라도 로키스를 거쳐 현재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소속이며, 97마일의 싱커를 던지는 땅볼 유도형 투수이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 - 호세 카페얀
호세 카페얀은 미국과 한국 프로 야구에서 활동했으며,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하다가 2015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 1972년 출생 - 나르게스 모하마디
이란의 인권 운동가이자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나르게스 모하마디는 여성 인권과 사형 제도 폐지를 위해 활동하며 이란 정부에 의해 여러 차례 투옥되었고, 2023년에는 이란 여성 억압에 맞선 투쟁으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수감 중에도 저술 활동을 통해 인권 유린 실태를 고발하고 있다. - 1972년 출생 - 김여진
김여진은 1998년 영화 데뷔 후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을 수상하고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했으며, 2000년대 후반부터는 사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배우이다.
대런 드라이포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어명 | Darren Dreifort |
출생지 | 캔자스주위치타 |
생년월일 | 1972년 5월 3일 |
신장 | 188cm |
체중 | 93kg |
利き腕 | 오른손 |
打席 | 오른손 |
수비 위치 | 투수 |
프로 입단 년도 | 1993년 |
드래프트 순위 | MLB 드래프트 1라운드 |
선수 경력 | |
팀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94년, 1996년 - 2001년, 2003년 - 2004년) |
국가대표 | |
대표팀 | 미국 합중국 |
올림픽 | 1992년 |
MLB 경력 | |
첫 출장 | 1994년 4월 7일 |
마지막 출장 | 2004년 8월 16일 |
포지션 | 투수 |
타석 | 오른손 |
투구 | 오른손 |
승패 기록 | 48승 60패 |
평균자책점 | 4.36 |
삼진 | 802 |
수상 | |
수상 내역 | 골든 스파이크 상 (1993년) |
2. 선수 경력
드라이포트는 위치타 하이츠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90년 뉴욕 메츠에 지명되었으나, 위치타 주립 대학교에 진학하여 대학 야구 선수로 활동했다. 2번의 컨센서스 올-아메리칸에 선정되었고, 1993년 NCAA 올해의 선수로 뽑혔다.
1993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2순위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지명되어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마이너 리그를 거치지 않고 바로 메이저 리그에 합류한 몇 안 되는 선수 중 한 명이었다. 1994년 플로리다 말린스와의 경기에서 구원 투수로 데뷔, 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으나, 1995년에는 부상으로 시즌을 통째로 쉬어야 했다.
1996년과 1997년에는 불펜 투수로 복귀하여 좋은 활약을 펼쳤다. 특히 1997년에는 48경기에 출전하여 5승 2패, 평균자책점 2.86, 4세이브를 기록하며 팀의 핵심 불펜 투수로 자리매김했다.
1998년부터는 선발 투수로 전향하여 2000년까지 꾸준히 성장했다. 2000년에는 32번의 선발 등판에서 12승 9패, 평균자책점 4.16, 164개의 탈삼진을 기록하며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시즌 후 자유 계약 선수가 된 드라이포트는 5년 총액 5500만달러의 대형 계약을 맺고 다저스에 잔류했으나, 이후 잦은 부상에 시달리며 기대만큼의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2001년과 2003년에는 수술과 재활로 많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고, 결국 2004년에 구원 투수로 보직을 변경했으나, 32세의 젊은 나이에 은퇴를 선언했다.
2. 1. 아마추어 시절
위치타주립대학교 시절 투수로 26승 5패, 17세이브, 평균자책점 2.24를 기록했고, 타자로는 314타수에서 0.318의 타율과 25홈런, 89타점을 기록했다. 이러한 활약으로 아마추어 선수와 대학야구 선수에게 주어지는 최고 상인 '골든 스파이크 상'과 '로터리 스미스 상'을 동시에 수상했다. 대학 시절 투타 양면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여 메이저 리그 구단들로부터 많은 주목을 받았다.[1]위치타 하이츠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90년 뉴욕 메츠에 지명되었으나, 위치타 주립 대학교에 진학했다. 대학 야구 선수로서 2번의 컨센서스 올-아메리칸 선수로 선정되었고, 1993년 NCAA 올해의 선수였다. 위치타 주립 대학교에서의 활약으로 캔자스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
1991년부터 2년 연속으로 미·일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 미국 대표로 선출되었으며, 1992년에는 바르셀로나 올림픽 야구 미국 대표팀으로 출전했다. 1993년에는 골든 스파이크 상을 수상했다.[1]
2. 2. 메이저 리그 시절
1993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2순위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지명된 드라이포트는 마이너 리그를 거치지 않고 바로 메이저 리그에 합류했다. 1994년 데뷔하여 구원 투수로 뛰었으나, 부상으로 1995년 시즌을 결장했다. 1996년과 1997년에는 불펜 투수로 복귀하여 좋은 활약을 펼쳤다.1998년부터 선발 투수로 전환하여 2000년까지 꾸준히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2000년 시즌 후에는 5년 총액 5500만달러의 대형 계약을 맺었으나, 이후 잦은 부상으로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2001년과 2003년에는 수술과 재활로 많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고, 2004년에는 구원 투수로 전환했으나 결국 은퇴를 선언했다.
2. 2. 1.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93-2005)
1993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2순위로 알렉스 로드리게스 다음으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지명되었다. 마이너 리그를 거치지 않고 바로 메이저 리그에 합류한 몇 안 되는 선수 중 한 명이다.[2] 1994년 4월 7일 플로리다 말린스를 상대로 데뷔하여 구원 투수로 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다. 그 시즌 다저스에서 27경기에 출전하여 0승 5패, 평균자책점 6.21을 기록했다.[2]1995년 시즌은 부상으로 결장했고, 1996년과 1997년 시즌에는 다저스 불펜으로 복귀하여 후반 이닝 셋업맨으로 효과적인 투구를 했다. 1996년 8월 30일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상대로 구원 등판하여 생애 첫 승을 기록했다. 1997년에는 48경기에 출전하여 5승 2패, 평균자책점 2.86, 4세이브를 기록하며 좋은 모습을 보였다.[2]
1998년 시즌부터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했다. 4월 11일 다저 스타디움에서 휴스턴 애스트로스를 상대로 첫 선발 등판하여 5이닝을 던지고 패전 투수가 되었다. 그 시즌 8승 12패, 평균자책점 4.00을 기록했다. 1999년에는 13승 13패, 2000년에는 32번의 선발 등판에서 12승 9패, 평균자책점 4.16, 164개의 탈삼진을 기록하며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2]
2000년 시즌 후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고, 5년 총액 5500만달러에 다저스와 재계약했다.[1][2] 이는 통산 성적이 39승 45패였고 팔 부상 경력이 있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큰 계약이었다. 2001년 제한적인 자유 계약 투수 시장에서 드라이포트의 에이전트 스콧 보라스는 다저스에 그의 잠재력을 설득하며, 내셔널 리그 서부 지구 라이벌인 콜로라도 로키스와 계약할 수 있음을 암시했고, 다저스는 이에 큰 계약으로 응답했다.[2]
5년 계약의 첫 해인 2001년에는 개막부터 선발 투수로 등판했지만, 6월 29일 등판을 마지막으로 시즌을 마쳤다. 7월 9일에 두 번째 토미 존 수술을 받았고, 31일에는 관절경을 이용한 오른발 수술을 받았다.[3] 2002년에는 재활로 인해 한 시즌을 통째로 쉬었다.[1] 2003년에는 개막부터 선발 투수로 등판했지만, 오른 다리 부상으로 5월 29일부터 부상자 명단에 올랐고, 그대로 시즌을 마쳤다. 이 시즌에 4승 4패를 기록했다.[1][3]
2004년에는 구원 투수로 60경기에 등판했지만, 8월 16일 등판을 마지막으로 시즌을 마쳤다.[3] 잦은 부상과 수술로 인해 기량이 급격히 저하되어 선발 투수에서 중간 계투로 전환했고, '5500만달러짜리 중간 계투'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 시즌에 1승 4패라는 처참한 성적을 기록했다.[1] 결국 엉덩이 수술과 무릎 수술을 다시 받게 되어 시즌 아웃되었고, 계약 기간이 만료되자마자 웨이버 공시된 후 은퇴를 선언했다.[1] 메이저 리그에서 대표적인 '먹튀'로 손꼽히는 선수 중 한 명이다.[1]
2. 3. 은퇴 이후
드라이포트는 계약 첫 시즌에 건강 문제로 경기에 나서지 못했다. 2002년 초 팔꿈치 재건 수술을 받아 7월 초에 시즌을 마감했고, 2002년 말까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팔과 어깨 문제 외에도 무릎과 엉덩이 문제까지 겹쳐 드라이포트는 계약 기간 5년 중 3년만 경기에 출전했으며, 2005년 시즌 전체와 다른 두 시즌의 일부를 결장했다.[1]2004년, 팀 의료진이 드라이포트가 부상으로 인해 선발 투수로 뛸 수 없다고 조언하자, 드라이포트는 기예르모 모타와 마무리 투수 에릭 가니에 앞에서 다저스의 7회 구원 투수가 되었다. 드라이포트는 오래된 팔과 어깨 문제 외에도 무릎과 엉덩이 문제로 인해 일관성 없는 투구를 했다.[1]
드라이포트의 문제는 결합 조직을 약화시키는 퇴행성 질환과 엉덩이 문제의 근원일 수 있는 대퇴골 변형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이는 그의 신체 회전 능력에 영향을 미쳐 무릎과 팔꿈치에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1] 그는 총 22번의 수술을 받았으며, 그 중 20번은 대학 졸업 후 프로 야구를 시작한 이후에 받았다.[1]
드라이포트는 32세의 나이로 은퇴했다. 그는 전 스포츠 기자 크리스탈 페르난데스와 결혼했으며 캘리포니아주 퍼시픽 팰리세이즈에 거주하고 있다. 그는 다저스 마이너 리그 스프링 트레이닝 강사로 활동하며 야구와 계속 연관을 맺고 있다.[1]
드라이포트는 2009년 대학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
3. 부상 및 수술 기록
2001년 시즌 팔꿈치 부상으로 4승 7패의 성적을 거두었고, 2002년에는 재활 훈련으로 시즌 전체를 결장했다.[1] 2002년 초 팔꿈치 재건 수술을 받았으며, 2001년 7월 9일에는 두 번째 토미 존 수술과 오른발 관절경 수술을 받았다.[1]
2003년에는 부상에서 복귀했으나 무릎 부상과 엉덩이 부상으로 다시 시즌 아웃되었고, 4승 4패를 기록했다.[1] 2003년 5월 29일부터 오른 다리 부상으로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2004년에는 수술 후 복귀했지만 잦은 수술로 기량이 저하되어 중간 계투로 전환, 1승 4패를 기록하고 8월 16일에 마지막으로 등판했다.[1]
이후 엉덩이 수술과 무릎 수술을 받고 시즌 아웃되었으며, 계약 기간 만료 후 은퇴했다.[1] 그는 프로 선수 생활 동안 총 22번의 수술을 받았으며, 그 중 20번은 대학 졸업 후에 받았다.[1]
4. '먹튀' 논란과 비판적 시각
대런 드라이포트는 1999년과 2000년에 각각 13승과 12승을 거두며 좋은 모습을 보였다. 2000년 이후 FA 자격을 얻었을 때, 좋은 움직임을 가진 직구, 어린 나이, 잠재력 등을 이유로 5년간 5500만달러에 재계약했다.[1]
그러나 2001년 시즌에 팔꿈치 부상으로 4승 7패라는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을 거두었다. 2002년에는 재활 훈련으로 시즌 전체를 뛸 수 없었다.[1]
2003년에는 부상에서 회복되어 돌아왔으나, 무릎 부상으로 다시 시즌 아웃되었다. 시즌 도중에는 엉덩이 부상까지 겹쳤다. 이 해에 4승 4패를 기록했다.[1]
2004년에는 수술 결과가 좋아 복귀할 수 있었으나, 잦은 수술로 인해 기량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결국 선발 투수를 포기하고 '5500만달러짜리 중간 계투'가 되었다. 그 해 성적은 1승 4패로 매우 저조했다.[1]
결국 다시 엉덩이 수술과 무릎 수술을 받게 되어 시즌 아웃되었다. 계약 기간이 끝나자마자 웨이버 공시되었고 은퇴를 선언했다.[1]
드라이포트는 메이저 리그에서 대표적인 '먹튀' 선수 중 한 명으로 꼽힌다.[1]
5. 연도별 투구 성적
연도 | 팀 | 경기 | 선발 | 완투 | 완봉 | 무4구 | 승리 | 패배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4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
1994년 | LAD | 27 | 0 | 0 | 0 | 0 | 0 | 0 | 5 | 6 | - | .000 | 148 | 29.0 | 45 | 0 | 15 | 3 | 4 | 22 | 1 | 0 | 21 | 20 | 6.21 | 2.07 |
1996년 | 19 | 0 | 0 | 0 | 0 | 1 | 4 | 0 | - | .200 | 106 | 23.6 | 23 | 2 | 12 | 4 | 0 | 24 | 2 | 1 | 13 | 13 | 4.94 | 1.48 | ||
1997년 | 48 | 0 | 0 | 0 | 0 | 5 | 2 | 4 | - | .714 | 265 | 63.0 | 45 | 3 | 34 | 2 | 1 | 63 | 3 | 1 | 21 | 20 | 2.86 | 1.25 | ||
1998년 | 32 | 26 | 1 | 1 | 1 | 8 | 12 | 0 | - | .400 | 752 | 180.0 | 171 | 12 | 57 | 2 | 10 | 168 | 9 | 0 | 84 | 80 | 4.00 | 1.27 | ||
1999년 | 30 | 29 | 1 | 1 | 1 | 13 | 13 | 0 | 0 | .500 | 773 | 178.2 | 177 | 20 | 76 | 2 | 7 | 140 | 9 | 4 | 105 | 95 | 4.79 | 1.42 | ||
2000년 | 32 | 32 | 1 | 1 | 0 | 12 | 9 | 0 | 0 | .571 | 842 | 192.2 | 175 | 31 | 87 | 1 | 12 | 164 | 17 | 3 | 105 | 89 | 4.16 | 1.36 | ||
2001년 | 16 | 16 | 0 | 0 | 0 | 4 | 7 | 0 | 0 | .364 | 416 | 94.2 | 89 | 11 | 47 | 0 | 6 | 91 | 10 | 0 | 62 | 54 | 5.13 | 1.44 | ||
2003년 | 10 | 10 | 0 | 0 | 0 | 4 | 4 | 0 | 0 | .500 | 261 | 60.1 | 58 | 6 | 25 | 0 | 0 | 67 | 3 | 1 | 29 | 27 | 4.03 | 1.38 | ||
2004년 | 60 | 0 | 0 | 0 | 0 | 1 | 4 | 1 | 15 | .200 | 227 | 50.2 | 43 | 5 | 36 | 2 | 0 | 63 | 5 | 0 | 25 | 25 | 4.44 | 1.56 | ||
MLB:9년 | 274 | 113 | 3 | 3 | 2 | 48 | 60 | 11 | 15 | .444 | 3790 | 872.2 | 826 | 90 | 389 | 16 | 40 | 802 | 59 | 10 | 465 | 423 | 4.36 | 1.39 |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참조
[1]
웹사이트
Dreifort considering a comeback? {{!}} dodgers.com: News
http://mlb.mlb.com/n[...]
[2]
웹사이트
第20回 日米大学野球選手権
https://www.jubf.net[...]
2018-10-19
[3]
웹사이트
第21回 日米大学野球選手権
https://www.jubf.net[...]
2018-10-19
[4]
웹사이트
Prospects: All-Time Top 100 Prospects
http://www.baseballa[...]
2009-09-12
[5]
웹사이트
Tommy John surgery questions and answers
http://www.usatoday.[...]
2009-09-12
[6]
웹사이트
Dreifort's return gives Dodgers strong staf
http://a.espncdn.com[...]
2009-09-12
[7]
웹사이트
Dodger News and Notes
http://losangeles.do[...]
2009-09-12
[8]
웹사이트
Sidelined by sprained knee, scratched from slated start
http://a.espncdn.com[...]
2009-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