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체육청소년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체육청소년부는 1991년 2월 1일 체육부를 폐지하고 신설된 대한민국 중앙행정기관이다. 1990년 12월 27일 개정된 정부조직법과 체육청소년부직제를 설치 근거로 하여, 감사담당관, 공보관, 국제체육국, 기획관리실, 비상계획관, 청소년정책조정실, 체육지도국, 체육진흥국, 총무과 등의 조직을 갖추었다. 1993년 3월 5일 문화부와 통합되어 문화체육부로 개편되었다. 초대 장관은 박철언, 2대 장관은 이진삼이며, 차관으로는 김용균과 이해봉이 재임했다.
대한민국 체육청소년부의 설치 근거는 정부조직법 [법률 제4268호, 1990.12.27 일부개정] 제29조 및 제35조의3이다.[1] 소관 업무는 체육청소년부직제 [대통령령 제13284호, 1991.02.01 일부개정] 제1조에 명시되어 있다.[2]
역대 대한민국 체육청소년부 장관과 차관은 다음과 같다.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3. 연혁
4. 조직
명칭 존속 기간 감사관(감사담당)실 1992년 3월 ~ 1993년 3월 감사담당관 1991년 2월 ~ 1992년 3월 공보관 1991년 2월 ~ 1993년 3월 국제체육국 1991년 2월 ~ 1993년 3월 기획관리실 1991년 2월 ~ 1993년 3월 비상계획관 1991년 2월 ~ 1993년 3월 청소년정책조정실 1991년 2월 ~ 1993년 3월 체육지도국 1991년 2월 ~ 1993년 3월 체육진흥국 1991년 2월 ~ 1993년 3월 총무과 1991년 2월 ~ 1993년 3월
5. 역대 장·차관
5. 1. 역대 장관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학교 | 비고 |
---|---|---|---|---|---|---|
노태우 정부 | 9대 | 박철언 | 1990년 12월 27일 ~ 1991년 12월 19일 | 경상북도 성주 | 서울대학교 | 정무제1장관, 제13·14·15대 국회의원 |
10대 | 이진삼 | 1991년 12월 19일 ~ 1993년 2월 25일 | 충청남도 부여 | 육사 | 육군참모총장, 제18대 국회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