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이터 분석 전문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터 분석 전문가는 데이터 분석 기획, 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업무를 수행하며, 프로세스 혁신 및 마케팅 전략 결정 등 과학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전문가이다. 데이터 이해 및 처리 기술에 대한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기업과 국가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혁신 도구로 부상하고 있다. 데이터 분석 전문가는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KODB)에서 주관하는 자격 검정을 통해 자격을 취득할 수 있으며, 데이터 이해, 데이터 분석 기획, 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등 5과목으로 구성된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문 용어 - 최첨단
    최첨단은 특정 시점에서 가장 발전된 기술이나 제품을 지칭하는 용어로, 20세기 초 공학 분야에서 처음 사용된 후 여러 산업 분야로 확장되었으며, 법률 및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남용으로 인해 부정적 인식을 갖기도 한다.
  • 전문 용어 - 능동 소음 제어
    능동 소음 제어는 소음 제거를 위해 소음과 반대 위상의 음파를 발생시켜 소음을 상쇄하는 기술로, 아날로그 회로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통해 구현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데이터 분석 - 문서 지향 데이터베이스
    문서 지향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문서 형태로 저장하고 관리하며, XML, JSON 등의 형식으로 캡슐화하고 고유 키로 접근하며, 스키마를 강제하지 않는 NoSQL 데이터베이스의 한 종류이다.
  • 데이터 분석 - 독립 성분 분석
    독립 성분 분석(ICA)은 데이터가 통계적으로 독립적인 성분들의 혼합이라는 가정하에, 데이터에서 독립적인 성분들을 찾아내는 통계적 계산 방법으로, 다양한 알고리즘 개발을 거쳐 블라인드 신호 분리, 뇌파 분석, 얼굴 인식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데이터 분석 전문가
기본 정보
직업 분류정보통신 관련 직업
활동 분야데이터 분석, 통계 분석, 데이터 마이닝, 머신러닝,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개발
요구 역량데이터 분석 능력
통계 지식
프로그래밍 능력 (Python, R 등)
커뮤니케이션 능력
문제 해결 능력
관련 교육/훈련 과정통계학과
컴퓨터공학과
산업공학과
수학과
데이터 분석 관련 교육 과정
관련 직업데이터 과학자
통계학자
머신러닝 엔지니어
빅데이터 분석가

2. 정의

2. 1. 배경

오늘날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통한 데이터 활용은 생산성 향상, 고부가가치 및 고용 창출 등 국가 경제적 가치 창출의 핵심동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처럼 데이터 분석은 점점 중요해져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과학적 의사 결정의 토대가 되는 데이터 분석은 기업과 국가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혁신 도구로 각광을 받고 있다. 기업체들은 자사의 경영 전략에 데이터 분석을 도입하여 수익 증대를 실현할 수 있으며, 데이터 분석을 공공영역에 도입할 경우에는 높은 사회적‧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데이터 분석의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다각적 분석을 통해 조직의 전략방향을 제시하는 우수한 역량을 갖춘 데이터 분석 전문가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미국유럽을 비롯한 세계 각국은 데이터 분석 시장 선점을 위해 데이터 분석 전문가 확보와 양성에 집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국내 상황은 데이터 전문가 인력양성 체계 미흡 등으로 데이터 관련 신규 비즈니스의 고부가가치 창출 등 연계 효과 저하가 우려되며, 사회 전반의 데이터 활용에 필수적인 데이터 분석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 공공•민간 분야의 실무형 데이터 분석 전문가 양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2. 2. 데이터 분석 전문가

데이터 분석 전문가(ADP : Advanced Data Analytics Professional)는 데이터 이해 및 처리 기술에 대한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 분석 기획, 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업무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프로세스 혁신 및 마케팅 전략 결정 등의 과학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전문가이다.

2. 3.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ADsP : Advanced Data Analytics Semi-Professional)는 데이터 이해에 대한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 분석 기획 및 데이터 분석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실무자이다.

3. 직무

3. 1. 데이터 기획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위해 내부 업무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분석 기회를 발굴하여 분석의 목표를 정의한다. 분석 대상 도출 및 분석 결과 활용 시나리오를 정의하여 분석 과제를 체계화 및 구체화하는 빅데이터 분석 과제 정의, 분석 로드맵 수립, 성과 관리 등을 수행한다.

3. 2. 데이터 분석

분석에 대한 요건을 구체적으로 도출하고, 분석 과정을 설계하며, 실무 담당자와 요건을 합의하는 요건 정의를 수행한다. 모델링, 검증 및 테스트, 적용 등도 데이터 분석 전문가의 업무이다.

3. 3. 데이터 시각화

데이터 분석 전문가는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떤 요소를 시각화해야 하는지 정보 구조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어떤 형태의 시각화 모델이 적합한지에 대한 요건을 정의하고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시각화 기획, 모델링, 디자인, 구축, 배포 및 유지보수를 수행한다.

4. 데이터 분석 전문가 자격검정

4. 1. 개발 배경

오늘날 조직 내부에서부터 기업 외부(SNS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컴퓨터 공학, 데이터 공학, 경영학, 통계학적인 지식과 기술을 활용, 프로세스 혁신 및 신제품 개발, 마케팅 전략 결정 등의 과학적 의사결정을 이끌어내는 직무를 전문으로 하는 인력양성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따라서 산업 현장에서 자신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직업능력(지식, 기술, 태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4. 2. 자격 검정 시험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KODB)에서 데이터 분석 전문가 자격검정을 실시하여 산업 현장에 부응하는 민간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자격취득자에게 직무 수행에 대한 자신감 고취와 함께 보다 나은 직무 수행 기회 제공 및 사회적 지위 향상에 기여하며, 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한다.

4. 3. 시험 과목 및 내용

데이터 분석 전문가 자격검정 시험은 데이터 이해, 데이터 분석 기획, 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등 총 5과목으로 구성된다.[1]

시험과목주요내용세부내용
데이터 이해데이터의 이해* 데이터와 정보
* 데이터베이스의 정의와 특징
* 데이터베이스 활용
데이터의 가치와 미래* 빅데이터의 이해
* 빅데이터의 가치와 영향
* 비즈니스 모델
* 위기 요인과 통제 방안
* 미래의 빅데이터
가치 창조를 위한 데이터 사이언스와 전략 인사이트* 빅데이터 분석과 전략 인사이트
* 전략 인사이트 도출을 위한 필요 역량
* 빅데이터 그리고 데이터 사이언스의 미래
데이터 처리 기술 이해데이터 처리 프로세스* ETL(Extraction, Transformation and Load)
* CDC(Change Data Capture)
*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 데이터 연계 및 통합 기법 요약
*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 처리
데이터 처리 기술* 분산 데이터 저장 기술
* 분산 컴퓨팅 기술
* 클라우드 인프라 기술
데이터 분석 기획분석과제 정의* 개요
* 분석 기회 발굴
* 분석 기회 구조화
* 분석 방안 구체화
* 분석 활용 시나리오 정의
* 분석 정의서 작성
* 전사관점 분석적용 시 고려요소
분석 마스터 플랜* 마스터 플랜 수립
* 분석 거버넌스 체계
데이터 분석데이터 분석 개요*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 데이터 분석 기법의 이해
* 분석 환경 이해와 기본 사용법
통계분석* 통계분석의 이해
* 기초 통계분석
* 시계열 분석
* 다차원 척도법
* 주성분 분석
데이터 마트* 데이터 변경 및 요약
* 데이터 가공
* 기초 분석 및 데이터 관리
정형 데이터 마이닝* 데이터 마이닝 개요
* 분류분석(Classification)
* 예측분석(Prediction)
* 군집분석(Clustering)
* 연관분석(Association Analysis)
비정형 데이터 마이닝* 텍스트 마이닝
* 사회연결망 분석
시뮬레이션 및 최적화* 빅데이터와 시뮬레이션
* 시뮬레이션
* 최적화
데이터 시각화시각화 인사이트 프로세스* 시각화 인사이트 프로세스의 의미
* 탐색(1단계)
* 분석(2단계)
* 활용(3단계)
시각화 디자인* 시각화의 정의
* 시각화 프로세스
* 시각화 방법
* 빅데이터와 시각화 디자인
시각화 구현* 시각화 구현 개요
* 분석 도구를 이용한 시각화 구현: R
* 라이브러리 기반의 시각화 구현: D3.js

[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