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널드 애치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널드 애치슨(1926년 ~ )은 영국의 의사이자 공무원이다. 미들섹스 병원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영국 공군 의무 부대에서 복무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 펠로우와 사우스햄튼 대학교 임상 역학 교수를 역임했다. 1983년부터 1991년까지 영국 정부의 의료수석을 맡아 에이즈와 광우병 문제 해결에 기여했다. 1998년에는 영국 정부의 의뢰로 건강 불평등에 관한 보고서인 애치슨 보고서를 작성하여 영국의 건강 형평성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1986년 대영 제국 훈장 기사 사령관(KBE)으로 임명되었으며, 2007년 자서전 《어느 의사의 오디세이 – 사회적 병변》을 출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 왕립공군 소령 - 윌리엄 베일
    윌리엄 베일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영국 공군 전투기 조종사로, 북아프리카 등지에서 약 30대의 적기를 격추했다고 주장했으며, 이후 비행 교관으로 활동하다 퇴역 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교수 - 로널드 드워킨
    로널드 드워킨은 법실증주의 비판, 법 해석, 자유주의적 평등주의 이론으로 알려진 미국의 법철학자이자 정치철학자로, 법과 도덕의 연관성, 개인의 권리, 헌법 해석 등에 대한 연구로 법철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교수 - 해럴드 윌슨
    해럴드 윌슨은 1964년부터 1970년, 1974년부터 1976년까지 두 차례 영국 총리를 역임하며 사회 개혁, 경제 정책, 외교 정책을 추진했고, 노동당 대표로서 사형 폐지 등 사회적 개혁을 이끌었다.
  • 옥스퍼드 대학교 브라스노즈 칼리지 동문 - 데이비드 캐머런
    데이비드 캐머런은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영국 총리를 지낸 보수당 정치인으로, 당 대표 시절 중도화를 이끌어 2010년 연립정부, 2015년 단독 과반을 통해 총리가 되었으나 2016년 브렉시트 국민투표 결과에 책임을 지고 사퇴 후, 2023년 외무장관으로 임명되어 상원 의원이 되었다가 2024년 총선 이후 다시 정계를 떠났다.
  • 옥스퍼드 대학교 브라스노즈 칼리지 동문 - 윌리엄 웨브 엘리스
    윌리엄 웨브 엘리스는 1823년 럭비 스쿨에서 풋볼 경기 중 공을 들고 달려 럭비의 기원을 만들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럭비 풋볼 창시자로 널리 알려져 럭비 월드컵 우승 트로피인 웨브 엘리스 컵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도널드 애치슨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존칭경 (Sir)
이름도널드 애치슨
원어 이름Ernest Donald Acheson
출생일1926년 9월 17일
출생지북아일랜드 벨파스트
사망일2010년 1월 10일
국적영국
학력옥스퍼드 대학교
직업역학자
경력
직위잉글랜드 최고 의료 책임자
임기 시작1983년 1월 1일
임기 종료1990년 12월 31일
이전헨리 옐로리스
이후케네스 칼만
서훈
훈장대영 제국 훈장 2등급 (KBE)

2. 생애

미들섹스 병원에서 의학을 공부했고, 브로데립 장학생이었다. 1951년에 자격을 취득한 후 미들섹스 병원에서 진료했고, 1953년부터 1955년까지 영국 공군 의무 부대에서 복무했다. 1957년부터 1959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펠로우였고, 1960년에는 래드클리프 병원에서 강사로 일했다. 1962년부터 1968년까지 임상 역학 부서의 이사였으며, 1965년에는 의학부의 메이 리더가 되었다. 1963년 사우스햄튼 대학교 임상 역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1968년부터 1978년까지 의과대학 학장을 지냈다. 1979년부터 1983년까지 의학 연구 위원회 환경 역학 부서 이사로 재직했다.

1983년부터 1991년까지 영국 정부의 의료수석을 맡았다. 이 기간 동안 에이즈와 광우병 문제 해결에 기여했다. 에이즈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외교 행랑을 통해 'The Advocate'와 'New York Native'를 밀반입하기도 했다.

2. 1. 초기 생애

도널드 킹 애치슨은 1926년 5월 26일,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인 말콤 킹 애치슨은 변호사였으며, 어머니 도로시 조세핀(결혼 전 성씨는 필립스)은 미국인이었다. 애치슨은 형인 로이 애치슨과 함께 머치스턴 성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이후 옥스퍼드 대학교 브래스노스 칼리지에서 법학을 전공했다.

2. 2. 경력

미들섹스 병원에서 의학을 공부했고, 브로데립 장학생이었다. 1951년에 자격을 취득한 후 미들섹스 병원에서 진료했고, 1953년부터 1955년까지 영국 공군 의무 부대에서 복무했다. 1957년부터 1959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펠로우였고, 1960년에는 래드클리프 병원에서 강사로 일했다. 1962년부터 1968년까지 임상 역학 부서의 이사였으며, 1965년에는 의학부의 메이 리더가 되었다. 1963년 사우스햄튼 대학교 임상 역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1968년부터 1978년까지 의과대학 학장을 지냈다. 1979년부터 1983년까지 의학 연구 위원회 환경 역학 부서 이사로 재직했다.

1983년부터 1991년까지 영국 정부의 의료수석을 맡았다. 이 기간 동안 에이즈와 광우병 문제 해결에 기여했다. 에이즈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외교 행랑을 통해 'The Advocate'와 'New York Native'를 밀반입하기도 했다.

3. 애치슨 보고서

도널드 애치슨은 1998년 영국 정부의 의뢰를 받아 《건강 불평등에 관한 독립적인 조사》, 통칭 애치슨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 보고서는 1980년의 블랙 보고서와 2010년의 마멋 리뷰와 함께 영국의 건강 불평등 문제를 다루는 주요 자료로 평가받는다. 애치슨 보고서는 건강 불평등의 원인과 영향을 분석하고, 소득 불균형, 교육 기회의 격차, 고용 불안정 등이 건강 불평등을 심화시킨다고 지적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제안을 제시했다.

애치슨 보고서는 영국 정부의 건강 형평성 정책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보고서의 권고는 영국 재무부와 보건복지부가 건강 불평등 감소를 위한 정책 개발에 합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 결과, 영국 정부는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해 여러 정책을 추진했으며, 이는 영국의 건강 형평성 개선에 기여했다. 이 보고서는 현재까지도 영국 정부의 건강 형평성 정책의 중요한 근거로 활용되며, 영국의 보건 정책 결정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1. 배경

2001년,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는 도널드 애치슨 경에게 영국의 건강 불평등에 대한 독립적인 보고서를 작성해 달라고 요청했다. 블레어 총리의 요청은 건강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동당 정부의 정책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애치슨 경은 이 요청을 받아들여, 2001년 11월 "건강 불평등에 관한 애치슨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영국의 건강 불평등의 심각성을 지적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며,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사회경제적 불평등, 교육 수준, 직업 환경, 주거 환경 등 다양한 요인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했다. 애치슨 보고서는 발표 이후 영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고, 건강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수립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3. 2. 내용 및 영향

도널드 애치슨은 1998년 영국 정부에 의해 의뢰된 보고서인 《건강 불평등에 관한 독립적인 조사》, 흔히 애치슨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 보고서는 1980년의 블랙 보고서와 2010년의 마멋 리뷰와 더불어 영국의 건강 불평등 문제를 다루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애치슨 보고서는 건강 불평등의 원인과 그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 제안을 제시했다. 특히, 보고서는 사회 경제적 불평등이 건강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강조하며, 소득 불균형, 교육 기회의 격차, 고용 불안정 등이 건강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주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애치슨 보고서의 영향은 영국 정부의 건강 형평성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보고서의 권고 사항들은 영국 재무부와 보건복지부가 건강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정책 개발에 합의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그 결과, 영국 정부는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게 되었으며, 이는 영국의 건강 형평성 개선에 기여했다. 애치슨 보고서는 현재까지도 영국 정부의 건강 형평성 정책의 중요한 근거로 활용되고 있으며, 영국의 보건 정책 결정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기타 활동

1986년, 도널드 애치슨은 대영 제국 훈장 기사 사령관(KBE)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사우스햄튼 대학교, 뉴캐슬 대학교, 런던 경제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4. 1. 협회 활동

1979년 영국 및 아일랜드 의사 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1996년부터 1997년까지는 영국 의학 협회 회장을 지냈다. 그는 왕립 내과의사 협회, 영국 왕립 외과 의사 협회의 회원이기도 했다.

4. 2. 수상 및 명예 박사 학위

1986년, 애치슨은 대영 제국 훈장 기사 사령관(KBE)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또한 사우스햄튼 대학교, 뉴캐슬 대학교, 런던 경제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5. 자서전

애치슨은 2007년 자서전 《어느 의사의 오디세이 – 사회적 병변》(A Doctor's Odyssey – Social Lesions)을 출판했다. 이 책에서 그는 자신의 삶과 의학적 경험을 통해 사회 전반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했다. 특히, 의료 시스템의 불평등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무관심을 비판하며, 사회적 약자를 위한 의료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또한, 개인의 건강이 사회 전체의 건강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역설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의료인의 역할을 강조했다. 자서전은 그의 진보적인 사회관과 의료 윤리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보여준다.

참조

[1] 웹사이트 Donald Acheson's obituary, 'The Times' https://web.archive.[...]
[2] 서적 The Nation's Doctor The Nuffield Trust
[3] 웹사이트 Acheson, Sir Ernest Donald (1926–2010) https://livesonline.[...] 2021-03-07
[4] 웹사이트 Roy Malcolm Acheson https://history.rcpl[...] 2024-04-24
[5] 학술지 Middlesex Hospital 1951-10-06
[6] 뉴스 BBC News http://news.bbc.co.u[...] 2000-10-11
[7] 학술지 OUT -ing AIDS: The Irish Civil Gay Rights Movement's response to the AIDS crisis (1984–1988) https://www.tandfonl[...] 2019-04-03
[8] 뉴스인용 Sir Donald Acheson https://www.telegrap[...] 2019-09-10
[9] 뉴스인용 Sir Donald Acheson https://www.theguard[...] 2019-09-10
[10] 저널인용 Donald Acheson 2010
[11] 저널인용 Ernest Donald Acheson 2019-09-10
[12] 웹인용 지역 간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영국의 대응 정책 분석과 함의 고찰 https://www.kihasa.r[...] 2019-09-10
[13] 저널인용 건강형평 정책의 국제 동향: 영국, 네델란드, 스웨덴, 세계보건기구의 경험으로부터의 교훈 https://synapse.kore[...] 2019-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