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공 빛 반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공 빛 반사는 빛 자극에 대한 동공의 반응으로, 동공 수축 또는 팽창을 의미한다. 이는 홍채 중앙의 동공을 통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생리적 현상이다. 동공 빛 반사 경로는 시신경, 뇌간의 덮개 앞핵, 웨스트팔-에딩거 핵, 그리고 동안신경을 거쳐 홍채의 동공 괄약근으로 이어진다. 빛을 비춘 쪽 눈의 동공이 수축하는 직접 반사와 반대쪽 눈의 동공이 수축하는 동의 반사로 구분된다. 동공 빛 반사 검사는 신경계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데 활용되며, 시신경, 동안신경 손상, 뇌간 병변 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인지적 요인, 시각적 주의, 주관적 밝기 등과 같은 인지적 요인에 의해 조절되며, 수학적 모델을 통해 동공 직경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공 - 동공 반응
  • 반사 작용 - 구토
    구토는 다양한 원인으로 위장 내용물이 입을 통해 배출되는 반사 작용으로, 메스꺼움을 동반하거나 탈수와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토사물의 색깔과 성분은 원인 질환 진단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 반사 작용 - 놀라움
    놀라움은 예상치 못한 상황이나 정보에 직면했을 때 기대와 현실의 불일치로 인해 발생하는 감정으로, 새로운 발견의 계기가 되며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감정을 동반하고, 생리적으로는 깜짝 놀람 반응과 투쟁-도피 반응을 포함하며, 얼굴 표정이나 동공 변화와 같은 비언어적 신호로 나타난다.
  • 안과 - 쇼그렌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침샘과 눈물샘 등에서 분비물 감소를 유발하여 건성안, 구강건조증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 안과 - 백내장
    백내장은 노화, 외상, 방사선, 특정 질환 및 약물 등으로 수정체가 혼탁해져 시력 저하, 흐릿한 시야, 눈부심, 왜곡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시력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현재 유일한 치료법은 인공수정체 삽입 수술이다.
동공 빛 반사

2. 용어

동공홍채 중앙에 있는 어두운 원형 구멍으로 빛이 눈으로 들어오는 곳이다. 카메라에 비유하면 동공은 조리개에, 홍채는 조리개에 해당한다. "동공 반사"를 '''홍채 반사'''로 간주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는데, 홍채의 괄약근과 홍채 확장근이 주변 빛에 반응하는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2] 반면에 동공은 활성 홍채에 의해 형성된 수동적인 개구부이다. 동공 반사는 동공 반응과 동의어이며, 동공 수축 또는 팽창일 수 있다. 동공 반사는 빛 자극이 발생하는 측면이 아닌 반응하는 동공의 측면(왼쪽 또는 오른쪽)과 개념적으로 연결된다. 왼쪽 동공 반사는 광원에 노출된 눈에 관계없이 빛에 대한 왼쪽 동공의 반응을 의미한다. 오른쪽 동공 반사는 왼쪽 눈, 오른쪽 눈 또는 양쪽 눈에 빛을 비추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오른쪽 동공의 반응을 의미한다. 빛을 한쪽 눈에만 비추고 다른 쪽 눈에는 비추지 않으면 두 동공이 동시에 수축하는 것이 정상이다. "직접" 및 "합의"라는 용어는 반응하는 동공의 측면과 관련하여 광원이 나오는 측면을 나타낸다. 직접 동공 반사는 동측(같은) 눈으로 들어가는 빛에 대한 동공 반응이다. 합의 동공 반사는 반대측(반대) 눈으로 들어가는 빛에 대한 동공의 반응이다. 따라서 절대적 측면성(왼쪽 대 오른쪽)과 상대적 측면성(같은 쪽 대 반대쪽, 동측 대 반대측, 직접 대 합의)이라는 이 용어를 기반으로 네 가지 유형의 동공 빛 반사가 있다.

# ''왼쪽 직접 동공 반사''는 동측 눈인 왼쪽 눈으로 들어오는 빛에 대한 왼쪽 동공의 반응이다.

# ''왼쪽 합의 동공 반사''는 반대측 눈인 오른쪽 눈으로 들어오는 빛에 대한 왼쪽 동공의 간접적인 반응이다.

# ''오른쪽 직접 동공 반사''는 동측 눈인 오른쪽 눈으로 들어오는 빛에 대한 오른쪽 동공의 반응이다.

# ''오른쪽 합의 동공 반사''는 반대측 눈인 왼쪽 눈으로 들어오는 빛에 대한 오른쪽 동공의 간접적인 반응이다.

3. 신경 경로

동공 빛 반사는 빛 자극에 대한 동공의 수축 및 이완 반응으로, 홍채의 근육 조절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공 빛 반사의 신경 경로는 크게 구심성 경로와 원심성 경로, 그리고 교감 신경계로 나눌 수 있다. 구심성 경로는 시신경(뇌신경 II)을 통해 빛 정보를 전달하고, 원심성 경로는 눈돌림신경(뇌신경 III)을 통해 홍채 근육을 조절한다.

동공 빛 반사에는 네 가지 유형이 있다.

유형설명
왼쪽 직접 동공 반사동측 눈(왼쪽 눈)으로 들어오는 빛에 대한 왼쪽 동공의 반응
왼쪽 합의 동공 반사반대측 눈(오른쪽 눈)으로 들어오는 빛에 대한 왼쪽 동공의 간접적인 반응
오른쪽 직접 동공 반사동측 눈(오른쪽 눈)으로 들어오는 빛에 대한 오른쪽 동공의 반응
오른쪽 합의 동공 반사반대측 눈(왼쪽 눈)으로 들어오는 빛에 대한 오른쪽 동공의 간접적인 반응



시개전핵에서 나온 축삭은 동안신경 부핵(에딩거-웨스트팔 핵)에 연결되고, 이 축삭들은 좌우의 동안신경으로 이어진다.

3. 1. 구심성 경로

동공 빛 반사 신경 경로는 구심성 가지와 두 개의 원심성 가지를 갖는다. 구심성 가지는 시신경(뇌신경 II) 내에서 신경 섬유를 전달하며, 감각 입력을 담당한다. 해부학적으로 구심성 경로는 망막, 시신경, 그리고 중간뇌 덮개 앞핵(위쪽 둔덕 수준)으로 구성된다. 망막의 신경절 세포는 시신경을 통해 같은 쪽 덮개 앞핵으로 섬유를 투사한다.[3]

시신경, 더 정확히는 광수용성 신경절 세포는 망막시상하부로를 통해 동공 반사의 구심성 다리를 담당하며 들어오는 빛을 감지한다.[1]

동공 반사 경로는 광수용성 망막 신경절 세포에서 시작되며, 이 세포는 시신경을 통해 정보를 전달한다. 시신경의 가장 말단 부위는 시신경유두이다. 시신경의 일부 축삭은 외측 슬상핵 세포(일차 시각 피질로 투사됨) 대신 상부 중뇌의 전개막핵에 연결된다. 이러한 '내재적 광수용성 신경절 세포'는 '멜라놉신 함유' 세포라고도 하며, 일주기 리듬뿐만 아니라 동공 빛 반사에도 영향을 미친다.

망막 신경절 세포가 수용한 자극을 시신경은 망막 시상하부로를 통해 구심성으로 전달한다. 이는 대광반사의 구심성 부분을 담당한다. 동공 빛 반사는 먼저 망막 신경절 세포가 수용한 자극을 시신경에 전달하는 것부터 시작된다. 시신경은 중뇌 상부의 시개전핵을 경유하여 외측 슬상핵과 일차 시각 피질에 투사된다.

동공 빛 반사 신경 경로의 도식 다이어그램

3. 2. 원심성 경로

원심성 경로는 덮개 앞핵에서 홍채의 동공 괄약근으로 이어지는 동공 운동 출력이다. 덮개 앞핵은 중간뇌에 위치한 동측 및 반대측 에딩거-웨스트팔 핵으로 신경 섬유를 투사한다.[3] 각 에딩거-웨스트팔 핵은 눈돌림신경(뇌신경 III)과 함께 나와 모양체 신경절에서 신경절 후 부교감 신경원과 시냅스를 이루는 신경절 이전 부교감 신경 섬유를 생성한다. 신경절 후 신경 섬유는 동공 괄약근을 지배하기 위해 모양체 신경절을 떠난다.[3]

각 구심성 가지는 두 개의 원심성 가지, 즉 동측 가지와 반대측 가지를 갖는다. 동측 원심성 가지는 동측 동공의 직접적인 빛 반사에 대한 신경 신호를 전달한다. 반대측 원심성 가지는 반대측 동공의 동의 빛 반사를 유발한다.[3]

전체 동공 빛 반사 시스템은 8개의 신경 분절로 시각화할 수 있다. 홀수 번호 분절(1, 3, 5, 7)은 왼쪽에, 짝수 번호 분절(2, 4, 6, 8)은 오른쪽에 있다. 분절 1과 2는 각각 망막과 시신경(뇌신경 II)을 포함한다. 분절 3과 4는 한쪽의 덮개 앞핵에서 반대쪽의 에딩거-웨스트팔 핵으로 교차하는 신경 섬유이다. 분절 5와 6은 한쪽의 덮개 앞핵을 같은 쪽의 에딩거-웨스트팔 핵에 연결하는 섬유이다. 분절 3, 4, 5, 6은 모두 중간뇌 내에 위치한다. 분절 7과 8은 각각 에딩거-웨스트팔 핵에서 모양체 신경절을 거쳐 눈돌림신경(뇌신경 III)을 따라 홍채 내 근육 구조인 동공 괄약근까지 연결되는 부교감 신경 섬유를 포함한다.

동공 빛 반사 신경 경로 도식을 참고하면, 임상 검사를 통해 얻은 광반사 검사 결과를 사용하여 동공 반사 시스템 내의 병변을 국소화할 수 있다.

눈돌림신경은 동공 반사의 원심성 다리를 담당하며, 동공을 수축시키는 홍채 근육을 제어한다.[1]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에딩거-웨스트팔 핵: 눈돌림신경의 부교감신경 뉴런 축삭은 모양체 신경절 뉴런에 시냅스한다.

# 모양체 신경절: 짧은 후신경절 섬모체 신경은 모양체 신경절을 떠나 홍채의 홍채 괄약근을 지배한다.[1]

3. 3. 교감 신경계

교감 신경계는 어두운 환경에서 동공을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4]

4. 임상적 의의

동공 빛 반사를 관찰하는 데 사용되는 의료용 할로겐 펜라이트


동공 빛 반사는 눈의 감각계 및 운동계 기능의 온전성을 검사하는 데 유용한 진단 도구이다.[1] 응급 의학 전문의는 뇌간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공 빛 반사를 일상적으로 검사한다.[5][6] 비정상적인 동공 반사는 시신경 손상, 동안신경 손상, 뇌간 병변(뇌간 사망 포함) 및 바르비투르산염과 같은 억제제에서 발견될 수 있다.[5][6]

4. 1. 정상 반응

정상적인 상태에서 동공은 자극받은 눈뿐만 아니라, 자극받지 않은 눈도 동시에 수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양쪽 눈을 비교함으로써 질병 진단에 이용할 수 있다.[18][22] 예를 들어 오른쪽 눈에 대한 자극에 양쪽 눈 모두 반응이 없고, 왼쪽 눈에 대한 자극에 정상적인 반응을 보인 경우, 오른쪽 눈의 시신경 문제일 가능성이 있다.[18]

4. 2. 비정상 반응

동공 빛 반사는 눈의 감각계 및 운동계 기능의 온전성을 검사하는 데 유용한 진단 도구를 제공한다.[1] 응급 의학 전문의는 뇌간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공 빛 반사를 일상적으로 검사한다. 비정상적인 동공 반사는 시신경 손상, 동안신경 손상, 뇌간 병변(뇌간 사망 포함) 및 바르비투르산염과 같은 억제제에서 발견될 수 있다.[5][6]

  • 왼쪽 시신경 손상 (예: 망막과 시신경 교차 사이의 왼쪽 시신경 절단):
  • 왼쪽 직접 반사 소실: 왼쪽 눈에 빛을 비춰도 두 동공 모두 수축하지 않는다.
  • 오른쪽 협동 반사 소실: 왼쪽 눈에 빛을 비춰도 두 동공 모두 수축하지 않는다.
  • 오른쪽 직접 반사 온전: 오른쪽 동공의 직접적인 빛 반사는 정상이다.
  • 왼쪽 협동 반사 온전: 왼쪽 동공의 협동 빛 반사는 정상이다.
  • 왼쪽 동안신경 손상 (예: 신경 절단, 염증/감염, 종괴 병변):
  • 왼쪽 직접 반사 소실: 왼쪽 눈에 빛을 비춰도 왼쪽 동공이 수축하지 않는다.
  • 오른쪽 협동 반사 온전: 왼쪽 눈에 빛을 비추면 오른쪽 동공이 수축한다.
  • 오른쪽 직접 반사 온전: 오른쪽 눈에 빛을 비추면 오른쪽 동공이 수축한다.
  • 왼쪽 협동 반사 소실: 오른쪽 눈에 빛을 비춰도 왼쪽 동공이 수축하지 않는다.

마커스 건 동공 (왼쪽 구심성 동공 결손): 왼쪽 직접 반사와 오른쪽 동의 반사가 비정상이고, 왼쪽 동의 반사와 오른쪽 직접 반사가 정상인 경우.
병변 위치 추론 (왼쪽 마커스 건 동공의 경우):1. 왼쪽 동의 반사 정상 → 구역 2, 4, 7 정상.

2. 오른쪽 직접 반사 정상 → 구역 2, 6, 8 정상. → 구역 2, 4, 6, 7, 8 모두 정상.

3. 병변 가능 구역: 구역 1, 3, 5.

4. 구역 3 또는 5 단독 병변으로는 설명 불가 → (b), (c) 제거.

5. 구역 1 (왼쪽 구심성 다리) 단일 병변으로 설명 가능. 예: 왼쪽 시신경염, 왼쪽 망막 박리, 왼쪽 전개측핵 뇌졸중. → (a), (d), (e), (f), (g) 가능.

6. 구역 3, 5 조합 병변 매우 드묾. 뇌간 미세 뇌졸중 가능성. 구역 4 영향 가능성 높음 → 왼쪽 동의 반사 보존 어려움. → (d), (f), (g) 제거.

7. 남은 가능성: (a), (e).

8. 병변은 구역 1 포함. 구역 5 동반 가능하지만, 필수적이지 않음. (e)는 구역 1, 5 조합. 다발성 경화증 가능성. → (a) (구역 1 단독 병변) 가능성 높음.

9. 신경 영상 검사 (MRI 등)로 확인.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동공은 자극받은 눈뿐만 아니라, 자극받지 않은 눈도 동시에 수축하며, 양쪽 눈을 비교함으로써 질병 진단에 이용할 수 있다.[18][22] 예를 들어 오른쪽 눈에 대한 자극에 양쪽 눈 모두 반응이 없고, 왼쪽 눈에 대한 자극에 정상적인 응답을 보인 경우, 오른쪽 눈의 시신경 문제일 가능성이 있다.[18]

응급실에서는 의사가 뇌간의 기능 검사를 위해 일상적으로 동공 빛 반사를 사용한다. 비정상적인 동공 빛 반응은 시신경, 동안신경 손상, 뇌사, 바르비투르산염 등의 약물에 의해 나타난다.[23]

5. 인지적 영향

빛에 대한 동공 반응은 순전히 반사적인 것이 아니라, 주의력, 인지, 그리고 시각적 입력을 해석하는 방식과 같은 인지적 요인에 의해 조절된다. 예를 들어, 밝은 자극이 한쪽 눈에 제시되고 어두운 자극이 다른 쪽 눈에 제시되면, 지각은 두 눈 사이에서 번갈아 나타난다(즉, 양안 경쟁). 때로는 어두운 자극이 지각되고, 때로는 밝은 자극이 지각되지만, 동시에 두 자극이 모두 지각되지는 않는다. 이 기술을 사용하여 밝은 자극이 인식을 지배할 때 동공이 어두운 자극이 인식을 지배할 때보다 더 작다는 것이 밝혀졌다.[7][8] 이는 동공 빛 반사가 시각적 인식에 의해 조절됨을 보여준다. 이와 유사하게, 시각적 입력이 동일하더라도 밝은 자극에 (즉, 보지 않고) 은밀하게 주의를 기울일 때 동공이 수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10][11] 또한, 주의를 분산시키는 프로브 이후의 동공 빛 반사의 크기는 프로브가 시각적 주의를 얼마나 사로잡고 작업 수행을 방해하는지와 강하게 상관관계가 있다.[12] 이는 동공 빛 반사가 시각적 주의력과 시행별 시각적 주의력의 변화에 의해 조절됨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주관적으로 밝게 인식되는 사진(예: 태양 사진)은 두 이미지의 객관적인 밝기가 동일하더라도 덜 밝게 인식되는 이미지(예: 실내 장면 사진)보다 더 강한 동공 수축을 유발한다.[13][14] 이는 동공 빛 반사가 객관적인 밝기와 반대로 주관적인 밝기에 의해 조절됨을 보여준다.

6. 수학적 모델

동공 빛 반사는 주변 환경의 밝기에 따라 동공 지름이 변하는 것을 설명하는 생리학적 모델이다. 이는 비선형 지연 미분 방정식으로 표현된다.[15]

:\begin{align}

M(D) {} &= \tanh^{-1} \left(\frac{D - 4.9}{3}\right) \\

\frac{\mathrm{d}M}{\mathrm{d}D}\frac{\mathrm{d}D}{\mathrm{d}t} + 2.3026 \tanh^{-1} \left(\frac{D - 4.9}{3}\right)

&= 5.2 - 0.45 \ln \left(\frac{\Phi [t - \tau]}{4.8118 \times 10^{-10}} \right)

\end{align}

여기서 D는 밀리미터(mm) 단위의 동공 지름, \Phi(t - \tau) 는 특정 시점에 망막에 도달하는 광도(루멘/mm2)와 동공 면적(mm2)의 곱, \tau는 동공 잠복기(광 펄스가 망막에 도달한 후 홍채 반응이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 지연)이다. \mathrm{d}M, \mathrm{d}D, \mathrm{d}t는 각각 함수 M, 동공 지름 D, 시간 t의 도함수이다.

동공 수축 속도는 확장 속도보다 약 3배 빠르므로,[16] 수치 해석 시뮬레이션에서는 서로 다른 단계 크기를 사용해야 한다.

:\begin{align}

\mathrm{d}t_{c} &= \frac{T_c - T_p}{S} \\

\mathrm{d}t_{d} &= \frac{T_c - T_p}{3S}

\end{align}

여기서 \mathrm{d}t_c\mathrm{d}t_d는 각각 수축 및 팽창에 대한 \mathrm{d}t (밀리초 단위), T_cT_p는 각각 현재 및 이전 시뮬레이션 시간(밀리초 단위), S는 개인에 따라 다른, 수축/팽창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수이다. S 값이 높을수록 시뮬레이션 시간 간격이 작아져 동공 수축/팽창 속도가 느려진다.

히푸스 효과를 반영하기 위해, 환경 빛에 작은 무작위 변동(0.05–0.3 Hz 범위)을 추가하여 시뮬레이션의 현실감을 높일 수 있다.[17]

참조

[1] 서적 Neuroscience. 4th ed. Sinauer Associates
[2] 간행물 Eyeing up the Future of the Pupillary Light Reflex in Neurodiagnostics
[3] 서적 Adler's Physiology of the Eye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4] 논문 "Ocular autonomic nervous system: An update from anatomy to physiological functions."
[5]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6] 간행물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mild traumatic brain injury on the pupillary light reflex
[7] 간행물 Ort und Wesen der Bildhemmung bei Schielenden
[8] 간행물 Perceptual rivalry: Reflexes reveal the gradual nature of visual awareness
[9] 간행물 Attention to bright surfaces enhances the pupillary light reflex
[10] 간행물 The pupillary response to light reflects the focus of covert visual attention
[11] 간행물 The pupillary light response reflects exogenous attention and inhibition of return
[12] 간행물 Pupil size and social vigilance in rhesus macaques
[13] 간행물 Pupil constrictions to photographs of the sun
[14] 간행물 Bright illusions reduce the eye's pupil
[15] 간행물 Photorealistic models for pupil light reflex and iridal pattern deformation https://lume.ufrgs.b[...] 2009-08-01
[16] 간행물 The pupillary light reflex in normal subjects
[17] 간행물 Stability, Oscillations, and Noise in the Human Pupil Servomechanism. 1963-08
[18] 서적 Neuroscience. 4th ed. Sinauer Associates
[19] 논문 Photorealistic models for pupil light reflex and iridal pattern deformation
[20] 간행물 The pupillary light reflex in normal subjects
[21] 논문 Stability, Oscillations, and Noise in the Human Pupil Servomechanism
[22] 웹사이트 Cranial Nerve III—Oculomotor Nerve http://www.med.yale.[...] 2008-07-27
[23] 서적 A Dictionary of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4] 웹사이트 옛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25] 서적 Neuroscience. 4th ed. Sinauer Associat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