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아 (1995년~199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아 (1995년~1998년)는 1995년부터 1998년까지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아 지역의 행정 기구와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이 기간 동안 조정위원회와 행정위원회가 주요 역할을 수행했으며, 슬라브코 도크마노비치와 고란 하지치가 조정위원회 의장을, 보리슬라브 드르자이치와 보이슬라브 스타니미로비치가 행정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 이들은 모두 크로아티아 전쟁과 관련된 인물들로,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에 기소되거나 재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의 정치사 - 유고슬라비아 평화 회담 중재위원회
유고슬라비아 평화 회담 중재위원회는 유럽 공동체가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의 법적 문제 해결을 위해 구성한 위원회로, 각 공화국의 독립 인정 여부 등 중요한 결정을 통해 유고슬라비아 해체 공식화 및 국가 승계 문제 해결에 기여했다. -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 부코바르 학살
부코바르 학살은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유고슬라비아 인민군과 세르비아계 준군사 조직이 부코바르 함락 직후 최소 260여 명의 민간인과 부상병을 학살한 전쟁 범죄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최악의 집단 학살 중 하나로 기록된다. -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군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군은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존재했던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의 군대로서, 대통령이 최고 지휘관이었고 국방부 장관과 참모총장이 군을 지휘했으며, 5개의 군단으로 구성되어 특정 지역을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야포, 곡사포, 전차, 장갑차, 항공기 등 다양한 장비를 운용했고,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전쟁 범죄를 저질러 지도자들이 국제형사재판소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1998년 폐지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 1998년 폐지 - 여수시
여수시는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한, 고조선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조선시대 해군 기지로서 기능했고 1998년 통합을 거쳐 2012년 세계박람회 개최로 국제적인 도시가 되었으며 석유화학산업 중심의 경제와 아름다운 해안,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가진 도시이다.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아 (1995년~1998년)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현지 이름 |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아 |
다른 표기 | Istočna Slavonija, Baranja i Zapadni Srijem (크로아티아어) Источна Славонија, Барања и Западни Срем (세르비아어) |
국기 및 문장 | |
![]() | |
![]() | |
지도 | |
![]() | |
![]() | |
일반 정보 | |
존속 기간 시작 | 1995년 |
존속 기간 종료 | 1998년 |
이전 국가 |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
이후 국가 | 크로아티아, 유엔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움 과도행정기구 |
수도 | 부코바르 |
정부 형태 | 공화국 |
면적 | 2600 km² |
인구 (1991년) | 193,513명 |
통화 (사실상) |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독일 마르크 크로아티아 쿠나 |
역사적 사건 | |
사건 |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해체 (1995년 8월) |
사건 1 | 에르두트 협정 (1995년 11월 12일) |
사건 2 | UNTAES 수립 (1996년 1월 15일) |
사건 3 | 크로아티아로 합병 (1998년 1월 15일) |
정치 | |
행정위원회 의장 | 보리슬라브 드르자이치 (1995~1996년) 보이슬라브 스타니미로비치 (1996~1997년) |
대통령 | 슬라브코 도크마노비치 (1995~1996년) 고란 하지치 (1996~1998년) |
2. 정부 내각
1995년 8월 7일부터 1998년 1월 15일까지 이 지역의 주요 의사 결정 기구는 조정위원회였으며, 행정위원회는 조정위원회 산하에서 실제 행정 업무를 담당했다. 조정위원회 의장은 슬라브코 도크마노비치와 고란 하지치가 역임했고, 행정위원회 의장은 보리슬라브 드르자이치와 보이슬라브 스타니미로비치가 역임했다.
2. 1. 조정위원회 의장
조정위원회는 1995년 8월 7일부터 1998년 1월 15일까지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아 지역의 주요 의사 결정 기구였다. 조정위원회 의장은 슬라브코 도크마노비치(1995년 8월 7일~1996년 4월 22일), 고란 하지치(1996년 4월 23일[6]~1998년 1월 15일)가 역임했다.2. 1. 1. 슬라브코 도크마노비치
슬라브코 도크마노비치는 1995년 8월 7일부터 1996년 4월 22일까지 조정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6] 그는 세르비아계 정치인으로, 크로아티아 전쟁 중 부코바르 학살에 연루된 혐의로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에 기소되었으나, 재판 도중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2. 1. 2. 고란 하지치
슬라브코 도크마노비치의 뒤를 이어 1996년 4월 23일부터 1998년 1월 15일까지 조정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6] 고란 하지치는 세르비아계 극우 민족주의 정치인으로, 크로아티아 전쟁 중 인도에 반한 죄를 저지른 혐의로 ICTY에 기소되어 재판을 받던 중 사망했다.2. 2. 행정위원회 의장
행정위원회는 조정위원회 산하에서 실제 행정 업무를 담당했던 기구였다. 행정위원회 의장은 다음과 같다.
2. 2. 1. 보리슬라브 드르자이치
보리슬라브 드르자이치는 1995년 8월 7일부터 1996년까지 행정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2. 2. 2. 보이슬라브 스타니미로비치
보이슬라브 스타니미로비치는 세르비아계 정치인으로, 1996년 4월 23일부터[6] 1997년 5월 29일까지[6] 크로아티아로 재통합 과정에서 행정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 크로아티아 전쟁 이후 그는 크로아티아 의회 의원을 지냈다.참조
[1]
논문
Prognano stanovništvo iz hrvatskog Podunavlja i problemi njegovog povratka (1991. – 2001.)
https://doi.org/10.2[...]
2003
[2]
서적
War and Change in the Balka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10-12
[3]
웹인용
Former U.S. Ambassadors to Croatia -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http://zagreb.usemba[...]
2016-06-01
[4]
문서
Agreement has four signatures: Šarinić, Milanović, Galbraith, and Stoltenberg
https://www.usip.org[...]
[5]
서적
La politique étrangère de la Croatie, de son indépendance à nos jours, 1991-2006
Les Presses de l'Université Laval
2006
[6]
논문
Srpska oblast Istočna Slavonija, Baranja i Zapadni Srijem – od "Oluje" do dovršetka mirne reintegracije hrvatskog Podunavlja (prvi dio)
https://hrcak.srce.h[...]
Hrvatski institut za povijest
2022-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