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들묵새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들묵새속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벼과 식물 속이다. 이 속에는 다양한 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들묵새를 포함한 여러 종이 한국에 자생하거나 귀화하여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쥐보리아족 - 독보리
    독보리는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유럽이 원산지이며, 밀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잡초로 취급받고 롤린 알칼로이드와 맥각 알칼로이드를 생성하여 독성을 띠며, 마태복음의 가라지 비유에 등장하는 유독한 잡초로 묘사된다.
  • 쥐보리아족 - 김의털
    김의털은 한국 중부 이남을 포함한 여러 지역에 분포하는 다년생 목초로, 가뭄에 강하며 균근 곰팡이와의 공생을 통해 생태계 유지에 기여한다.
  • 1805년 기재된 식물 - 팽나무
    팽나무는 아시아 온대 지역에 자생하며 높이 20m까지 자라는 낙엽성 활엽수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한국에서는 정자목, 당산목으로 숭배받았으며, 목재와 잎, 잔가지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 1805년 기재된 식물 - 마편초과
    마편초과는 꿀풀목에 속하는 과로,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따라 범위가 축소되었으며 네오스파르톤족, 두란타족, 란타나족, 마편초족 등 다양한 족으로 나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들묵새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는금강아지풀 (Vulpia octoflora)
학명Vulpia
명명자C.C.Gmel.
모식종들묵새 (Vulpia myuros)
모식종 명명자(L.) C.C.Gmel.
이명
하위 분류

2. 하위 종

묵새속에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이 분포한다. 다음은 묵새속의 종 목록이다.


  • 들묵새(큰묵새) ''V. myuros'' (L.) C.C.Gmel.
  • ''V. alopecuros'' (Schousb.) Link
  • ''V. alpina'' L.Liu
  • ''V. antucensis'' Trin.
  • ''V. australis'' (Nees) Blom
  • ''V. brevis'' Boiss. & Kotschy
  • ''V. bromoides'' (L.) Gray
  • ''V. ciliata'' Dumort.
  • ''V. cynosuroides'' (Desf.) Parl.
  • ''V. delicatula'' (Lag.) Dumort.
  • ''V. elliotea'' (Raf.) Fernald
  • ''V. fasciculata'' (Forssk.) Samp.
  • ''V. fontquerana'' Melderis & Stace
  • ''V. geniculata'' (L.) Link
  • ''V. gracilis'' H.Scholz
  • ''V. gypsophila'' (Hack.) Nyman
  • ''V. ligustica'' (All.) Link
  • ''V. litardiereana'' (Maire) A.Camus
  • ''V. membranacea'' (L.) Dumort.
  • ''V. microstachys'' (Nutt.) Munro
  • * ''V. microstachys'' var. ''ciliata'' (Beal) Lonard & Gould
  • * ''V. microstachys'' var. ''confusa'' (Piper) Lonard & Gould
  • * ''V. microstachys'' var. ''pauciflora'' (Beal) Lonard & Gould
  • ''V. muralis'' (Kunth) Nees
  • ''V. octoflora'' (Walter) Rydb.
  • ''V. pectinella'' (Delile) Boiss.
  • ''V. persica'' (Boiss. & Buhse) Krecz. & Bobrov
  • ''V. sicula'' (J.Presl) Link
  • ''V. unilateralis'' (L.) Stace

2. 1. 한국 자생종 및 귀화종


  • 들묵새(큰묵새) ''V. myuros'' (L.) C.C.Gmel.
  • ''V. alopecuros'' (Schousb.) Link
  • ''V. alpina'' L.Liu
  • ''V. antucensis'' Trin.
  • ''V. australis'' (Nees) Blom
  • ''V. brevis'' Boiss. & Kotschy
  • ''V. bromoides'' (L.) Gray
  • ''V. ciliata'' Dumort.
  • ''V. cynosuroides'' (Desf.) Parl.
  • ''V. delicatula'' (Lag.) Dumort.
  • ''V. elliotea'' (Raf.) Fernald
  • ''V. fasciculata'' (Forssk.) Samp.
  • ''V. fontquerana'' Melderis & Stace
  • ''V. geniculata'' (L.) Link
  • ''V. gracilis'' H.Scholz
  • ''V. gypsophila'' (Hack.) Nyman
  • ''V. ligustica'' (All.) Link
  • ''V. litardiereana'' (Maire) A.Camus
  • ''V. membranacea'' (L.) Dumort.
  • ''V. microstachys'' (Nutt.) Munro
  • * ''V. microstachys'' var. ''ciliata'' (Beal) Lonard & Gould
  • * ''V. microstachys'' var. ''confusa'' (Piper) Lonard & Gould
  • * ''V. microstachys'' var. ''pauciflora'' (Beal) Lonard & Gould
  • ''V. muralis'' (Kunth) Nees
  • ''V. octoflora'' (Walter) Rydb.
  • ''V. pectinella'' (Delile) Boiss.
  • ''V. persica'' (Boiss. & Buhse) Krecz. & Bobrov
  • ''V. sicula'' (J.Presl) Link
  • ''V. unilateralis'' (L.) Stace

2. 2. 전 세계 분포종

묵새속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이 분포한다. 다음은 묵새속의 일부 종 목록이다.

  • 들묵새(큰묵새) ''V. myuros'' (L.) C.C.Gmel.
  • ''V. alopecuros'' (Schousb.) Link
  • ''V. alpina'' L.Liu
  • ''V. antucensis'' Trin.
  • ''V. australis'' (Nees) Blom
  • ''V. brevis'' Boiss. & Kotschy
  • ''V. bromoides'' (L.) Gray
  • ''V. ciliata'' Dumort.
  • ''V. cynosuroides'' (Desf.) Parl.
  • ''V. delicatula'' (Lag.) Dumort.
  • ''V. elliotea'' (Raf.) Fernald
  • ''V. fasciculata'' (Forssk.) Samp.
  • ''V. fontquerana'' Melderis & Stace
  • ''V. geniculata'' (L.) Link
  • ''V. gracilis'' H.Scholz
  • ''V. gypsophila'' (Hack.) Nyman
  • ''V. ligustica'' (All.) Link
  • ''V. litardiereana'' (Maire) A.Camus
  • ''V. membranacea'' (L.) Dumort.
  • ''V. microstachys'' (Nutt.) Munro
  • * ''V. microstachys'' var. ''ciliata'' (Beal) Lonard & Gould
  • * ''V. microstachys'' var. ''confusa'' (Piper) Lonard & Gould
  • * ''V. microstachys'' var. ''pauciflora'' (Beal) Lonard & Gould
  • ''V. muralis'' (Kunth) Nees
  • ''V. octoflora'' (Walter) Rydb.
  • ''V. pectinella'' (Delile) Boiss.
  • ''V. persica'' (Boiss. & Buhse) Krecz. & Bobrov
  • ''V. sicula'' (J.Presl) Link
  • ''V. unilateralis'' (L.) Stace

3. 생태 및 관리

3. 1. 생태적 특징

3. 2. 관리 및 영향

참조

[1]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2] 서적 Flora Badensis, Alsatica Et Confinium Regionum Cis Et Transrhenana Plantas a Lacu Bodamico Usque Ad Confluentem Mosellae Et Rheni Sponte Nascentes exhibens secundum systema sexuale cum iconibus ad naturam dileneatis 1: 8 1805
[3]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2 Page 242 鼠茅 shu mao Vulpia myuros (Linnaeus) C. C. Gmelin, Fl. Bad. 1: 8. 1805 http://www.efloras.o[...]
[4] 웹사이트 Flora of Pakistan http://www.efloras.o[...]
[5] 웹사이트 Altervista Flora Italiana, genere Vulpia http://luirig.alterv[...]
[6] 웹사이트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2013 county distribution maps http://bonap.net/NAP[...]
[7] 웹사이트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Noxious Weeds http://plants.usda.g[...]
[8] 웹사이트 Jepson Manual Treatment http://ucjeps.berkel[...]
[9] 웹사이트 The Plant List search for Vulpia http://www.theplantl[...]
[10] 서적 Flora Badensis Alsatica 1: 8 1805
[11] 웹인용 Jepson Manual Treatment https://web.archive.[...] 2019-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