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의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의털은 다년생 목초로, 한국 중부 이남 지역을 포함한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가뭄에 강하고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며, 잎은 짧고 뻣뻣하며 회녹색을 띤다. 5월에서 6월 사이에 바람에 의해 수분되는 꽃이 피며, 균근 곰팡이와의 공생을 통해 영양분 흡수 능력을 높인다. 김의털은 다양한 변종이 있으며, 네발나비과 나비 애벌레의 먹이 식물로 생태적 가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쥐보리아족 - 독보리
    독보리는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유럽이 원산지이며, 밀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잡초로 취급받고 롤린 알칼로이드와 맥각 알칼로이드를 생성하여 독성을 띠며, 마태복음의 가라지 비유에 등장하는 유독한 잡초로 묘사된다.
  • 쥐보리아족 - 쥐보리속
    쥐보리속은 벼과에 속하는 초본 식물로, 가늘고 긴 잎과 수상 꽃차례를 가지며 작은 이삭이 꽃차례 축에 좌우로 번갈아 배열되는 특징을 보이고, 목초, 잔디 등으로 활용되지만 잡초로 분류되기도 한다.
  • 지피식물 - 인디고페라 틴토리아
    인디고페라 틴토리아는 열대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분포하며 인디고 염료의 원료로 재배되는 1~2m 높이의 관목으로, 밝은 녹색 잎과 분홍색 또는 보라색 꽃이 피고, 짙은 청색을 내는 천연 염료를 제공하며, 토양 개량 피복 작물 및 역사적으로 중요한 염료 식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 지피식물 - 인동덩굴
    인동덩굴은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상록 또는 반상록 덩굴성 관목으로, 흰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는 꽃이 피고 한국에서는 강인한 생명력 때문에 인동이라 불리지만, 유럽과 미국에서는 침입종으로 분류된다.
  • 먹이 - 구유
    구유는 예수 탄생 이야기에서 마리아와 요셉이 아기 예수를 뉘었던 곳으로, 겸손과 신성한 탄생을 상징하며, 성탄절에 교회나 가정에 장식되기도 한다.
  • 먹이 -
    콩은 동북아시아가 원산지인 콩과의 한해살이 식물로, 고대 동아시아에서 중요한 식량 작물이었으며 다양한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며 식품, 사료, 공업 원료 등으로 널리 활용되지만 유전자변형, 환경 문제,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등에 대한 우려도 있다.
김의털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왼쪽의 Festuca ovina 그림
Festuca ovina (왼쪽)
학명Festuca ovina L.
이명Bromus ovinus (L.) Scop.
Gnomonia ovina (L.) Lunell
Avena ovina Salisb.
Festuca agrestis Wulfen ex Steud.
Festuca baumgarteniana Schur
Festuca capillaris Wulfen
Festuca centroapenninica (Markgr.-Dann.) Foggi, F.Conti & Pignatti
Festuca chiisanensis (Ohwi) E.B.Alexeev
Festuca cinerea var. scabrifolia (Hack.) M.Toman
Festuca diffusa V.N.Vassil.
Festuca eskia Lej.
Festuca filifolia Link
Festuca fontqueriana (St.-Yves) Romo
Festuca glauca var. scabrifolia Hack.
Festuca glaucantha Blocki
Festuca glaucoidea (J.Vetter) E.B.Alexeev
Festuca guestphalica Boenn. ex Rchb.
Festuca guinochetii (Bidault) S.Arndt
Festuca hallerioides Schur
Festuca heterophylla Wahlenb.
Festuca jumpeiana (Ohwi) Kitag.
Festuca lasiantha Schur
Festuca leucantha Schur
Festuca livida Schur
Festuca malzevii (Litv.) Reverd.
Festuca mariettana E.B.Alexeev
Festuca maskerensis (Litard.) Romo
Festuca multiflora Suter
Festuca nigra Gilib.
Festuca oligosantha Schur
Festuca pallens subsp. scabrifolia (Hack.) Zielonk.
Festuca pauciflora Schleich.
Festuca pietrosii Zapal.
Festuca pratensis Honck.
Festuca pumila Willk.
Festuca purpusiana (St.-Yves) Tzvelev
Festuca rupicola var. sulcatiformis (Markgr.-Dann.) Markgr.-Dann. ex Stohr
Festuca ruprechtii (Boiss.) V.I.Krecz. & Bobrov
Festuca sauvagei Romo
Festuca saximontana subsp. purpusiana (St.-Yves) Tzvelev
Festuca scabrifolia (Hack.) Patzke & G.H.Loos
Festuca sciaphila Schur
Festuca serpentinica (Krajina) M.Toman
Festuca sphagnicola B.Keller
Festuca sulcatiformis (Markgr.-Dann.) Patzke & G.H.Loos
Festuca trachyphylla var. pubescens (Hack.) Tzvelev
Festuca verguinii Sennen
Festuca vorobievii Prob.
Festuca vulgaris (Wallr.) Hayek
Festuca vylzaniae (Vylzan ex E.B.Alexeev) Tzvelev
Festuca weilleri (Litard.) Romo
Festuca yarochenkoi (St.-Yves) E.B.Alexeev
Poa setacea Koeler
생물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외떡잎식물군
미분류 목닭의장풀군
벼목
벼과
미분류BOP 분지군
아과포아풀아과
포아풀족
김의털속
김의털

2. 분포

김의털은 대한민국 중부 이남 지방, 유럽 전역(일부 지중해 지역 제외), 아시아 대부분 지역,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1]

영국에서는 영국 NVC 공동체 CG2( ''Festuca ovina'' – ''Avenula pratensis'' 초원)의 대표적인 종으로, 알칼리성 초원 군락 중 하나이다. 염기성 및 산성 토양뿐만 아니라 중금속에 오염된 오래된 광산 부지 및 폐기물 더미에서도 발견되는 등 넓은 생태적 내성을 보인다.[2][3][4]

가뭄에 강하고 배수가 잘 되는 빈약한 광물성 토양에서 흔히 발견되며, 가뭄 저항 잔디로 사용되기도 한다.[5] 빈약한 토양에 잘 적응하는 이유는 균근 곰팡이[6] 덕분인데, 이는 수분 흡수와 영양분 흡수를 증가시키고 식물 군락 구조의 잠재적 결정 요인이 되기도 한다. 곰팡이와의 공생은 곰팡이 균사가 토양 깊숙이 확장되어 식물 뿌리를 덮어 교환 표면을 증가시켜 미네랄, 질소, 인산염 흡수를 돕는다. 또한, 주변 식물과 연결되어 멀리 떨어진 식물 간의 영양분 교환도 가능하게 한다.

2. 1. 한국 내 변종

한국에서는 중부 이남 지방에 분포한다. 관모봉에서 자라며 작은이삭이 5-10개인 것을 두메김의털, 서울특별시거문도에서 자라며 잎의 지름이 0.7-1mm인 것을 서울김의털, 꽃줄기의 윗부분에 털이 있고 늙은 잎에 홈이 생기지 않는 것을 참김의털, 잎에 홈이 있는 것을 지리산김의털이라고 한다.[1]

3. 특징

김의털은 뿌리줄기가 짧고 줄기가 뭉쳐나며, 높이는 30-50cm이다. 잎은 길이 5-20cm로 녹색 또는 백록색이며, 잎혀는 길이 0.5mm 정도이다. 밀집된 덩어리를 이루는 다년생 목초로, 회녹색의 짧고 뻣뻣한 잎을 가지고 있다. 원추 화서는 약간 깃털 모양이면서 한쪽으로 치우쳐 있다.[1]

3. 1. 꽃과 이삭

꽃은 6-8월에 원추꽃차례로 핀다. 꽃이삭은 길이 5-8cm로서 가지가 1-2개씩 달리며 이삭축에 털이 있다. 작은이삭은 길이 5-7mm로 녹색 또는 분록색이고 때로는 자줏빛이 돌며 3-6개의 작은 꽃이 들어 있다. 꽃밥은 길이 1.5-2.5mm이다.

3. 2. 생태적 특징

뿌리줄기는 짧고 줄기가 뭉쳐나며, 높이는 30-50cm이다. 잎은 길이 5-20cm로 녹색 또는 백록색이며, 잎혀는 길이 0.5mm 정도이다. 꽃은 6-8월에 원추꽃차례로 핀다. 꽃이삭은 길이 5-8cm로서 가지가 1-2개씩 달리며 이삭축에 털이 있다. 작은이삭은 길이 5-7mm로 녹색 또는 분록색이고 때로는 자줏빛이 돌며 3-6개의 작은 꽃이 들어 있다. 꽃밥은 길이 1.5-2.5mm이다.[1]

다년생 식물로, 산성 토양과 산악 목초지에서 발견되기도 하며, 유럽 전역(일부 지중해 지역 제외)과 아시아 대부분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또한 북아메리카에도 도입되었다.[1]

이 식물은 영국 NVC 공동체 CG2의 대표적인 종 중 하나로, ''Festuca ovina'' – ''Avenula pratensis'' 초원이며, 알칼리성 초원 군락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 종은 UK에서 넓은 생태적 내성을 보이며, 염기성 및 산성 토양뿐만 아니라 중금속에 오염된 오래된 광산 부지 및 폐기물 더미에서도 발견된다.[2][3][4]

김의털은 밀집된 덩어리를 이루는 다년생 목초이다. 회녹색의 은 짧고 뻣뻣하다. 원추 화서는 약간 깃털 모양이면서 약간 한쪽으로 치우쳐 있다. 5월부터 6월까지 꽃이 피며, 바람 수분을 한다. 뿌리줄기는 없다.

김의털은 가뭄에 강한 목초로, 가난하고 배수가 잘 되는 광물성 토양에서 흔히 발견된다. 때로는 가뭄 저항 잔디로 사용된다.[5]

빈약한 토양에 적응하는 뛰어난 능력은 균근 곰팡이[6] 때문이며, 이는 수분 흡수와 영양분 흡수를 증가시키고 식물 군락 구조의 잠재적 결정 요인이기도 하다. 곰팡이와의 공생은 곰팡이 균사가 토양 깊숙이 확장되어 식물 뿌리를 덮어 교환 표면을 증가시켜 미네랄, 질소 및 인산염 흡수를 증가시킨다. 또한 곰팡이와의 공생은 모든 식물을 주변 식물과 연결하여 서로 멀리 떨어진 식물 간의 영양분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더 푸른빛을 띠는 정원 품종이 있다.

4. 생태적 가치

김의털은 네발나비와 나방 애벌레, 특히 검은점애기나비, 갈색나비, 작은부전나비, 잔디나방의 먹이 식물 중 하나이다.

5. 재배 및 활용

다년생 식물로, 산성 토양과 산악 목초지에서 발견되기도 하며, 유럽 전역(일부 지중해 지역 제외)과 아시아 대부분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북아메리카에도 도입되었다.[1]

영국 NVC 공동체 CG2(''Festuca ovina'' – ''Avenula pratensis'' 초원)의 대표적인 종으로 알칼리성 초원 군락 중 하나이다. 그러나 UK에서 넓은 생태적 내성을 보여 염기성 및 산성 토양뿐만 아니라 중금속에 오염된 오래된 광산 부지 및 폐기물 더미에서도 발견된다.[2][3][4]

김의털은 밀집된 덩어리를 이루는 다년생 목초이다. 회녹색의 은 짧고 뻣뻣하며, 원추 화서는 약간 깃털 모양이면서 한쪽으로 치우쳐 있다. 5월부터 6월까지 꽃이 피며, 바람 수분을 한다. 뿌리줄기는 없다.

가뭄에 강한 목초로, 척박하고 배수가 잘 되는 광물성 토양에서 흔히 발견된다. 가뭄 저항 잔디로 사용되기도 한다.[5]

빈약한 토양에 잘 적응하는 이유는 균근 곰팡이[6] 때문인데, 이는 수분 흡수와 영양분 흡수를 증가시키고 식물 군락 구조의 잠재적 결정 요인이 되기도 한다. 곰팡이와의 공생은 곰팡이 균사가 토양 깊숙이 뻗어 나가 식물 뿌리를 덮어 교환 표면을 넓혀 미네랄, 질소, 인산염 흡수를 증가시킨다. 또한, 곰팡이와의 공생은 모든 식물을 주변 식물과 연결하여 서로 멀리 떨어진 식물 간의 영양분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더 푸른빛을 띠는 정원 품종도 있다.

6. 갤러리


  • -|]]

참조

[1] 웹사이트 Distribution map for ''Festuca ovina'' http://linnaeus.nrm.[...] Naturhistoriska riksmuseet
[2] 논문 A new taxonomic treatment of the Festuca ovina L. aggregate (Poaceae)in the British Isles https://academic.oup[...] 1991
[3] 논문 Population differentiation within plant species in response to soil factors 1959
[4] 논문 The measurement and genetical analysis of lead tolerance in Festuca ovina 1960
[5] 웹사이트 Choosing the right drought-tolerant lawn can save water http://www.swcolorad[...] SWColoradohome.com 2006-11-18
[6] 논문 Different Arbuscular Mycorrhizal Fungal Species are Potential Determinants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