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누스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주에 위치한 도시이다. 1945년 아베쟈네다에서 분리되어 자치구가 되었으며, 1955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팜파스족과 과라니족 등 토착 부족이 거주했으며, 1536년 부에노스아이레스가 건설되기 전부터 정착지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주요 산업 중심지로서 다양한 산업 시설과 교통 시설, 교육 시설, 의료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축구 클럽 CA 라누스가 위치해 있다. 디에고 마라도나, 디에고 발레리 등 스포츠, 음악, 예술 분야의 유명 인물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에노스아이레스주 - 메를로 (부에노스아이레스주)
    메를로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주에 위치한 도시로, 18세기 목장 주변에서 기원하여 1755년 마을로 설립되었으며, 부에노스아이레스 서부 철도 개통과 함께 도시 계획이 이루어졌다.
  • 부에노스아이레스주 - 킬메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주에 위치한 킬메스는 원래 킬메스족의 땅이었으나 스페인 침략 후 마을이 건설되었고, 이민 물결 속에서 번성하여 세르베사 킬메스 맥주와 킬메스 AC, CA 아르헨티노 데 킬메스 축구 클럽으로 유명하다.
  • 아르헨티나의 도시 - 부에노스아이레스
    부에노스아이레스는 아르헨티나의 수도이자 자치시로, 16세기 건설과 재건을 거쳐 아르헨티나 독립의 중심지였으며 유럽 이민자 유입으로 남미 최대 도시 중 하나로 성장하여 풍부한 문화와 역사를 자랑한다.
  • 아르헨티나의 도시 - 멘도사 (아르헨티나)
    멘도사는 아르헨티나 멘도사 주의 주도로, 와인 생산과 관광, 석유 및 우라늄 개발이 활발하며, 1861년 대지진 이후 재건된 현대적인 도시 구조와 꾸요 국립대학교 등의 문화 시설을 갖추고, 포도 수확 축제와 경전철 시스템, 그리고 영화와 비디오 게임을 통해 대중 문화적으로도 알려진 안데스 산맥 기슭의 도시이다.
라누스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라누스
위치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주
파르티도라누스
시장네스토르 그라인데티 (캄비에모스)
설립일1888년 10월 20일
인구212,152명 (2010년 기준)
인구 밀도알 수 없음
인구 명칭라누센세
좌표34°42′S 58°24′W
고도9m
우편 번호B1824
지역 번호+54 11
수호 성인산타 테레사 데 헤수스
웹사이트라누스 공식 웹사이트
행정
행정 구역라누스 파르티도
추가 정보
도시 이름 (스페인어)Lanús
로마자 표기La-nuseu
기타
관련 항목클럽 아틀레티코 라누스

2. 역사

1955년 10월 19일, "해방 혁명" 독재 정권은 "6월 4일"이라는 도시 이름을 현재의 "라누스"로 변경했다.

최초의 지역 신문은 1910년에 창간된 "라 코무나"였다. 1929년에는 후안 바티스타 알베르디 도서관이 설립되어 현재 22,000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 1949년에 설립된 시립 도서관은 11,000권의 책과 잡지를 소장하고 있다.

1986년 11월, 게를리에 말비나스 제도를 향하고 있는 비행기와 대포가 설치된 "말비나스 영웅 광장"이 개장되어 전쟁에서 사망한 사람들을 기렸다.

라누스에는 1952년 8월 30일에 설립되어 다른 교외 지역의 환자를 치료하는 "에비타 종합 병원"이 있다. 또한 모델(Modelo)과 에스트라다(Estrada) 두 곳의 사립 병원이 있다.

2. 1. 식민지 시대 이전

스페인 정복 이전, 현재 라누스 구를 이루는 지역에는 팜파스족과 과라니족을 포함한 토착 부족들이 거주했다. 팜파스족은 자신들의 이름을 딴 광대한 평원에서 살았던 유목 민족으로, 활과 화살, 볼라 등을 사용하여 사냥과 채집을 하며 생존했다.

라플라타강 하구에 살았던 "과라니 데 라스 일라스"를 포함한 과라니족은 좀 더 정착된 생활 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큰 카누를 타고 항해했으며 마카나, 활, 화살과 같은 무기를 사용했다. 또한 숙련된 직공이자 도예가였으며, 면과 기타 식물 섬유로 도자기를 만들었다. 스페인인들이 도착했을 때, 현재 아베야네다구에 해당하는 라 플라타강 연안과 푸엔테 데 라 노리아 근처에서 과라니족의 정착지를 발견했으며, 특히 도자기와 같은 고고학적 유물이 발견되었다.

2. 2. 식민지 시대

1536년,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첫 번째 건국은 역사가 S.J. 기예르모 풀롱(S.J. Guillermo Furlong)에 따르면, 현재의 우리부루 다리 근처, 파소 데 부르고스 인근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라누스가 미래 라플라타 부왕령에서 가장 오래된 정착지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초기 정착지는 짧은 기간 동안만 유지되었으며, 1580년 후안 데 가라이가 두 번째로 도시를 건설하면서 영구적으로 자리 잡았다.

국왕의 명령에 따라 후안 데 가라이는 영구적인 정착을 장려하기 위해 토지를 분배했고, 거주자들은 5년 동안 그곳에 거주해야 했으며, 그렇지 않으면 당국이 토지를 재할당할 수 있었다. 현재 라누스 지구(Partido de Lanús)의 일부인 토지는 마그달레나 관할 지역, 라 마탄사 관할 지역, 그리고 리아추엘로 관할 지역으로 알려진 그 사이 지역에 속했다. 이 지역의 첫 번째 토지 소유자는 후안 토레스 데 베라 이 아라곤이었으며, 그의 재산은 아델란타도(Estancia del Adelantado)로도 알려졌다. 그들은 거주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들의 토지는 나중에 후안 루이스(Juan Ruíz)의 작은 만, 조반나 고메즈(Giovanna Gomez), 페드로 데 헤레즈(Pedro de Jerez)와 같은 다양한 정착민들에게 재분배되었다.

2. 3. 독립 이후

1856년경, 라누스 지역의 총 인구는 5,099명이었으며, 그중 크리오요는 2,444명이었다. 나머지는 프랑스인(819명), 스페인인(528명), 이탈리아인(496명), 영국인(247명), 독일인(217명) 등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고용원은 13개의 살라데로(고기 염장 및 가공 시설)와 농장이었다.

당시 라누스에는 빵집 10곳, 채소가게 9곳, 정육점 12곳, 시골에서 고기를 판매하는 마차 8대, 상점 22곳, 작은 잡화점 96곳, 선술집 13곳, 당구장 12곳이 있었다. 2층 집 19채, 1층 집 203채, 벽돌, 초가 지붕 또는 아연 지붕을 가진 오두막 1,217채가 있었다. 교육 기관은 6곳, 예배당은 2곳으로, 로마스에는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트란시토 또는 로스 그리게라가, 바라카스 알 수르에는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로사리오 또는 이탈리아 예배당이 있었다.

2. 4. 아베쟈네다로부터의 분리

라누스는 1944년 9월 29일 법령에 따라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자치구 중 111번을 부여받아 1945년 1월 1일 공식적으로 독립했다. 초대 시립 위원으로는 후안 라몬 피네이로(Juan Ramón Piñeiro)가 임명되었다. 이로써 라누스는 당시 "6월 4일"(4 de junio)이라는 이름으로 아베쟈네다에 속해 있다가 분리되었다.

1945년 6월 13일, 법령에 따라 철도 작업장으로 유명하며 이전에는 로마스 데 사모라에 속했던 레메디오스 데 에스칼라다를 병합하여 관할 구역이 확장되었다.

2. 5. 민주화 이후

1983년 민주주의가 회복된 이후, 마누엘 킨디밀이 시장을 역임했다. 그는 이전에 1973-1976년 기간 동안 그 직책을 맡았다. 킨디밀의 오랜 시장 재임은 2007년 10월 28일 선거에서 끝났으며, 승리를 위한 전선의 다리오 디아스 페레스에게 패했다. 현재는 네스토르 그리데티가 자치구 시장으로 재직하고 있다.[1]

3. 주요 시설

라누스의 기술 학교


이 도시에는 축구 클럽인 클루브 아틀레티코 라누스가 있으며, 현재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활동하고 있다. 클루브 아틀레티코 라누스에는 농구팀도 있다.

3. 1. 산업 시설

라누스는 주요 산업 중심지이며, 화물 및 여객 철도 노선이 운행된다. 이 도시에는 화학, 무기, 섬유, 종이, 가죽 및 고무 제품, 전선, 의류, 오일 및 윤활유 산업뿐만 아니라 제혁소, 채소 및 과일 통조림 공장이 있다. 또한 여러 기술 학교와 부에노스아이레스 지역에서 가장 큰 의료 센터 중 하나인 에바 페론 의료 센터가 위치해 있다.

3. 2. 교통 시설

라누스는 주요 산업 중심지이며, 화물 및 여객 철도 노선이 운행된다.

3. 3. 교육 시설



라누스에는 여러 기술 학교가 있으며, 부에노스아이레스 지역에서 가장 큰 의료 센터 중 하나인 에바 페론 의료 센터가 있다.

3. 4. 의료 시설



라누스에는 에바 페론 의료 센터가 있으며, 이곳은 대 부에노스 아이레스 지역에서 가장 큰 의료 센터 중 하나이다.

4. 스포츠

이 도시에는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활동하고 있는 축구 클럽인 클루브 아틀레티코 라누스가 있으며, 농구팀도 있다.

5. 라누스 출신 유명 인물

오라시오 아카발로, 루카 안드라다, 마라도나, 가스톤 페르난데스, 디에고 발레리, 발테르 몬티요, 아드리안 리치우티, 에마누엘 모리아티스, 에밀리아노 스파타로 등 스포츠 선수들과 우고 아라나, 알프레도 아리아스, 구스타보 코르데라, 리카르도 몬타네르, 산드로, 바바소니코스, 마르셀라 모렐로, 줄리 곤잘로, 프란시스코 알바레스, 아리엘 곤살레스, 세르히오 올구인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라누스 출신이다.

5. 1. 스포츠

선수종목기타
오라시오 아카발로권투
루카 안드라다축구프로 선수
디에고 마라도나축구1986년 FIFA 월드컵 스타[1], 라누스 출생
가스톤 페르난데스축구포틀랜드 팀버스 소속, 라누스 출생
디에고 발레리축구CA 라누스 소속, 포틀랜드 팀버스 역대 최고 득점자
발테르 몬티요축구산둥 루넝 소속, 크루제이루 EC 등에서 활약, 라누스 출생
아드리안 리치우티축구칼초 카타니아 소속, 라누스 출생
에마누엘 모리아티스레이싱드라이버
에밀리아노 스파타로레이싱드라이버


5. 2. 음악


  • 구스타보 코르데라는 록 음악가이다.
  • 아리엘 곤살레스는 록 뮤지션, 작사가, 편곡가이다.
  • 마르셀라 모렐로는 라틴 가수 겸 작곡가이다.
  • 바바소니코스는 록 밴드로 멤버들이 라누스 출신이다.
  • 리카르도 몬타네르는 라틴 가수이다.
  • 산드로는 인기 가요 가수이다.
  • 에두아르도 로비라는 음악가이다.

5. 3. 기타


  • 오라시오 아카발로 - 권투 선수
  • 루카 안드라다 - 프로 축구 선수
  • 우고 아라나 - 배우
  • 알프레도 아리아스 - 연극 프로듀서
  • 구스타보 코르데라 - 록 음악가
  • 디에고 마라도나 - 축구 영웅, 1986년 FIFA 월드컵 스타[1]
  • 리카르도 몬타네르 - 라틴 음악가
  • 산드로 - 가요 가수
  • 바바소니코스 - 록 밴드
  • 가스톤 페르난데스 - 포틀랜드 팀버스의 축구 선수
  • 디에고 발레리 - CA 라누스의 축구 선수, 포틀랜드 팀버스 역대 최고 득점자
  • 발테르 몬티요 - 산둥 루넝의 축구 선수
  • 아드리안 리치우티 - 칼초 카타니아의 축구 선수
  • 마르셀라 모렐로 - 라틴 가수 겸 작곡가
  • 줄리 곤잘로 - 배우
  • 프란시스코 알바레스 - 배우
  • 아리엘 곤잘레스 - 록 음악가, 작곡가 겸 편곡가
  • 세르히오 올구인 - 작가, 저널리스트 겸 편집자; 소설 《라누스》를 썼다.
  • 에마누엘 모리아티스 - 레이싱 드라이버
  • 에밀리아노 스파타로 - 레이싱 드라이버
  • 프란시스코 알바레스(1892-1960) - 영화 배우. 짧은 기간 동안 라누스에 거주, 사망.
  • 세르히오 올긴 - 작가, 저널리스트, 편집자. 라누스에서 성장, "라누스"라는 제목의 소설을 썼다.
  • 훌리에 고나스롤로 - 여배우. 라누스 출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