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엘리나사우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엘리나사우라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남극 공룡으로, 힙실로포돈과, 이구아노돈 또는 조반류로 묘사되어 왔다. 최근 연구에서는 엘라스마리아의 구성원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 공룡은 길이가 약 90cm 정도이며, 여러 표본이 발견되었다. 꼬리가 길고, 확대된 눈을 가져 저광 환경에 적응했을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어린 개체의 특징일 수 있다는 해석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악기 전기 오스트레일리아의 공룡 - 무타부라사우루스
    무타부라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 오스트레일리아에 살았던 조각류 공룡으로, 머리 위 부풀어 오른 코가 특징이며, 8m에 달하는 중대형 초식 공룡으로 추정된다.
  • 백악기 전기 오스트레일리아의 공룡 - 민미
    민미는 호주에서 발견된 백악기 초식성 갑옷 공룡으로, 척추를 따라 뼈 판을 가지고 있었으며, 쿤바라사우루스로 분류되기도 하였고, 유리포다 또는 안킬로사우루스류로 분류되기도 한다.
  • 198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마다가스카르난쟁이하마
    마다가스카르난쟁이하마는 마다가스카르에서 멸종된 하마의 일종으로, 피그미하마와 유사하며, 19세기 중반에 발견되었고, 마다가스카르 고지대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인간의 사냥으로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 198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아시아케라톱스
    아시아케라톱스는 백악기 후기 아시아에 살았던 각룡류 공룡 속으로, 아시아케라톱스 살소팔루달리스가 모식종이며, 렙토케라톱스과의 기저 위치를 차지하는 초식 공룡으로 추정된다.
  • 조각하목 - 드리오사우루스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한 드리오사우루스는 긴 목과 다리, 각질 부리를 가진 최대 3m 크기의 조각류 공룡으로, 모리슨 층 등 다양한 지역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1894년에 'Dryosaurus altus'로 재분류되었다.
  • 조각하목 - 이구아노돈
    이구아노돈은 백악기 전기 유럽,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 서식했던 몸길이 7~9m의 대형 초식 공룡으로, 엄지손가락 가시와 질긴 식물을 씹는 턱 구조를 가졌으며, 1822년 이빨 화석 발견 이후 연구가 진행되어 현재 두 종이 유효한 것으로 인정된다.
라엘리나사우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홀로타입 상악골
레엘리나사우라속
amicagraphica
생물학적 분류
Leaellynasaura
상목공룡상목
†조반목
아목조각아목
힙실로포돈과
시간 척도
화석 범위압트절-알비절 (1억 1800만 년 전 ~ 1억 1000만 년 전)
학명
속명 명명자Rich & Rich, 1989
종명 명명자Rich & Rich, 1989

2. 발견 및 분류

가상적인 비늘 피부를 가진 ''라엘리나사우라''의 복원도


''라엘리나사우라''는 힙실로포돈과, 원시적인 이구아노돈 또는 원시적인 조반류(겐나사우리아)로 묘사되어 왔다. 최근 연구에서는 합의점을 찾지 못했는데, 일부 분석에서는 비-이구아노돈 조각류로 묘사하는 반면,[6] 다른 연구에서는 기초적인 신조반류로 묘사한다.[7] 2019년 연구에서는 엘라스마리아의 구성원으로 복원되었다.[8]

Herne 등(2019)에 따르면 ''라엘리나사우라''는 조반류 내에서 엘라스마리아에 속한다.[8]

2. 1. 분류 논쟁



''라엘리나사우라''는 힙실로포돈과, 원시적인 이구아노돈 또는 원시적인 조반류(겐나사우리아)로 묘사되어 왔다. 최근 연구에서는 합의점을 찾지 못했는데, 일부 분석에서는 비-이구아노돈 조각류로 묘사하는 반면,[6] 다른 연구에서는 기초적인 신조반류로 묘사한다.[7] 2019년 연구에서는 엘라스마리아의 구성원으로 복원되었다.[8]

Herne 등(2019)에 따르면 ''라엘리나사우라''는 조반류 내에서 엘라스마리아에 속한다.[8]

3. 특징

라엘리나사우라(Leaellynasaura)는 비교적 작은 공룡으로, 길이가 약 90센티미터(3피트) 정도였다.[1] 두 개의 거의 완전한 골격과 두 개의 단편적인 두개골을 포함한 여러 표본으로 알려져 있다. 허니(Herne, 2009)는 진보된 조반류와 달리, 라엘리나사우라는 꼬리에 골화된 힘줄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꼬리가 다른 조반류 공룡에 비해 몸 크기에 비해 현저하게 길다고 주장했는데, 꼬리는 몸 전체 길이의 세 배였으며, 일부 하드로사우루스를 제외하면 다른 어떤 조반류보다 꼬리 척추뼈가 더 많았다.[4] 그러나, 라엘리나사우라에 귀속된 화석 재료에 대한 후속 수정에서 허니(Herne, 2013)는 긴 꼬리를 가진 두개골을 제외한 골격(또는 늦은 압티안-초기 알비안 유메라라 지층(Eumeralla Formation)에서 발견된 모식 표본 불완전 두개골 MV P185991, 오른쪽 상악골 MV P186352 및 왼쪽 상악 치아 MV P186412)을 라엘리나사우라 아미카그래피카(Leaellynasaura amicagraphica)로 자신 있게 지정할 수 없었다.[5]

원래 ''Leaellynasaura''로 분류된 부분적인 긴 꼬리를 가진 조반류 공룡 골격


''Leaellynasaura''로 분류된 두개골


화석

3. 1. 꼬리

3. 2. 시각

''라엘리나사우라''(Leaellynasaura)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남극 공룡이다. 이 시대에 빅토리아는 남극권 안에 있었을 것이다. 오늘날 이 위도는 매우 춥지만, 중생대 백악기에는 훨씬 더 따뜻했다.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 때문에 ''라엘리나사우라''와 동시대 공룡들은 여전히 낮과 밤이 번갈아 가며 지속되는 환경에서 살았을 것이다.[9] 위도에 따라 겨울에는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해가 뜨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라엘리나사우라''가 한 번에 몇 달 동안 어둠 속에서 살아야 했을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9] ''라엘리나사우라''로 해석되는 두개골 조각은 확대된 과 비율적으로 큰 시엽을 시사하여 저광 조건에 대한 적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9] 그러나 이 표본의 비교적 큰 안와는 최근에 저광 적응이 아닌, 어린 개체의 특징적인 큰 눈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었다.[6]

가상의 털깃을 가진 세 마리의 ''라엘리나사우라'' 복원도

4. 생태

''라엘리나사우라''(Leaellynasaura)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남극 공룡이다. 이 시대에 빅토리아는 남극권 안에 있었을 것이다. 오늘날 이 위도는 매우 춥지만, 중생대 백악기에는 훨씬 더 따뜻했다.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 때문에 ''라엘리나사우라''와 동시대 공룡들은 여전히 낮과 밤이 번갈아 가며 지속되는 환경에서 살았을 것이다. 위도에 따라 겨울에는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해가 뜨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라엘리나사우라''가 한 번에 몇 달 동안 어둠 속에서 살아야 했을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9] ''라엘리나사우라''로 해석되는 두개골 조각은 확대된 과 비율적으로 큰 시엽을 시사하여 저광 조건에 대한 적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9] 그러나 이 표본의 비교적 큰 안와는 최근에 저광 적응이 아닌, 어린 개체의 특징적인 큰 눈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었다.[6]

5.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서적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http://www.geol.umd.[...] 2012
[2] 논문 The holotype individual of the ornithopod dinosaur ''Leaellynasaura amicagraphica'' Rich & Rich, 1989 (late Early Cretaceous, Victoria, Australia)
[3] 간행물 Polar dinosaurs and biotas of the Early Cretaceous of southeastern Australia. 1989
[4] 논문 Postcranial osteology of ''Leaellynasaura amicagraphica'' (Dinosauria; Ornithischia)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southeastern Australia. http://www.vertpaleo[...] 2010-07-05
[5] 학위논문 Anatomy, systematic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Early Cretaceous ornithopod dinosaurs of the Australian-Antarctic rift system http://espace.librar[...]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2013
[6] 논문 A reappraisal of the Cretaceous non-avian dinosaur faunas from Australia and New Zealand: evidence for their Gondwanan affinities 2010
[7] 논문 The systematic relationships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ornithischian dinosaurs
[8] 논문 New small-bodied ornithopods (Dinosauria, Neornithischia) from the Early Cretaceous Wonthaggi Formation (Strzelecki Group) of the Australian-Antarctic rift system, with revision of ''Qantassaurus intrepidus'' Rich and Vickers-Rich, 1999
[9] 서적 Dinosaurs of Darkness Indiana University Press 2002
[10] 서적 地球を支配した恐竜と巨大生物たち
[11] 서적 『小学館の図鑑NEO 恐竜』 小学館
[12] 웹사이트 レアエリナサウラの脛骨 - 鳥盤目の恐竜 - 恐竜類 - 化石 - 収蔵情報 - 研究活動:群馬県立自然史博物館 http://www.gmnh.pref[...] 2023-05-10
[13] 서적 『地球を支配した恐竜と巨大生物たち』
[14] 서적 『地球を支配した恐竜と巨大生物たち』
[15] 서적 『小学館の図鑑NEO 恐竜』 小学館
[16] 웹사이트 About Scientific ReportsWhy publish in Scientific Reports? https://www.scienc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