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이징 어브 더 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이징 어브 더 문"은 1798년 아일랜드 봉기를 소재로 한 아일랜드 민요이다. 존 키건 캐시가 쓴 이 노래는 두 독립군의 대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달이 뜨는 시점에 파이크를 들고 모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The Wearing of the Green"의 곡조를 차용했으며, 아일랜드 민족주의와 페니언 봉기와 깊은 연관을 맺는다. 1866년 시집에 처음 수록되었으며, 현재까지 아일랜드에서 인기가 높고 다양한 음악가들에 의해 커버되었다. 또한, 한국 대중문화에서도 영화, 드라마 등의 배경음악으로 사용되며 아일랜드의 정서를 나타내는 데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5년 노래 - 조지아 행진곡
    조지아 행진곡은 헨리 클레이 워크가 작곡한 미국 남북 전쟁 노래로, 셔먼의 바다로의 행진을 기념하며 연방군의 승리와 노예 해방을 노래한다.
  • 1798년 아일랜드 반란 - 연합 아일랜드인회
    연합 아일랜드인회는 1790년대 아일랜드 독립과 공화주의를 목표로 결성된 비밀 결사로, 1798년 아일랜드 반란을 주도했으나 실패하고 아일랜드 민족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1798년 아일랜드 반란 - The Boys of Wexford
    "The Boys of Wexford"는 1798년 아일랜드 반란 당시 웩스퍼드 사건을 소재로 한 아일랜드 발라드로, 아일랜드 민족주의 정서를 담고 있으며 케네디 가문과 연관되어 정치적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여러 아티스트들에 의해 불리며, 한국에서는 아일랜드 독립 전쟁과 민족주의 가치를 되새기는 역할을 한다.
  • 혁명을 소재로 한 작품 - 역전재판 6
    역전재판 6은 캡콤에서 개발한 에이스 변호사 시리즈 게임으로, 나루호도 류이치, 호시카게 마코토, 키즈키 아카네가 변호사가 되어 의뢰인을 변호하며, 전작으로부터 1년 후 나루호도가 쿠라인 왕국으로, 아폴로와 아테나가 웨이트 법률 사무소를 배경으로 활약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고 새로운 영매 시스템과 아야사토 마요이를 비롯한 기존 및 새로운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 혁명을 소재로 한 작품 - The Boys of Wexford
    "The Boys of Wexford"는 1798년 아일랜드 반란 당시 웩스퍼드 사건을 소재로 한 아일랜드 발라드로, 아일랜드 민족주의 정서를 담고 있으며 케네디 가문과 연관되어 정치적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여러 아티스트들에 의해 불리며, 한국에서는 아일랜드 독립 전쟁과 민족주의 가치를 되새기는 역할을 한다.
라이징 어브 더 문 - [음악]에 관한 문서
곡 정보
곡명라이징 어브 더 문 (The Rising of the Moon)
종류포크
더 클랜시 브라더스 앤드 토미 메이컴 버전
음반The Rising of the Moon
발매일1956년 1차, 1959년 2차 발매
포맷LP
작사가존 키건 캐시 (일부 가사는 더 클랜시 브라더스가 추가)
작곡가전통 가락
더 클랜시 브라더스 앤드 토미 메이컴 버전 (2)
음반Hearty and Hellish!
발매일1962년
포맷LP
유통사컬럼비아 레코드
작사가존 키건 캐시 (일부 가사는 더 클랜시 브라더스가 추가)
작곡가전통 가락
더 더블리너스 버전
음반A Drop of the Hard Stuff
발매일1967년
포맷LP
작사가존 키건 캐시
작곡가전통 가락

2. 가사

Oh! then tell me, Shawn O'Ferrall, Tell me why you hurry so?|오! 숀 오페럴, 말해다오, 왜 그리 서두르는가?영어

Hush ma bouchal, hush and listen, And his cheeks were all a-glow.|쉿, 내 아들아, 쉿, 들어라, 그의 뺨은 붉게 빛나고.영어

I bear ordhers from the captain, Get you ready quick and soon,|나는 대장님의 명령을 받았으니, 서둘러 준비하라,영어

For the pikes must be together At the risin' of the moon.|창들이 달이 떠오를 때 함께 모여야 하니.영어

At the risin' of the moon, at the risin' of the moon,|달이 떠오를 때, 달이 떠오를 때,영어

For the pikes must be together at the risin' of the moon.|창들이 달이 떠오를 때 함께 모여야 하니.영어

Oh! then tell me, Shawn O'Ferrall, Where the gatherin' is to be?|오! 숀 오페럴, 말해다오, 어디에 모여야 하는가?영어

In the ould spot by the river, Right well known to you and me.|강가의 오래된 장소에서, 너와 나 모두 잘 아는 곳.영어

One word more—for signal token Whistle up the marchin' tune,|한 마디 더—신호로 행진곡을 휘파람으로 불어라,영어

With your pike upon your shoulder, By the risin' of the moon.|어깨에 창을 메고, 달이 떠오를 때.영어

By the risin' of the moon, by the risin' of the moon,|달이 떠오를 때, 달이 떠오를 때,영어

With your pike upon your shoulder, by the risin' of the moon.|어깨에 창을 메고, 달이 떠오를 때.영어

Out from many a mudwall cabin Eyes were watching thro' that night,|많은 진흙 벽 오두막에서 그날 밤 눈들이 지켜보고 있었고,영어

Many a manly chest was throbbing For the blessed warning light.|많은 용감한 가슴이 축복받은 경고의 빛을 위해 고동치고 있었네.영어

Murmurs passed along the valleys Like the banshee's lonely croon,|골짜기를 따라 속삭임이 지나갔네, 마치 밴시의 외로운 흐느낌처럼,영어

And a thousand blades were flashing At the risin' of the moon.|그리고 수천 개의 칼날이 달이 떠오를 때 번쩍였네.영어

At the risin' of the moon, at the risin' of the moon,|달이 떠오를 때, 달이 떠오를 때,영어

And a thousand blades were flashing at the risin' of the moon.|그리고 수천 개의 칼날이 달이 떠오를 때 번쩍였네.영어

There beside the singing river That dark mass of men was seen,|노래하는 강가 옆에 검은 무리의 사람들이 보였고,영어

Far above the shining weapons Hung their own beloved green.|빛나는 무기들 위로 그들만의 사랑하는 초록색 깃발이 걸렸네.영어

Death to ev'ry foe and traitor! Forward! strike the marchin' tune,|모든 적과 배신자에게 죽음을! 앞으로! 행진곡을 연주하라,영어

And hurrah, my boys, for freedom! 'T is the risin' of the moon.|그리고 만세, 나의 형제들이여, 자유를 위해! 달이 떠오른다.영어

'T is the risin' of the moon, 't is the risin' of the moon,|달이 떠오른다, 달이 떠오른다,영어

And hurrah my boys for freedom! 't is the risin' of the moon.|그리고 만세 나의 형제들이여, 자유를 위해! 달이 떠오른다.영어

Well they fought for poor old Ireland, And full bitter was their fate|그들은 가엾은 옛 아일랜드를 위해 잘 싸웠고, 그들의 운명은 매우 쓰라렸네.영어

(Oh! what glorious pride and sorrow Fill the name of Ninety-Eight).|(오! 얼마나 영광스러운 자부심과 슬픔이 98년의 이름을 채우는가).영어

Yet, thank God, e'en still are beating Hearts in manhood's burning noon,|하지만, 신께 감사하게도, 여전히 타오르는 정오의 남자다움 속에 심장이 뛰고 있네,영어

Who would follow in their footsteps, At the risin' of the moon!|달이 떠오를 때, 그들의 발자취를 따를.영어

At the rising of the moon, at the risin' of the moon,|달이 떠오를 때, 달이 떠오를 때,영어

Who would follow in their footsteps, at the risin' of the moon.|달이 떠오를 때, 그들의 발자취를 따를.영어

3. 내용 분석

"월출" 가사는 1798년 아일랜드 봉기를 배경으로, 작가이자 피니언 당원이었던 존 키건 캐시가 쓴 것이다.[1] 가사는 두 독립군(숀 오패럴과 부컬)의 대화 형식으로, 독립군의 공격 신호인 '월출'을 기다리며 파이크(창)를 들고 모이라는 명령을 전달한다.

가사에 등장하는 '파이크'는 당시 아일랜드 독립군의 무기를 상징하며,[1] 어둠 속에서 빛나는 파이크 날은 독립군의 항영 정신을 나타낸다. '초록색'은 아일랜드, 특히 아일랜드의 로마 가톨릭을 상징하는 색깔로, 독립군의 무기에 묶인 초록색 천은 아일랜드의 민족 정신과 로마 가톨릭 신자로서의 정체성을 상징한다.[14]

가사는 독립군의 집결과 전투, 그리고 전사자에 대한 추모를 다룬다. 1798년 봉기는 실패했지만, 가사는 아일랜드의 독립에 대한 희망을 노래하며, 이는 1867년 페니언 봉기에 참여하려는 반군에게 영감을 주었다.[1]

4. 역사적 배경

"월출"은 1798년 아일랜드 봉기를 배경으로 작곡되었다. 이 봉기는 아일랜드인들이 영국의 지배에 맞서 일으킨 항쟁으로, 한국독립당과 같은 독립운동 단체인 피니언 당(Fenian Party)의 존 키건 케이시가 이 사건을 소재로 곡을 만들었다.[1]

1798년 봉기는 실패로 끝났지만, 독립을 향한 아일랜드인들의 열망은 계속되었다. 봉기 당시 아일랜드 독립군은 '파이크(pike)'라는 창을 주 무기로 사용했는데, 이는 독립군의 항쟁 정신을 상징한다. 노래 속 '월출(Rising of the Moon)'은 아일랜드 독립군의 공격 신호를 의미한다.[13]

봉기 과정에서 존 켈리, 로디 매컬리 등 주요 독립운동가들이 체포되어 처형되었지만, 노래는 아일랜드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담고 있다. 가사에는 "그들의 발자취를 따를" 사람들이 다시 아일랜드의 영국 통치에 반란을 일으킬 것이라는 내용이 담겨 있어, 훗날 1867년 페니언 봉기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다.[1]

이 노래의 가사는 1798년 봉기의 희망과 낙관적인 분위기를 담고 있으며, 존 키건 케이시의 1866년 시와 노래 모음집인 ''A Wreath of Shamrocks''에 처음 출판되었다. 이 노래는 The Wearing of the Green의 곡조를 차용했으며,[1] 1865년경부터 유통되기 시작하여 1867년에 출판물에서 발견되었다.[2][3]

5. 음악적 특징 및 영향

이 발라드는 다른 아일랜드 발라드인 "The Wearing of the Green"의 곡조를 차용했으며,[1] 존 키건 케이시의 1866년 시와 노래 모음집인 ''A Wreath of Shamrocks''에 처음 출판되었다.[1]

이 노래는 오늘날에도 아일랜드에서 인기가 있으며, 그 곡조는 학교에서 자주 가르치고, 공식 및 스포츠 행사에서 정기적으로 연주된다. 더 더블리너스, 더 클랜시 브라더스, 더 하이 킹스, 토미 메이컴, 셰인 맥고완 등 다양한 음악가들이 이 곡을 커버했다.

6. 아일랜드 민족주의와의 연관성

"월출"은 아일랜드의 독립 운동가이자 페니언 당원이었던 존 키건 캐시가 1798년 아일랜드인들의 반영 독립 항쟁을 소재로 지은 곡이다. 페니언 당은 한국독립당처럼 아일랜드의 독립을 위해 조직된 단체였다.[1]

이 노래는 1798년 봉기의 희망과 낙관주의를 담아, 1867년 페니언 봉기에 참여하려는 반군에게 영감을 주고자 했다. 1865년경부터 알려졌으며,[2] 1867년에는 출판물에서도 발견되었다.[3] 가사는 "페니언 시인" 캐시(1846–70)가 1798년 롱퍼드 주 그라나드에서 일어난 실패한 봉기를 바탕으로 썼다.[1]

노래는 독립군 간의 대화 형식으로, 공격 신호인 "월출" 때 파이크를 들고 모이라는 명령을 전달한다. 독립군은 어둠 속에서도 빛나는 파이크 날을 들고 모여 항영 정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가사 중 "Far above the shining weapons Hung their own beloved green."에서 초록색은 아일랜드의 민족 정신과 로마 가톨릭 신자로서의 정체성을 나타낸다.[14]

비록 1798년 독립군은 잉글랜드군에게 패배하고 존 켈리, 로디 매컬리 등의 지도자들이 처형되었지만, 노래는 아일랜드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담고 있다. 오늘날에도 이 노래는 아일랜드에서 널리 불리며, 학교에서 가르치고, 공식 및 스포츠 행사에서 연주된다. 더 더블리너스, 더 클랜시 브라더스 등 다양한 음악가들이 이 노래를 불렀다.

참조

[1] 서적 A wreath of shamrocks:: ballads, songs, and legends https://books.google[...] Robert S. M'Gee, 35 Lower Sackville Street (next the General Post Office)
[2] 웹사이트 Rising of the Moon, The http://www.csufresno[...] California State University, Fresno 2010-10-21
[3] 서적 Songs of Irish rebellion: political street ballads and rebel songs, 1780–1900 https://books.google[...] Folklore Associates
[4] 서적 Irish come-all-ye's: a repository of ancient Irish songs and ballads—comprising patriotic, descriptive, historical and humorous gems, characteristic of the Irish race https://archive.org/[...] L. Lipkind
[5] 서적 Irish songs of resistance https://books.google[...] Folklore Press
[6] 서적 Zimmermann (1967), pp. 259–260
[7] 서적 Folksinger's wordbook https://books.google[...] Oak Publications
[8] 서적 Irish minstrelsy: being a selection of Irish songs, lyrics, and ballads https://archive.org/[...] W. Scott
[9] 서적 The universal Irish song book: a complete collection of the songs and ballads of Ireland https://books.google[...] P.J. Kenedy
[10] 웹사이트 2806 b.10(189) http://bodley24.bodl[...] University of Oxford 2010-10-28
[11] 웹사이트 2806 b.10(205) http://bodley24.bodl[...] University of Oxford 2010-10-28
[12] 문서 원곡은 고전 포크송인 웨어링 인 더 그린이고, 이 곡의 가락에 맞추어 1867년에 새로 지은 것이다. 세이 윌 위 옛의 경우 [[더 코리스]]의 1975년도 앨범에 들어 있는 세이 윌 위 옛의 가락(로브 앤더슨의 노래를 따름(From Rob Anderson)이라고 적혀 있다)이 웨어링 인 더 그린, 라이징 어브 더 문 가락과 같다. 하지만 다른 가락에 맞춰 부르는 세이 윌 위 옛도 있다.
[13] 문서 1798년 당시에는 금속으로 만든 틴 휘슬은 없었다. 당시에는 나무로 만든 우드 휘슬(wood whistle)이었다.
[14] 문서 아일랜드인의 86%가 로마 가톨릭 신자이다. 아일랜드는 [[성 파트리치오]]에 비교적 이른 시기에 복음화되었고, 아일랜드에서 가톨릭은 민족 종교화되어 있다. 성 파트리치오를 기념하는 3월 17일(성 패트릭의 날)은 아일랜드 최대의 축제일이다. 이 날 사람들이 입는 옷 또한 초록색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