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크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크인은 락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다게스탄의 락스키 구역과 쿨린스키 구역에 주로 거주하며, 약 20만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라크인은 스스로를 "락"이라고 부르며, 역사적으로 쿠무흐를 수도로 하는 가지쿠무흐 칸국의 지배를 받았다. 대부분의 라크인은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으며, 북캅카스 인종에 속한다. 전통적으로 농업과 축산업에 종사했으며, 봉건 제도를 확립하기도 했다.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J1 하플로그룹이 가장 우세하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제르바이잔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 아제르바이잔의 민족 - 아르메니아인
아르메니아인은 아르메니아 공화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흩어져 거주하며,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하고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온 민족이다. - 러시아의 민족 - 이누이트
이누이트는 북극 지역에 거주하며 수렵과 어업을 통해 생활하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지닌 민족으로, 현대 사회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 러시아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라크인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민족명 | 라크인 |
![]() | |
인구 | 약 200,000명 |
거주 지역 |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약 162,518명 (2021년) 투르크메니스탄: 4,100명 (출처 필요) 우즈베키스탄: 3,400명 (출처 필요) 타지키스탄: 2,300명 (출처 필요) 아제르바이잔: 1,600명 (출처 필요) 우크라이나: 900명 (출처 필요) 카자흐스탄: 700명 (출처 필요) |
종교 | 수니 이슬람 |
언어 | 라크어, 러시아어 |
관련 민족 | 북동캅카스계 민족 |
2. 명칭
"락(Lak)"이라는 단어는 라크인들이 사용하는 자칭 명칭으로, 라크어 표현에서 "zhu Lak buru"(우리는 라크인이다), "zhu Lakral khalq buru"(우리는 라크 민족이다) 등으로 나타난다. "Laktal"은 라크인, "Lakssa"는 라키안, 라크인, 라크 남자를 뜻한다. "Lakkuchu"는 라키안 남자, "Lakku maz"는 라크어, "Lakkuy"는 라키아를 의미한다. "Lakral kanu"는 라크 장소 또는 라크 지구, "Lakku bilayat"는 라크 국가, "Lakral pachchahlug"는 라크 국가를 뜻한다. 라크인들은 "락(Lak)"을 민족 명칭과 지명으로 사용한다.
라크인의 역사는 여러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아누시르반 시대에는 쿠무흐에 통치자가 임명되었고, 6세기 쿠무흐는 다게스탄 고지대의 정치적 중심지 중 하나였다.[1] 8세기 샴할 시대에는 쿠무흐의 샴할이 라크인의 통치자로 처음 언급되었다.[1] 13세기 쿠무흐의 샴할들은 이슬람교를 받아들여 라크인은 이슬람 국가가 되었다.[1] 15세기 쿠무흐는 다게스탄의 주요 이슬람 및 정치 중심지가 되었다.[1] 쿠무흐 칸국 시대에는 페르시아, 러시아, 터키의 식민 정책에 반대했다.[1]
P. K. 우슬라르(1864)는 가치-쿠무흐 거주자들이 "락(Lak)"을 자칭으로 사용한다고 보고했다. 그는 "Lakkuchu, Lakkuchunal, 주격 복수 Lak, 소유격 Lakral"은 카지쿠무흐 남자를, "Lak"은 전체 국가의 이름을 의미한다고 기록했다.[2]
러시아 군 장군이자 역사가인 A. V. 코마로프(1869)와 N. F. 두브로빈(1871)은 코카서스 역사 및 민족지학에 관한 저술에서 가치-쿠무흐 거주자들의 자칭이 "락(Lak)"이며, 그들을 "라키(Laki)"(라크인)라고 불렀다고 언급했다.[3][4]
다게스탄 주의 1886년 인구 조사와 역사가이자 민족지학자인 E. I. 코주브스키가 작성한 1895년 다게스탄 주의 개략도에서 카지쿠무흐 지구의 거주자들은 "라키(Laki)"라고 불렸다.[5][6]
소련 및 러시아 과학자-언어학자인 V. I. 아바예프에 따르면, 자칭 "락(lak)"은 코카서스 민족이 "농노"를 지칭하는 용어인 "lag"과 관련이 있다.[7]
라크인들의 이전 자칭 명칭은 '''쿠무크(Kumuk)'''였다.[8] R. A. 아게예바는 라크인들의 자칭으로 '바니시(varnish)'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이차적인 현상이며, 주변 언어들에서는 라크인들의 더 오래된 자칭 명칭인 구무크(gumuk), 구메크(gumek), 쿠무크(kumuk) 등이 보존되어 있다고 적고 있다.[9]
3. 역사
3. 1. 샴할
8세기에 쿠무흐의 샴할은 라크인의 통치자로 처음 언급되었다.[1] 13세기에 쿠무흐의 샴할들은 이슬람교를 받아들였고 라크인은 이슬람 국가가 되었다.[1] 15세기에 쿠무흐는 다게스탄의 주요 이슬람 및 정치 중심지가 되었다.[1]
3. 2. 가지쿠무흐 칸국
쿠무흐는 역사적으로 라크족 통치자들의 거주지였던 요새 도시이자, 라크인의 고대 수도였다. 6세기에는 쿠무흐가 다게스탄 고지대의 정치적 중심지 중 하나였다. 8세기에 쿠무흐의 샴할이 라크인의 통치자로 처음 언급되었다. 13세기에 쿠무흐의 샴할들은 이슬람교를 받아들였고 라크인은 이슬람 국가가 되었다. 15세기에 쿠무흐는 다게스탄의 주요 이슬람 및 정치 중심지가 되었다. 쿠무흐 칸국 시대에는 페르시아, 러시아, 터키의 식민 정책에 반대했다.
4. 사회
라크인은 락어를 사용하며, 역사적으로 다게스탄의 락스키 구역(Laksky District)과 쿨린스키 구역(Kulinsky District)에 거주한다. 인구는 약 20만 명이다.
전통적으로 라크인은 대부분의 다게스탄 고지대 사람들처럼, 공동 조상을 가진 대규모의 확대 가족으로 구성된 가부장적인 씨족 단위(투쿰)에서 생활했다. 모든 구성원은 동일한 부칭을 가지고 있었고 모든 재산은 씨족이 공동으로 소유했으며, 의사 결정은 연장자나 연장자 남성들이 했다. 씨족 구성원들은 노동과 가족 문제에서 상호 지원을 제공하고, 관습법에 의해 규정된 대로 복수에 대한 집단적 책임을 졌다.[1]
전통적으로 결혼은 부부의 가족에 의해 주선되었으며, 연장자인 여성이 의사 결정에 가장 중요했다. 신부와 신랑은 같은 씨족 출신일 가능성이 컸다. 칼림(신부 지참금)을 지불하는 관습은 제한적인 수준에서 지속되고 있지만, 그 거래는 금전적인 것보다 상징적인 의미가 더 크다.[1]
라크인은 다게스탄 민족 중 최초로 봉건 제도를 확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의 봉건 사회는 칸, 칸의 가족과 귀족인 바갈(벡)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봉건 제도는 투쿰으로 구성된 자유 사회 시스템과 공존했다. 자유 사회는 유동적인 구조로 군사적, 경제적 협정을 맺었으며, 민주적이고 자발적인 기반으로 운영되었다. 자유 사회 내 집단 간의 관계를 규율하는 법은 아다트(관습법)로 제정되었다.[1]
4. 1. 종교
대부분의 라크인은 수니파 이슬람교(샤피 학파)를 믿는다.[10] 수니파 이슬람교는 집단 연대를 장려하며, 구성원들은 서로의 일자리와 주거를 찾도록 돕고, 결혼을 주선하며, 칼림(결혼 지참금)을 지불하고, 장례 협회를 유지하며, 분쟁을 해결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한다. 라크인 최초의 모스크는 777-778년에 쿠무흐에 세워졌다.[11] 역사가 A. V. 코마로프(1869)는 "라크인, 특히 그들의 주요 마을인 굼크의 주민들은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최초의 다게스탄 부족 중 하나였다... 아부 무셀림은 직접 굼크로 가서 777년에 모스크를 지었으며, 모스크의 비문에도 그렇게 기록되어 있다"고 적었다.[3] 알 마수디에 따르면, 8세기 쿠무흐의 주민들은 기독교인이었다고 한다.[12] 쿠무흐의 샴칼들은 13세기 말에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14세기에 쿠무흐는 가지 중심지가 되었고, 가지-쿠무흐로 불렸다. 15세기에 샴칼들은 다게스탄에서 이슬람교를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3]4. 2. 인류학
가즈예프 A.G. 교수에 따르면, 라크인은 북캅카스 인종에 속한다.[14] 1961년 연구에 따르면 다게스탄의 코카서스 인종(북캅카스 인종) 집단은 서부 변종에 속하며, 안도-춘티인, 아바르인, 라크인, 다르긴인의 대부분이 이에 해당한다.[14] 색소 침착 특성상 루툴인도 이들과 가깝다.[14]라크인은 락어를 사용하며, 역사적으로 다게스탄의 락스키 구역(Laksky District)과 쿨린스키 구역(Kulinsky District)에 거주한다. 인구는 약 20만 명이다.
4. 3. 경제
라크족 지역은 전통적으로 산악 지형에 건조한 기후였기 때문에 농업은 부차적인 역할에 머물렀다. 산악 지역에서는 양과 염소 사육이 주를 이루었고, 말, 소, 노새도 일부 길렀다. 라크족의 식단은 육류와 유제품이 중심이었지만, 보리, 완두, 밀, 감자도 재배했다. 축산업은 주로 남성이, 농업은 주로 여성이 담당했다. 라크 지역은 숲이 부족하여 건축 및 연료용 목재가 만성적으로 부족했다. 밀, 과일, 채소는 다게스탄 북부의 새로운 라크 지역과 같은 저지대에서 주로 재배되었다.이동 방목은 라크족 남성들이 가축을 이끌고 저지대로 이동하여 몇 달 동안 방목하는 방식이었다. 이 과정에서 라크족 남성들은 다양한 다게스탄 사람들과 교류했으며, 쿠미크족의 땅에서 다른 다게스탄 산악인들과 함께 양을 방목하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라크 남성들은 여러 언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
많은 라크 마을들은 수공예와 공예에 특화되어 있었다. 각 마을별 특화 산업은 다음과 같다.
마을 | 특화 산업 |
---|---|
쿠무흐 | 보석 세공, 구리 세공 |
카야 | 상업, 시장 |
운추카틀 | 안장 및 마구 제조 |
우브라 | 석공, 양철공 |
쿠마 | 사탕 제조 |
쇼브크라 | 신발 및 부츠 제조 |
초브크라 | 곡예 |
발카르 | 도자기 및 물병 제조 |
라크 여성들은 양탄자 짜기, 방적, 섬유 및 도자기 제작과 같은 가내 수공업에 종사했고, 남성들은 가죽 가공과 도구 제작을 담당했다.
이러한 전통은 소련 시대에도 상당 부분 유지되었는데, 이는 라크 지역의 고립성과 자원 부족으로 인해 개발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섬유 및 의류, 가죽 가공 및 신발 제작, 육류, 치즈, 버터 생산은 여전히 이 지역의 주요 산업이다. 많은 라크족은 다게스탄의 다른 지역(특히 도시)과 주변 지역으로 (영구적으로 또는 계절적으로) 이주하여 일자리를 찾고 있다.
현대에는 전통적인 이동 방목 방식이 변화하여, 라크 남성들은 가축을 트럭으로 저지대의 겨울 방목지로 옮기고 봄에 다시 데려온다. 과거에는 대가족이 농지, 목초지, 가축을 공동 소유하는 형태였고 개인 소유에 대한 인식이 약했지만, 소련의 집단화 정책에는 저항했다.[1]
4. 4. 친족
전통적으로 락인은 대부분의 다게스탄 고지대 사람들처럼, 최근에 사망했거나 생존해 있는 공동 조상을 가진 대규모의 확대 가족으로 구성된 가부장적인 씨족 단위(투쿰)에서 생활했다. 모든 구성원은 동일한 부칭을 가지고 있었고 모든 재산은 씨족이 공동으로 소유했으며, 의사 결정은 연장자인 가장 또는 연장자 남성들의 책임이었다. 씨족 구성원들은 노동과 가족 문제에서 상호 지원을 제공하고, 관습법에 의해 규정된 대로 복수(vendetta)에 대한 집단적 책임을 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투쿰 내의 가까운 가족 구성원을 지칭하는 용어는 kk'ul이며, 그들은 서로를 usursu(형제자매)라고 불렀다. 투쿰의 중요성은 오늘날 현대화와 지속적인 이주로 인해 약화되고 있다.[1]4. 5. 결혼
전통적으로 결혼은 부부의 가족에 의해 주선되었으며, 연장자인 여성이 의사 결정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다. 신부와 신랑은 같은 씨족 출신일 가능성이 컸다. 칼림(신부 지참금)을 지불하는 관습은 제한적인 수준에서 지속되고 있지만, 그 거래는 금전적인 것보다 상징적인 의미가 더 크다.4. 6. 봉건 제도
락족은 다게스탄 민족 중 최초로 봉건 제도를 확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의 봉건 사회는 칸, 칸의 가족과 귀족인 바갈(벡), 벡과 하위 신분 여성 사이의 결혼으로 태어난 찬크리, 자유 농민인 우즈덴탈(우즈덴, 모든 계급 중 수적으로 가장 많음), 농노인 라야트, 노예인 라가르트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봉건 제도는 보다 민주적인 투쿰으로 구성된 자유 사회 시스템과 공존했다. 이러한 자유 사회는 유동적인 구조로 군사적, 경제적 협정을 맺었으며, 민주적이고 자발적인 기반으로 운영되었다. 이러한 자유 사회 내 집단 간의 관계를 규율하는 법은 아다트(관습법)로 제정되었다.4. 7. 언어
모든 라크인의 모국어는 락어이다. 락어는 북동부 캅카스어족에 속하며, 이 어족 내에서 락어의 위치는 논란이 많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초기부터 분리되어 발전했거나, 가까운 친척 언어가 모두 사멸된 고립어인 것으로 여겨진다.처음에는 락어의 어휘가 다르긴어와 유사하여 이 두 언어를 다게스탄어의 락-다르긴 하위 그룹으로 묶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언어학자들은 이러한 연관성이 충분하지 않다고 결론 내렸다.[8]
락어는 락스키 구역(Laksky District)과 쿨린스키 구역(Kulinsky District)에서 사용되며, 사용 인구는 약 20만 명이다.
5. 유전학
2023년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라크인에게서 다음과 같은 하플로그룹이 우세하게 나타난다.[15]
- J1 (73%)
- R1b (10%)
- G2 (4%)
6. 저명한 라크인
- 이슬람 마카체프, 종합격투기 선수, 현 UFC 라이트급 챔피언이다.
- 오마리 아흐메도프, 프로 종합격투기 선수로, 전 UFC 및 PFL 선수였다.
- 시르바니 무라도프, 올림픽 레슬링 선수로, 2008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다.
- 무사 마나로프, 전 소련 우주 비행사이다.
참조
[1]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огласно переписи населения 2021 года
https://rosstat.gov.[...]
2023-01-05
[2]
서적
Этнография Кавказа. Языкознание. 4. Лакский язык. Тифлис
1890
[3]
서적
Казикумухские и Кюринские ханы. Тифлис
1869
[4]
서적
Н. Ф. Дубровин. История войны и владычество русских на Кавказе. Очерк Кавказа и народов его населяющих: Кавказ. СПб, том 1, книга 1
1871
[5]
서적
[6]
서적
Приложение к «Памятная книжка Дагестансокй области. Издана по распоряжению г. военного губернатора Дагестанской области. Составил Е. И. Козубский. С тремя портретами и схематическою картою. Темир-Хан-Шура. "Русская типография" В. М. Сорокина
1895
[7]
서적
Эпиграфические памятники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на арабском, персидском и турецком языках. Надписи X — XVII вв. Тексты, переводы, комментарий, вступительная статья и приложения Л. И. Лаврова. — М.: Наука, 1966. — Т. 2, часть 1. — С. 179
[8]
서적
Вавилонская башня: слово, текст, культура: ежегодные международные чтение памяти Н.С. Трубетского: "Еваразия на перекрестке языков и культур". МГЛУ
https://books.google[...]
Московский гос. лингвист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2002
[9]
서적
Какого мы роду-племени? Народы России, имена и судьбы. Словарь-справочник.
https://books.google[...]
Академия
2000
[10]
서적
РАЗДЕЛ II. РОССИЙСКИЙ ОПЫТ. СОВРЕМЕННЫЕ РЕАЛИИ
2012
[11]
서적
Этнография Кавказа. Ленинград
1982
[12]
서적
История Дагестана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ён до конца XV в.
Институт истории, археологии и этнографии Дагестанского научного центра РАН. Махачкала: ДНЦ РАН
1996
[13]
서적
Народы Кавказа.
Институт этнографии имени Н. Н. Миклухо-Маклая. — Изд-во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ССР
1960
[14]
서적
Происхождение народов Дагестана по данным антропологии. Махачкала
1965
[15]
간행물
Origins of East Caucasus Gene Pool: Contributions of Autochthonous Bronze Age Populations and Migrations from West Asia Estimated from Y-Chromosome Data
2023-09-09
[16]
웹사이트
Russian Census 2010: Population by ethnicity
http://www.perepis-2[...]
2012-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