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크어는 다게스탄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북동 코카서스어의 일종으로, 1864년 언어학자 페테르 폰 우슬라르에 의해 연구되기 시작했다. 라크어는 아랍 문자, 라틴 문자를 거쳐 1938년부터 키릴 문자로 표기되며, 현재 러시아어와 함께 다게스탄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쿠무흐 방언을 표준으로 하며, 쿠무흐, 비츠히 등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 라크어는 초등학교에서 교육 도구로 사용되며, 중등학교, 직업학교 및 대학교에서 과목으로 가르치고 있으며, 라크어 신문과 방송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동캅카스어족 - 인구시어
잉구시어는 북동카프카스어족 나흐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잉구셰티야 공화국에서 주로 사용되며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이고, 복잡한 음운 및 문법 구조, 20진법 수 체계, 동사-두 번째 어순(V2)이 특징적이다. - 북동캅카스어족 - 레즈기어
레즈기어는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남부와 아제르바이잔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레즈기어파에 속하며 54개의 자음과 18개의 격을 갖는 특징을 보인다. - 다게스탄 공화국 - 쿠미크인
쿠미크인은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등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북카프카스 지역 최대 튀르크계 민족이며, 킵차크어족에 속하는 쿠미크어를 사용하고, 19세기부터 러시아의 재정착 정책과 1944년 강제 이주 등 민족 말살 정책의 피해를 입었다. - 다게스탄 공화국 - 레즈기어
레즈기어는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남부와 아제르바이잔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레즈기어파에 속하며 54개의 자음과 18개의 격을 갖는 특징을 보인다. - 러시아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러시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라크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라크어 |
로마자 표기 | Lakku maz |
사용 지역 | 북캅카스 |
주요 사용 지역 | 산악 다게스탄 |
사용자 | 라크인 |
사용자 수 | 152,050명 (2010년 인구 조사) |
소멸 위기 등급 | 취약 |
공용어 지정 국가 | |
문자 | |
문자 체계 | 키릴 문자 (라크어 키릴 문자) 라틴 문자 (과거) 아랍 문자 (과거) |
언어 분류 | |
어족 | 북동캅카스어족 |
언어 코드 | |
ISO 639-3 | lbe |
Glottolog | lakk1252 |
Glottolog 이름 | 라크어 |
2. 역사
1864년 러시아 민족지학자이자 언어학자인 P. K. 우슬라르는 "카지쿠무흐 문법... 라크어가 완성되었다"라고 썼다.[1] 1890년에는 ''라크어''라는 제목의 라크어 문법 교과서를 편찬했다.[1]
라크어는 수 세기 동안 아랍어, 튀르키예어, 페르시아어, 러시아어에서 많은 차용어를 채택했다.[2] 다게스탄이 소련의 일부였고, 나중에는 러시아가 되면서, 특히 정치 및 기술 관련 어휘가 러시아어에서 많이 유입되었다.[3] 라크어 신문과 방송국이 있다.[3]
1994년 다게스탄 공화국 헌법에 따라 라크어는 러시아어 및 다게스탄에서 사용되는 다른 주요 언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라크어는 초등학교에서 교육 도구로 사용되며 중등학교, 직업학교 및 대학교에서 과목으로 가르친다. 라크어 신문인 "일치"가 있다.
표준 라크어는 쿠무흐시의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라크어에는 쿠무흐, 비츠히, 아라쿨, 발카르, 샤드니, 샬리브, 비클리, 쿨리, 카야의 방언이 있다.
초기에는 라크어의 어휘가 다르기어와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 두 언어는 종종 다게스탄어의 라크-다르기어 하위 그룹으로 결합되었다. 그러나, 추가 연구를 통해 언어학자들은 이러한 연관성이 불충분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2. 1. 초기 역사
1864년 러시아 민족지학자이자 언어학자인 P. K. 우슬라르는 "카지쿠무흐 문법... 라크어가 완성되었다"라고 썼다.[1] 1890년에는 ''라크어''라는 제목의 라크어 문법 교과서를 편찬했다.[1]라크어는 수 세기 동안 아랍어, 튀르키예어, 페르시아어, 러시아어에서 많은 차용어를 채택했다.[2] 다게스탄이 소련의 일부였고, 나중에는 러시아가 되면서, 특히 정치 및 기술 관련 어휘가 러시아어에서 많이 유입되었다.[3]
2. 2. 문자 체계의 변화
1928년까지는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다. 1938년까지는 라틴 문자였다가 1938년부터는 키릴 문자로 표기하게 되었다.1928년까지 라크어는 페르시아어, 튀르키예어 등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아 아랍 문자를 차용하여 표기했다.
1928년부터 1938년까지 10년 동안 소련의 소수 민족 언어 정책에 따라 라틴 문자를 도입하여 라크어를 표기했다.
1938년부터 키릴 문자로 표기하게 되었다. 소련의 문자 정책 변화에 따라 키릴 문자를 도입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키릴 문자의 라크어 알파벳은 처음에는 48개의 문자로 구성되었고, 나중에는 "тт", "пп", "чч", "хьхь" 등과 같이 이중 문자를 포함하여 54개의 문자로 구성되었다.
А а | Аь аь | Б б | В в | Г г | Гъ гъ | Гь гь | Д д |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Къ къ |
Кь кь | КӀ кӀ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Оь оь | П п |
ПӀ пӀ | Р р | С с | Т т | ТӀ тӀ | У у | Ф ф | Х х |
Хъ хъ | Хь хь | ХӀ хӀ | Ц ц | ЦӀ цӀ | Ч ч | ЧӀ чӀ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Ӏ |
2. 2. 1. 아랍 문자 시기 ( ~ 1928년)
1928년까지 라크어는 페르시아어, 튀르키예어 등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아 아랍 문자를 차용하여 표기했다.2. 2. 2. 라틴 문자 시기 (1928년 ~ 1938년)
1928년부터 1938년까지 10년 동안 소련의 소수 민족 언어 정책에 따라 라틴 문자를 도입하여 라크어를 표기했다.2. 2. 3. 키릴 문자 시기 (1938년 ~ 현재)
1938년부터 키릴 문자로 표기하게 되었다. 소련의 문자 정책 변화에 따라 키릴 문자를 도입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키릴 문자의 라크어 알파벳은 처음에는 48개의 문자로 구성되었고, 나중에는 "тт", "пп", "чч", "хьхь" 등과 같이 이중 문자를 포함하여 54개의 문자로 구성되었다.А а | Аь аь | Б б | В в | Г г | Гъ гъ | Гь гь | Д д |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Къ къ |
Кь кь | КӀ кӀ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Оь оь | П п |
ПӀ пӀ | Р р | С с | Т т | ТӀ тӀ | У у | Ф ф | Х х |
Хъ хъ | Хь хь | ХӀ хӀ | Ц ц | ЦӀ цӀ | Ч ч | ЧӀ чӀ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Ӏ |
wikitext
3. 문자
1928년까지는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다. 1938년까지는 라틴 문자였다가 1938년부터는 키릴 문자로 표기하게 되었다.
키릴 문자의 라크어 알파벳은 처음에는 48개의 문자로 구성되었고, 나중에는 "тт", "пп", "чч", "хьхь" 등과 같이 이중 문자를 포함하여 54개의 문자로 구성되었다.А а Аь аь Б б В в Г г Гъ гъ Гь гь Д д Е е Ё ё Ж ж З з И и Й й К к Къ къ Кь кь КӀ кӀ Л л М м Н н О о Оь Оь П п ПӀ пӀ Р р С с Т т ТӀ тӀ У у Ф ф Х х Хъ хъ Хь хь ХӀ хӀ Ц ц ЦӀ цӀ Ч ч ЧӀ чӀ Ш ш Щ щ Ъ ъ Ы ы Ь ь Э э Ю ю Я я Ӏ
3. 1. 키릴 문자
라크어는 1928년까지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다. 이후 1938년까지 10년 동안 라틴 문자를 사용했고, 1938년부터 키릴 문자를 사용해 표기하고 있다.
현재 라크어 표기에 사용되는 키릴 문자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А а | Аь аь | Б б | В в | Г г | Гъ гъ | Гь гь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Къ къ |
Кь кь | КӀ кӀ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Оь оь | П п |
ПӀ пӀ | Р р | С с | Т т | ТӀ тӀ | У у | Ф ф | Х х |
Хъ хъ | Хь хь | ХӀ хӀ | Ц ц | ЦӀ цӀ | Ч ч | ЧӀ чӀ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Ӏ |
3. 2. 문자 비교표
알파벳(193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