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크어는 다게스탄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북동 코카서스어의 일종으로, 1864년 언어학자 페테르 폰 우슬라르에 의해 연구되기 시작했다. 라크어는 아랍 문자, 라틴 문자를 거쳐 1938년부터 키릴 문자로 표기되며, 현재 러시아어와 함께 다게스탄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쿠무흐 방언을 표준으로 하며, 쿠무흐, 비츠히 등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 라크어는 초등학교에서 교육 도구로 사용되며, 중등학교, 직업학교 및 대학교에서 과목으로 가르치고 있으며, 라크어 신문과 방송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동캅카스어족 - 인구시어
    잉구시어는 북동카프카스어족 나흐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잉구셰티야 공화국에서 주로 사용되며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이고, 복잡한 음운 및 문법 구조, 20진법 수 체계, 동사-두 번째 어순(V2)이 특징적이다.
  • 북동캅카스어족 - 레즈기어
    레즈기어는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남부와 아제르바이잔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레즈기어파에 속하며 54개의 자음과 18개의 격을 갖는 특징을 보인다.
  • 다게스탄 공화국 - 쿠미크인
    쿠미크인은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등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북카프카스 지역 최대 튀르크계 민족이며, 킵차크어족에 속하는 쿠미크어를 사용하고, 19세기부터 러시아의 재정착 정책과 1944년 강제 이주 등 민족 말살 정책의 피해를 입었다.
  • 다게스탄 공화국 - 레즈기어
    레즈기어는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남부와 아제르바이잔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레즈기어파에 속하며 54개의 자음과 18개의 격을 갖는 특징을 보인다.
  • 러시아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러시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라크어
개요
언어 이름라크어
로마자 표기Lakku maz
사용 지역북캅카스
주요 사용 지역산악 다게스탄
사용자라크인
사용자 수152,050명 (2010년 인구 조사)
소멸 위기 등급취약
공용어 지정 국가
문자
문자 체계키릴 문자 (라크어 키릴 문자)
라틴 문자 (과거)
아랍 문자 (과거)
언어 분류
어족북동캅카스어족
언어 코드
ISO 639-3lbe
Glottologlakk1252
Glottolog 이름라크어

2. 역사

1864년 러시아 민족지학자이자 언어학자인 P. K. 우슬라르는 "카지쿠무흐 문법... 라크어가 완성되었다"라고 썼다.[1] 1890년에는 ''라크어''라는 제목의 라크어 문법 교과서를 편찬했다.[1]

1890년 P. K. 우슬라르가 편찬한 라크어 문법 교과서 "Лакскiй языкъ" 또는 ''라크어'' 표지


"Лакс카야 아즈부카" 또는 ''라크어 알파벳''. 많은 사람들이 이 언어를 페테르 우슬라르의 라크어 문법에서 따와 "박 탁"이라고 불렀다.


라크어는 수 세기 동안 아랍어, 튀르키예어, 페르시아어, 러시아어에서 많은 차용어를 채택했다.[2] 다게스탄이 소련의 일부였고, 나중에는 러시아가 되면서, 특히 정치 및 기술 관련 어휘가 러시아어에서 많이 유입되었다.[3] 라크어 신문과 방송국이 있다.[3]

1994년 다게스탄 공화국 헌법에 따라 라크어는 러시아어 및 다게스탄에서 사용되는 다른 주요 언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라크어는 초등학교에서 교육 도구로 사용되며 중등학교, 직업학교 및 대학교에서 과목으로 가르친다. 라크어 신문인 "일치"가 있다.

표준 라크어는 쿠무흐시의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라크어에는 쿠무흐, 비츠히, 아라쿨, 발카르, 샤드니, 샬리브, 비클리, 쿨리, 카야의 방언이 있다.

초기에는 라크어의 어휘가 다르기어와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 두 언어는 종종 다게스탄어의 라크-다르기어 하위 그룹으로 결합되었다. 그러나, 추가 연구를 통해 언어학자들은 이러한 연관성이 불충분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2019년 라크어로 된 루카 복음서와 사도행전

2. 1. 초기 역사

1864년 러시아 민족지학자이자 언어학자인 P. K. 우슬라르는 "카지쿠무흐 문법... 라크어가 완성되었다"라고 썼다.[1] 1890년에는 ''라크어''라는 제목의 라크어 문법 교과서를 편찬했다.[1]

라크어는 수 세기 동안 아랍어, 튀르키예어, 페르시아어, 러시아어에서 많은 차용어를 채택했다.[2] 다게스탄이 소련의 일부였고, 나중에는 러시아가 되면서, 특히 정치 및 기술 관련 어휘가 러시아어에서 많이 유입되었다.[3]

2. 2. 문자 체계의 변화

1928년까지는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다. 1938년까지는 라틴 문자였다가 1938년부터는 키릴 문자로 표기하게 되었다.

1928년까지 라크어는 페르시아어, 튀르키예어 등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아 아랍 문자를 차용하여 표기했다.

1928년부터 1938년까지 10년 동안 소련의 소수 민족 언어 정책에 따라 라틴 문자를 도입하여 라크어를 표기했다.

1938년부터 키릴 문자로 표기하게 되었다. 소련의 문자 정책 변화에 따라 키릴 문자를 도입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키릴 문자의 라크어 알파벳은 처음에는 48개의 문자로 구성되었고, 나중에는 "тт", "пп", "чч", "хьхь" 등과 같이 이중 문자를 포함하여 54개의 문자로 구성되었다.

А аАь аьБ бВ вГ гГъ гъГь гьД д
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Къ къ
Кь кьКӀ кӀЛ лМ мН нО оОь оьП п
ПӀ пӀР рС сТ тТӀ тӀУ уФ фХ х
Хъ хъХь хьХӀ хӀЦ цЦӀ цӀЧ чЧӀ чӀШ ш
Щ щЪ ъЫ ыЬ ьЭ эЮ юЯ яӀ


2. 2. 1. 아랍 문자 시기 ( ~ 1928년)

1928년까지 라크어는 페르시아어, 튀르키예어 등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아 아랍 문자를 차용하여 표기했다.

2. 2. 2. 라틴 문자 시기 (1928년 ~ 1938년)

1928년부터 1938년까지 10년 동안 소련의 소수 민족 언어 정책에 따라 라틴 문자를 도입하여 라크어를 표기했다.

2. 2. 3. 키릴 문자 시기 (1938년 ~ 현재)

1938년부터 키릴 문자로 표기하게 되었다. 소련의 문자 정책 변화에 따라 키릴 문자를 도입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키릴 문자의 라크어 알파벳은 처음에는 48개의 문자로 구성되었고, 나중에는 "тт", "пп", "чч", "хьхь" 등과 같이 이중 문자를 포함하여 54개의 문자로 구성되었다.

А аАь аьБ бВ вГ гГъ гъГь гьД д
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Къ къ
Кь кьКӀ кӀЛ лМ мН нО оОь оьП п
ПӀ пӀР рС сТ тТӀ тӀУ уФ фХ х
Хъ хъХь хьХӀ хӀЦ цЦӀ цӀЧ чЧӀ чӀШ ш
Щ щЪ ъЫ ыЬ ьЭ эЮ юЯ яӀ


3. 문자

wikitext

1928년까지는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다. 1938년까지는 라틴 문자였다가 1938년부터는 키릴 문자로 표기하게 되었다.

키릴 문자의 라크어 알파벳은 처음에는 48개의 문자로 구성되었고, 나중에는 "тт", "пп", "чч", "хьхь" 등과 같이 이중 문자를 포함하여 54개의 문자로 구성되었다.

А аАь аьБ бВ вГ гГъ гъГь гьД д
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Къ къ
Кь кьКӀ кӀЛ лМ мН нО оОь ОьП п
ПӀ пӀР рС сТ тТӀ тӀУ уФ фХ х
Хъ хъХь хьХӀ хӀЦ цЦӀ цӀЧ чЧӀ чӀШ ш
Щ щЪ ъЫ ыЬ ьЭ эЮ юЯ яӀ


3. 1. 키릴 문자

라크어는 1928년까지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다. 이후 1938년까지 10년 동안 라틴 문자를 사용했고, 1938년부터 키릴 문자를 사용해 표기하고 있다.

현재 라크어 표기에 사용되는 키릴 문자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А аАь аьБ бВ вГ гГъ гъГь гьД д
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Къ къ
Кь кьКӀ кӀЛ лМ мН нО оОь оьП п
ПӀ пӀР рС сТ тТӀ тӀУ уФ фХ х
Хъ хъХь хьХӀ хӀЦ цЦӀ цӀЧ чЧӀ чӀШ ш
Щ щЪ ъЫ ыЬ ьЭ эЮ юЯ яӀ


3. 2. 문자 비교표

알파벳라틴 문자
(1930년대)페르소아랍IPA[12]А аlbe-Cyrlitalic=no/A albe-Latna/آ}}, Аь аьlbe-Cyrlitalic=no/Ә әlbe-Latnæ/أ}}Б бlbe-Cyrlitalic=no/B blbe-Latnb/ب}}Г гlbe-Cyrlitalic=no/G glbe-Latng/گ}}Ё ёlbe-Cyrlitalic=no/Jo jolbe-Latn-Ж жlbe-Cyrlitalic=no/Ƶ ƶlbe-Latnʒ/ژ، ج}}Й йlbe-Cyrlitalic=no/J jlbe-Latnj/ی}}П пlbe-Cyrlitalic=no/P plbe-Latnp/پ}}Ф фlbe-Cyrlitalic=no/F flbe-Latn[13]f/ف}}Я яlbe-Cyrlitalic=no/Ja ja, Ә әlbe-Latn[ja]/أ}}-italic=no/ⱨlbe-Latn[13]-italic=no/Ꞓ ꞓlbe-Latn[13]

[9][10][11]

4. 음운론

4. 1. 자음

라크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4][5]

colspan="2" rowspan="2"|순음치음후치경음연구개음구개수음인두음성문음
평음순음화평음순음화평음순음화
비음
파열음 유성음
무성음 약음
무성 강음
방출음
파찰음 무성음 약음
무성 강음
방출음
마찰음 무성음 약음
무성 강음
유성음 ~ ~
전동음
접근음



일부 방언에는 /t͡p, d͡b, t͡p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6]

4. 2. 모음

라크어의 모음은 /i, e, a, o, u/ 다섯 개로 구성된다.[7] 이 중 /i, a, u/는 인두화되어 /iˤ, aˤ, uˤ/로 나타나기도 하며, 각각 [e, æ, œ]로 소리나기도 한다.[7]

5. 문법

라크어는 인칭에 대한 동사 일치가 나타나는 몇 안 되는 북동코카서스어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화자와 비화자를 구분하여, 1인칭 및 2인칭 일치 표지는 동일하다.[8]

단수복수
1, 2-ra-ru
3-r / -ri / -∅



라크어의 자유 대명사는 1인칭과 2인칭을 구분한다.[5]

단수복수
절대격사격
1natːu-žu(-)
2inawi-zu(-)



라크어의 자유 대명사는 1인칭과 2인칭을 구분한다.[5]

단수복수
절대격사격
1natːu-žu(-)
2inawi-zu(-)



라크어는 인칭에 대한 동사 일치가 있는 몇 안 되는 북동 코카서스어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화자와 비화자를 구분한다. 즉, 1인칭 및 2인칭 일치 표지는 동일하다.[8]

단수복수
1,2-ra-ru
3-r / -ri / -∅


5. 1. 동사 일치

라크어는 인칭에 대한 동사 일치가 나타나는 몇 안 되는 북동코카서스어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화자와 비화자를 구분하여, 1인칭 및 2인칭 일치 표지는 동일하다.[8]

단수복수
1, 2-ra-ru
3-r / -ri / -∅



라크어의 자유 대명사는 1인칭과 2인칭을 구분한다.[5]

단수복수
절대격사격
1natːu-žu(-)
2inawi-zu(-)


5. 2. 대명사

라크어의 자유 대명사는 1인칭과 2인칭을 구분한다.[5]

단수복수
절대격사격
1natːu-žu(-)
2inawi-zu(-)



락어는 인칭에 대한 동사 일치가 있는 몇 안 되는 북동 코카서스어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화자와 비화자를 구분한다. 즉, 1인칭 및 2인칭 일치 표지는 동일하다.[8]

단수복수
1,2-ra-ru
3-r / -ri / -∅


6. 현대의 사용

6. 1. 교육

6. 2. 미디어

7. 방언

참조

[1] 서적 Этнография Кавказа [Ethnography of the Caucasus]. Языкознание [Linguistics]. 4. Лакский язык [The Lak language] Tbilisi 1890
[2] 서적 Словарь арабских и персидских лексических заимствований в лакском языке [Dictionary of Arabic and Persian lexical borrowings in Lak language] Makhachkala 2002
[3] 웹사이트 Илчи – Lak newspaper http://ilchi.etnosmi[...]
[4] 웹사이트 Consonant Systems of the North-East Caucasian Languages on TITUS DIDACTICA http://titus.fkidg1.[...]
[5] 웹사이트 The Lak Language – A quick reference, by Wolfgang Schulze (2007) https://web.archive.[...]
[6] 논문 Mountain of Tongues: The Languages of the Caucasus 1977
[7] 서적 Lak phonology University of Chicago
[8] 문서 The Syntax of Personal Agreement in East Caucasian Languages 1996
[9] 웹사이트 Новый алфавит для народностей Дагестана https://viewer.rusne[...]
[10] 웹사이트 Lakh romanization http://www.eki.ee/kn[...] Institute of the Estonian Language 2016-02-13
[11] 문서 'Revised Proposal to encode Arabic characters used for Bashkir, Belarusian, Crimean Tatar, and Tatar languages' https://unicode.org/[...] 2011-05-20
[12] 문서 The Lak Language — Лакку маз. A Quick Reference IATS, LMU Munich 2007
[13] 문서 Removed in 1932
[14]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Lak http://www.ethnolog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