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나토 체사리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나토 체사리니는 이탈리아 출신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유벤투스에서 세리에 A 5회 우승을, 리버 플레이트에서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2회 우승을 달성했다.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중부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과 준우승을 경험했으며, 1936년에는 코파 알다오에서 우승했다. 은퇴 후에는 감독으로 활동하며, 보카 주니어스와 리버 플레이트를 비롯한 여러 팀을 지도했으며, 유벤투스, 멕시코의 푸마스 UNAM, 아르헨티나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다. 그는 경기 막판 결승골을 자주 기록하여 이탈리아 축구에서 경기 막판 골을 의미하는 '체사리니 구역'이라는 용어의 유래가 되었으며, 그의 이름을 딴 축구 클럽과 훈련 아카데미가 아르헨티나에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르케주 출신 축구 선수 - 자코모 보나벤투라
자코모 보나벤투라는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로, 아탈란타 BC에서 프로 데뷔 후 US 페르고크레마, 칼초 파도바 임대, AC 밀란, ACF 피오렌티나를 거쳐 현재 알 샤밥에서 미드필더로 뛰고 있으며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한 다재다능한 선수이다. - 마르케주 출신 축구 선수 - 레나토 차카렐리
레나토 차카렐리는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미드필더와 수비수로 활약하며 1978년 FIFA 월드컵과 UEFA 유로 1980에 이탈리아 국가대표로 참가했고, 토리노 FC의 세리에 A 우승에 기여했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클럽의 단장과 감독, 그리고 이탈리아 U-21 대표팀 감독과 수석 코치를 역임했다. -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의 축구 감독 - 우고 산체스
우고 산체스는 멕시코 출신의 전설적인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멕시코와 스페인 리그에서 뛰어난 득점력을 보여주며 5회의 피치치상, 레알 마드리드 5년 연속 라리가 우승, 유러피언 골든슈 수상, 3회의 FIFA 월드컵 출전 등 맹활약했으며 FIFA 100, 골든풋 레전드, 마르카 레전드 등에 선정되었다. -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의 축구 감독 - 앙헬 수비에타
앙헬 수비에타는 아틀레틱 빌바오에서 데뷔하여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최연소 출전 기록을 세운 스페인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산 로렌소에서 13년간 활약하며 리그 우승과 코파 리오 데 라 플라타 우승을 이끌었다.
레나토 체사리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Renato Cesarini |
출생일 | 1906년 4월 11일 |
출생지 | 이탈리아 세니갈리아 |
사망일 | 1969년 3월 24일 |
사망지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
포지션 | 미드필더 (은퇴) |
클럽 경력 | |
연도 | 1924–1928 |
클럽 | 차카리타 주니어스 |
출장 (골) | 82 (50) |
연도 | 1928 |
클럽 | 알베아르 |
연도 | 1929 |
클럽 | 클루브 페로카릴 미들란드 |
연도 | 1929 |
클럽 | 차카리타 주니어스 |
출장 (골) | 11 (7) |
연도 | 1929–1935 |
클럽 | 유벤투스 |
출장 (골) | 128 (46) |
연도 | 1936 |
클럽 | 차카리타 주니어스 |
출장 (골) | 8 (3) |
연도 | 1936–1937 |
클럽 | 리버 플레이트 |
출장 (골) | 23 (7) |
국가대표 경력 | |
연도 | 1926 |
국가대표팀 | 아르헨티나 |
출장 (골) | 2 (1) |
연도 | 1931–1934 |
국가대표팀 | 이탈리아 |
출장 (골) | 11 (3) |
감독 경력 | |
연도 | 1939–1944 |
클럽 | 리버 플레이트 |
연도 | 1946–1948 |
클럽 | 유벤투스 |
연도 | 1949 |
클럽 | 반피엘드 |
연도 | 1950 |
클럽 | 보카 주니어스 |
연도 | 1964–1965 |
클럽 | 푸마스 UNAM |
연도 | 1958–1959 |
클럽 | 포르데노네 |
연도 | 1967–1968 |
클럽 | 아르헨티나 |
연도 | 1968 |
클럽 | 우라칸 |
수상 | |
메달 종류 | 팀 |
메달 국가 | 1861년 이탈리아 |
대회 | 중부 유럽 국제컵 |
메달 | 은메달 |
대회 정보 | 1931-32년 중부 유럽 국제컵 |
대회 | 중부 유럽 국제컵 |
메달 | 금메달 |
대회 정보 | 1933-35년 중부 유럽 국제컵 |
2. 선수 경력
체사리니는 유벤투스와 리버 플레이트에서 활약하며 뛰어난 경력을 쌓았다. 유벤투스 소속으로 5회 연속 리그 우승을 달성했고, 리버 플레이트에서는 2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4]
2. 1. 유년 시절과 아르헨티나 무대
체사리니는 마르케 주 세니갈리아 인근 안코나에서 태어났으나, 첫 돌이 지나기 전에 가족과 함께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로 이민을 갔다.유년 시절, 그는 부에노스 아이레스 인근의 여러 구단을 전전했는데, 아르헨티나 축구가 아마추어로 운영되던 시절 차카리타 주니어스에서 주로 활동했다.
1929년, 체사리니는 이탈리아의 거함 유벤투스에 입단하여 1930년 3월 23일에 나폴리와의 경기에서 이탈리아 무대 신고식을 치렀다.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이후, 그는 유벤투스 소속으로 전국 리그 5연패를 달성했다.
1936년, 그는 프로화된 아르헨티나 리그 무대로 복귀해 리버 플레이트 소속으로 리그를 2번 우승했다. 이 막강한 리버 플레이트 선수단에는 훗날 구단의 기둥으로 성장할 아돌포 페데르네라와 호세 마누엘 모레노가 있었다. 당시 선수단은 헝가리 출신 감독 히르칠 에메리코가 지도했는데, 체사리니와 그의 동료 카를로스 페우셀레는 그가 지도하던 1940년대에 중용되었다.[4]
2. 2. 유벤투스에서의 전성기
체사리니는 1929년 이탈리아 거함 유벤투스에 입단하여 1930년 3월 23일에 나폴리와의 경기에서 이탈리아 무대 신고식을 치렀다.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이후, 그는 유벤투스 소속으로 전국 리그 5연패를 달성했다.
2. 3. 리버 플레이트로의 복귀
1936년, 체사리니는 프로화된 아르헨티나 리그로 복귀해 리버 플레이트 소속으로 리그에서 2번 우승했다. 이 막강한 리버 플레이트 선수단에는 아돌포 페데르네라와 호세 마누엘 모레노가 있었는데, 이들은 훗날 구단의 기둥으로 성장했다. 당시 선수단은 헝가리 출신 감독 히르칠 에메리코가 지도했는데, 체사리니와 그의 동료 카를로스 페우셀레는 1940년대에 리버 플레이트를 지도할 때 그의 가르침을 중용했다.3. 감독 경력
체사리니는 현역 은퇴 후 축구 감독으로 변신했다. 보카 주니어스와 리버 플레이트 등 아르헨티나의 여러 구단을 지도했으며, 특히 리버 플레이트에서는 역대 최고로 손꼽히는 선수단을 이끌었다. 이후 이탈리아로 돌아가 유벤투스를 지도했고, 1960년대 중반에는 멕시코로 건너가 푸마스 UNAM의 유소년 클럽을 창단하여 당대 최강의 구단으로 성장시켰다.
3. 1. 아르헨티나에서의 성공
체사리니는 선수 은퇴 후 축구 감독이 되었다. 그는 보카 주니어스와 리버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아르헨티나의 여러 클럽을 지도했다. 리버 플레이트에서 그는 역대 최고의 팀 중 하나를 지도했다.1941년부터 1947년까지, 이 리버 플레이트 팀은 전설적인 지위를 얻었다. 체사리니는 1941년부터 1944년까지 감독을 맡았는데, 당시 축구 수준이 워낙 높아 'La Maquina'(기계)로 알려지게 되었다. 모레노, 페데르네라, 무뇨스, 라브루나, 루스토로 구성된 공격 라인은 오늘날까지 남아메리카에서 최고의 공격진으로 평가받는다. 체사리니는 스포츠와 관련된 모든 문제에 권위를 인정받아 'La Biblia del fútbol'(축구의 성서)로 알려지면서, 리버는 1941년과 1942년에 아르헨티나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1]
3. 2. 유벤투스 감독 시절
체사리니는 이탈리아로 돌아가 유벤투스를 지도하며, 오마르 시보리, 존 찰스, 잠피에로 보니페르티가 포함된 팀을 이끌고 세리에 A에서 성공을 거두었다.3. 3. 멕시코와 아르헨티나 대표팀
체사리니는 1967년부터 1968년까지 아르헨티나 국가대표팀을 지도했다.[1]4. 수상
레나토 체사리니는 선수 시절과 국가대표팀에서 다음과 같은 우승 경력을 가지고 있다.
- '''유벤투스''' 소속으로 세리에 A 5회 우승(1930-31, 1931-32, 1932-33, 1933-34, 1934-35)을 달성했다.
- '''리버 플레이트''' 소속으로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2회 우승(1936, 1937)과 코파 알다오 1회 우승(1936)을 달성했다.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중부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1회 우승(1933-35)과 1회 준우승(1931-32)을 기록했다.
4. 1. 선수
구단 | 대회 | 우승 |
---|---|---|
유벤투스 | 세리에 A | 1930–31, 1931–32, 1932–33, 1933–34, 1934–35 |
코파 알다오 | 1936 | |
리버 플레이트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1936, 1937 |
4. 2. 국가대표팀
대회 | 결과 |
---|---|
1931-32년 중부 유럽 선수권 대회 | 준우승 |
1933-35년 중부 유럽 선수권 대회 | 우승 |
5. 후평
이탈리아어 용어 ''체사리니 구역''(zona Cesarini, 혹은 몬테사크로 구역(zona Montesacro))은 경기 막판에 결승골을 자주 넣었던 레나토 체사리니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931년 12월 13일 토리노의 필라델피아 구장에서 열린 이탈리아와 헝가리의 경기에서 이탈리아가 3-2로 승리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11] 이 표현은 이탈리아 축구에서 경기 막판에 터진 골을 의미하는 용어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5]
1975년 아르헨티나 국가대표팀 전 멤버들은 체사리니의 이름을 딴 축구 클럽(클럽 레나토 체사리니)과 훈련 아카데미를 아르헨티나에 설립했다.[6]
참조
[1]
웹사이트
CESARINI, Renato
http://www.treccani.[...]
Treccani: Enciclopedia dello Sport
2017-03-14
[2]
웹사이트
Forza-Juventus.com
http://www.forza-juv[...]
[3]
웹사이트
ZonaCesarini.info
http://www.zonacesar[...]
[4]
웹사이트
Forza Azzurri
http://www.homestead[...]
[5]
웹사이트
Encyclopaedia Italia: The letter C
http://www.channel4.[...]
[6]
웹사이트
Institucion ::..:: Renato Cesarini ::
http://www.renatoces[...]
[7]
웹인용
CESARINI, Renato
http://www.treccani.[...]
Treccani: Enciclopedia dello Sport
2017-03-14
[8]
웹사이트
Forza-Juventus.com
http://www.forza-juv[...]
[9]
웹사이트
ZonaCesarini.info
http://www.zonacesar[...]
[10]
웹사이트
Forza Azzurri
http://www.homestead[...]
[11]
웹사이트
Encyclopaedia Italia: The letter C
http://www.channel4.[...]
[12]
웹인용
Institucion ::..:: Renato Cesarini ::
http://www.renatoces[...]
2023-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