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누 말호트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누 말호트라는 인도의 천문학자이다. 인도 뉴델리에서 태어나 하이데라바드에서 성장했으며, 인도 공과대학교 델리에서 물리학 석사 학위를, 코넬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박사후 과정을 거쳤으며, 행성과학연구원에서 9년간 재직했다. 명왕성의 궤도 공명에 관한 연구를 완료하고 카이퍼 벨트의 공명 구조를 예측했다. 현재 애리조나 대학교 달·행성 연구소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며, 1997년 해럴드 C. 유레이 상, 2006년 인도 공과대학교 델리 우수 동문상, 2010년 애리조나 대학교 갈릴레오 서클 펠로우, 2015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및 미국 국립 과학원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 공과대학교 델리 동문 - 라구람 라잔
라구람 라잔은 인도 출신의 경제학자이자 전직 은행가로, 시카고 대학교 교수, IMF 수석 이코노미스트, 인도 중앙은행 총재를 역임했으며, 은행, 기업 금융, 국제 금융, 경제 성장 및 개발을 연구하고 2008년 금융 위기를 예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인도 공과대학교 델리 동문 - 비노드 코슬라
인도 출신 기업인이자 벤처 자본가인 비노드 코슬라는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공동 창립 및 클라이너 퍼킨스 코필드 앤 바이어스 제너럴 파트너를 거쳐 현재 코슬라 벤처스를 설립, 대체 에너지, 인공지능, 기후 변화 해결 기술 등 사회적 영향력을 창출할 수 있는 기술에 투자하며 자본주의 기반 사회 문제 해결과 기술 혁신을 강조하고 있다. - 행성과학자 - 클라이드 톰보
클라이드 윌리엄 톰보는 미국의 천문학자로, 1930년 명왕성 발견과 더불어 수많은 변광성, 소행성, 혜성을 발견했으며, 로웰 천문대 근무, 캔자스 대학교 학위 취득, 해군 항해술 교육, 뉴멕시코 주립대학교 교수 재직 등 다방면으로 활동했다. - 행성과학자 - 닐 디그래스 타이슨
닐 디그래스 타이슨은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이자 과학 커뮤니케이터로서 헤이든 천문관 관장, 행성 협회 이사 등을 역임하며 코스모스: 시공간과 우주, 스타 토크 등의 방송과 저술 활동, 명왕성 행성 분류 논쟁 참여 등을 통해 과학 대중화에 기여하고 NASA 공로 훈장을 받았다. - 애리조나 대학교 교수 - 앨런 와이즈먼
앨런 와이즈먼은 미국의 저널리스트이자 작가이며, 《뉴욕 타임스》 등에 기고하고 《세상 없이》 등의 저서를 출판했으며, 애리조나 대학교 명예 교수를 역임했다. - 애리조나 대학교 교수 - 앤드루 카니
앤드루 카니는 통사론, 형태론, 음운론을 연구하며 켈트어파 언어를 주로 연구하는 언어학자이다.
레누 말호트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레누 말호트라 |
원어 이름 | Renu Malhotra |
출생일 | 1961년 |
출생지 | 뉴델리, 인도 |
직업 | 행성 천문학자 |
소속 | 애리조나 대학교 |
웹사이트 | 레누 말호트라 웹사이트 |
학력 | |
학사 | IIT 델리 (MS) |
박사 | 코넬 대학교 (PhD) |
박사 지도교수 | 스탠리 더모트 |
업적 | |
알려진 업적 | 태양계 행성 이동 |
수상 | |
영향 | |
영향 준 인물 | |
소행성 | |
소행성 | (455206) 2001 FE193 |
2. 생애 및 학력
레누 말호트라는 1961년 인도 뉴델리에서 태어났으며, 하이데라바드에서 자랐다. 그녀의 아버지는 인디안 항공의 항공기 기술자였고, 가족은 그녀가 어렸을 때 하이데라바드로 이사했다.[1] 그녀는 인도 공과대학교 델리에 진학하여 1983년 물리학 이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2] 이후 미국 코넬 대학교로 유학하여 미첼 페이겐바움으로부터 비선형 역학을 접하게 되었다.[3] 1988년, 스탠리 더모트 교수의 지도 아래 코넬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 학위 취득 후에는 피터 골드레이치의 도움을 받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3]
코넬 대학교에서 1988년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3] 천왕성의 위성에 관한 그녀의 논문을 읽었던 피터 골드레이치의 도움으로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3] 이후 행성과학연구원에서 9년간 재직하며 명왕성의 궤도 공명에 관한 연구를 완료하고 카이퍼 벨트의 공명 구조를 예측하는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쳤다.[3]
3. 경력
1997년에는 미국 천문학회가 수여하는 해럴드 유리 상을 받았다. 2001년에는 소행성을 발견하기도 했다.소행성 발견일 MPC 링크 (455206) 2001 FE193 2001년 3월 27일 (455206)
현재 애리조나 대학교 달·행성 연구소에서 석학교수(Regents' Professor)로 재직 중이다.[4] 2015년에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및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4. 수상 및 영예
참조
[1]
서적
Beyond Pluto: Exploring the Outer Limits of the Solar Syste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Prof. Renu Malhotra - AAIP - IITD Alumni - IIT Delhi
https://alumni.iitd.[...]
[3]
서적
New Worlds and the Fate of Pluto
Springer Publishing
[4]
서적
The Scientific American Book of the Cosmos
https://archive.org/[...]
Macmillan
2000-11-22
[5]
뉴스
Take charge, Premji tells students
https://web.archive.[...]
2006-08-13
[6]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7
[7]
웹사이트
MPC/MPO/MPS Archive
http://www.minorplan[...]
2016-08-24
[8]
웹사이트
Minor Planet Discoverers (by number)
http://www.minorplan[...]
2016-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