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프러칸 (성전사 단바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프러칸은 애니메이션 《성전사 단바인》에 등장하는 오라 배틀러로, 비란비의 화력을 강화한 발전형이다. 다양한 무장을 탑재했지만, 장갑과 오라 마르스가 간소화되어 파워와 기동성이 떨어지고 밸런스가 좋지 않아 생산량이 비란비보다 적었다. 개발 초기에는 번 바닝스가 탑승했으며, 이후 제릴 쿠치비, 페이 층콴 등 성전사에게 지급되었다. 제릴 쿠치비가 탑승한 레프러칸은 하이퍼화를 일으킨 최초의 기체이기도 하다.

2. 기체 설명

아 나라에서 쇼트 웨폰이 개발한 오라 배틀러. 기존의 오라 배틀러 비란비를 기반으로 화력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둔 발전형 기체이다. 처음에는 개발자 쇼트 웨폰이 자신의 사병 전용으로 운용하기 위해 드레이크에게도 비밀리에 개발했으나, 나중에 군에 정식으로 채용되었다.

레프러칸은 다양한 화기를 내장하여 높은 화력을 추구했지만, 그 대가로 장갑과 오라 마르스(근섬유)가 일부 간소화되어 기체 파워가 다소 떨어지고 종합적인 밸런스가 나빠져 조종이 어려운 기체로 평가받는다. 오라 배틀러 중에서는 최초로 좌우 독립식 오라 컨버터를 채택한 기체이기도 하다.

시제기 단계에서는 번 바닝스가 실용 테스트를 겸해 탑승했으며, 이후 제릴 쿠치비, 페이 층콴과 같은 성전사들에게 지급되었다. 양산되어 일반 병사에게까지 보급되기도 했지만, 높은 비용과 기체의 불안정성 때문에 비란비보다 생산된 수는 적었다.

2. 1. 특징

오라 배틀러 비란비의 화력을 강화할 목적으로 개발된 발전형 기체이다. 아 나라의 쇼트 웨폰이 설계를 담당했으며, 처음에는 자신의 사병 전용으로 운용하기 위해 드레이크 루프트에게도 비밀리에 개발을 진행했으나, 나중에 군에 정식으로 채용되었다. 기체 색상은 붉은 주황색을 띤다.

레프러칸은 내장 화기를 다수 탑재하는 데 중점을 둔 결과, 장갑이나 오라 마르스(근섬유)가 일부 간소화되었다. 이로 인해 기체의 파워가 다소 떨어지고 종합적인 밸런스가 나빠져 조종이 어려운 기체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번 바닝스는 단바인과의 격투전 중 "레프러칸에는 힘이 있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또한, 레프러칸은 오라 배틀러 중 최초로 좌우 독립식 오라 컨버터를 탑재한 기체이기도 하다.

비용 문제와 앞서 언급된 기체의 불안정성 때문에 비란비에 비해 생산된 수는 적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릴 쿠치비처럼 탑승기를 잃은 후에도 계속해서 레프러칸을 고집하는 파일럿도 있었다. 특히 제릴 쿠치비가 탑승한 레프러칸은 작중에서 처음으로 하이퍼화 현상을 일으킨 기체로 기록되었다. 레프러칸의 내장 화기를 충실하게 하는 설계 사상은 이후 라이넥이나 즈와스 같은 신형 오라 배틀러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레프러칸 제원'''
항목내용
전체 높이8.7m (8.8 메트)
본체 중량9.1ton (9.0 루프톤)
순항 속도250km/h (200 릴)
최고 속도360km/h (290 릴)
동력원오라 컨버터
오라 계수1.3
필요 오라력9 오라
한계 오라력16 오라



=== 무장 ===

레프러칸은 드레이크 군의 오라 배틀러가 사용하는 거의 모든 종류의 무기를 내장하고 있어 '전신이 무기 덩어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각 무장의 개별 위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주요 무장은 다음과 같다.


  • '''오라 소드''': 왼팔의 고정식 방패 내부에 1개가 수납된다.
  • '''플레임 밤''': 오른팔에 1문이 장비되어 있다.
  • '''오라 샷''': 왼팔의 고정식 방패에 1문이 내장되어 있다.
  • '''와이어 클로''': 왼팔의 고정식 방패에 사출식 와이어가 달린 클로 2기 (또는 연장 샷 클로 1기)가 내장되어 있다.
  • '''오라 캐넌''': 사타구니 부분에 볼 마운트식 단장 캐넌 1문이 장착되어 있다.
  • '''오라 발칸''': 오라 컨버터 위에 4연장 발칸, 머리 부분에 2문이 탑재되어 있다. 머리의 송곳니 또한 격투전 무기로 사용될 수 있다.
  • '''수류탄''': 양쪽 무릎 장갑 내부에 유선 유도식 수류탄이 각 1개씩 장비되어 있다. 이 수류탄은 폭발 시 발생하는 화구 범위 내의 오라 배틀러를 완전히 파괴할 수 있는 상당한 위력을 지닌다.

2. 2. 무장

레프러칸은 오라 배틀러 비란비의 화력을 강화한 발전형으로 설계되어, 다양한 무기를 탑재하고 있다.[1] 하지만 내장 화기 탑재를 우선한 결과, 장갑이나 오라 마르스(근섬유)가 일부 간소화되어 기동성 등이 희생되었고, 종합적인 밸런스가 좋지 않다는 평가를 받는다.[1] 그럼에도 드레이크 군 진영의 오라 배틀러가 사용하는 거의 모든 종류의 무기를 내장하고 있어, '전신이 무기 덩어리'라고 할 수 있다.

주요 무장은 다음과 같다.[1]

  • '''오른팔''': 플레임 밤 (화염포) 1문
  • '''왼팔''': 고정식 방패. 내부에는 오라 소드 1개, 오라 샷 1문, 와이어 부착 연장 샷 클로 1기를 수납한다. (소스에 따라 '사출식 와이어 달린 클로 2기'라는 설명도 있다.[1])
  • '''사타구니''': 볼 마운트 방식으로 장착된 단장 오라 캐넌 1문
  • '''오라 컨버터''': 연장 오라 발칸 2기 (소스에 따라 '4연장 오라 발칸'이라는 설명도 있다.[1])
  • '''머리''': 오라 발칸 2문 및 격투전 시 무기로 사용할 수 있는 송곳니
  • '''양쪽 무릎''': 장갑 내부에 글리네이드(투척탄) 1개씩 장비. (소스에 따라 '양쪽 발에 유선 유도식 수류탄'이라는 설명도 있다.[1])


탑재된 무기들은 개별 위력은 낮았다고 평가되지만, 글리네이드의 경우 폭발 범위 내의 오라 배틀러를 완전히 파괴할 수 있는 위력을 지녔다. 레프러칸의 내장 화기를 충실하게 한 설계 사상은 이후 신형 오라 배틀러인 라이넥과 즈와스에게 계승되었다.

2. 3. 주요 탑승자

시제기 단계에서는 아 나라 군 공격대장 지위를 잃고 쇼트 웨폰의 사병이 된 번 바닝스가 실용 테스트를 겸해 처음으로 탑승했다. 그는 이 기체로 쇼우 자마의 단바인과 교전했지만 격파하지는 못했다.

이후 레프러칸은 제릴 쿠치비, 페이 층콴과 같은 성전사들에게 지급되었다. 양산되어 일반 병사에게까지 보급되기도 했지만, 이는 비란비의 양산과 거의 같은 시기였다. 레프러칸은 비용이 높고 기체 성능이 불안정했기 때문에 비란비보다 생산된 수는 적었다. 이 때문에 앨런처럼 레프러칸이 보급된 이후에도 계속해서 비란비에 탑승한 성전사도 있었다. 반대로 제릴처럼 탑승기를 잃은 후에도 다시 레프러칸을 요구하여 계속 탑승한 파일럿도 존재했다.

제릴이 탑승한 레프러칸은 작중에서 처음으로 하이퍼화 현상을 일으킨 기체이기도 하다. 지상 세계로 나온 제릴은 자신의 강대한 오라력으로 레프러칸을 거대화시켜 쇼우와 마벨 프로즌을 압도했지만, 폭주한 힘을 제어하지 못하고 자멸에 가까운 형태로 격파되었다.

3. 개발 배경

레프러칸은 아(A)의 나라 소속의 쇼트 웨폰이 개발한 오라 배틀러이다. 기존의 오라 배틀러인 비란비의 화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되었다.[1] 하지만 내장 화기를 늘리는 데 집중한 나머지 장갑과 오라 마르스(근섬유)가 일부 간소화되어 기체의 힘과 기동성이 떨어졌고, 전반적인 성능 균형이 나빠져 조종하기 어려운 기체가 되었다.[1]

원래 레프러칸은 개발자인 쇼트 웨폰이 자신의 사병을 위해 운용할 목적으로, 당시 아(A)의 나라의 실권자였던 드레이크 루프트에게도 알리지 않고 비밀리에 개발을 진행했던 기체이다.[1] 이후 아 나라 군에 정식으로 채용되었다.[1]

3. 1. 개발 과정

아(A)의 나라의 쇼트 웨폰이 개발하고 설계한 오라 배틀러이다. 레프러칸은 빌바인의 무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 화력이 향상된 무기를 다수 탑재했다. 하지만 그 대가로 장갑과 오라 마르스(근섬유)가 일부 간소화되어 힘과 기동성이 희생되었고, 종합적인 균형이 좋지 않아 대량 생산에는 이르지 못했다. 그럼에도 번 바닝구스는 단바인과 격투전을 벌이며 "레프러칸에는 힘이 있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기체 색상은 적등색이며, 최초로 좌우 독립식 오라 컨버터를 탑재했다. 처음에는 설계자인 쇼트 웨폰이 자신의 사병을 위해 드레이크 루프트 몰래 개발을 진행했으나, 나중에 군에 정식으로 채용되었다.

레프러칸은 다양한 무장을 갖추고 있다. 오른쪽 팔뚝에는 플레임 밤(화염포) 1문, 왼쪽 팔뚝에는 오라 소드를 수납하는 고정식 방패(오라 샷 1문과 와이어 부착 연장 샷 클로 1기 내장)가 장착되어 있다. 사타구니 부분에는 볼 마운트식 단장 오라 캐논 1문, 오라 컨버터 부분에는 연장 오라 발칸 2기, 머리 부분에도 오라 발칸 2문이 탑재되어 있다. 근접전 시에는 이빨도 무기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이크 진영 오라 배틀러가 사용하는 거의 모든 종류의 무기를 내장하고 있으며, 양쪽 무릎 장갑 안에는 글리네이드(투척탄)를 1개씩 장비한다. 이처럼 레프러칸은 전신이 무기로 이루어진 오라 배틀러였지만, 개별 무기의 위력은 다소 낮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글리네이드는 폭발 범위 내의 오라 배틀러를 완전히 파괴할 수 있는 위력을 지녔다.

레프러칸이 완성되었을 때, 드레이크 군 공격 대장 지위를 잃고 쇼트의 사병이 된 번 바닝구스가 실용 테스트를 겸해 처음으로 탑승했다. 그는 이전의 패배를 설욕하기 위해 쇼우 자마의 단바인과 싸웠지만, 신형 레프러칸으로도 단바인을 꺾지 못했다. 전투 중 컨버터 한쪽을 잃고 패주했으나, 번은 운용 데이터 수집을 위해 즈론과 도킹하지 않고 편대 비행 상태로 귀환했다.

이후 레프러칸은 제릴 쿠치비나 페이 첸카 같은 지상인에게 지급되었고, 양산되어 일반 병사에게도 보급되었지만, 이는 빌바인의 양산과 거의 같은 시기였다. 낮은 비용 대비 효과와 기체 성능의 불안정성 때문에 드럼로나 빌바인에 비해 생산 수는 적었다. 레프러칸의 내장 화기를 충실하게 하는 설계 사상은 이후 신형 오라 배틀러인 라이넥과 즈와스에게 계승되었다.

부정적인 감정이 증폭되어 오라력이 폭주하는 하이퍼화 현상이 처음 확인된 것은 제릴 쿠치비가 탑승한 레프러칸이었다. 지상 세계로 나온 제릴은 드레이크 군을 벗어나 단독으로 활동하며, 악한 오라력으로 그리스군을 끌어들여 자신을 "잔 다르크의 재림"이라 칭했다. 제릴은 자신의 오라력으로 레프러칸을 거대화시켜 쇼우 자마와 마벨 프로즌을 압도했지만, 오라력 제어에 실패하여 폭주했고, 결국 거대화된 레프러칸은 스스로 붕괴했다. 제릴의 레프러칸은 빌바인의 공격을 받고 폭발하여 소멸했다. 기획 단계에서는 하이퍼화 시 오라 마르스가 노출된 채 거대화되는 묘사를 고려했으나, 너무 그로테스크하다는 이유로 붉은 투사광을 이용한 현재의 묘사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3. 2. 생산 및 배치

아 나라의 쇼트 웨폰이 개발 및 설계한 오라 배틀러이다. 당초에는 설계자인 쇼트 웨폰이 자신의 사병 전용으로 드레이크 루프트에게도 비밀리에 개발을 시작한 기체였다.[1]

레프러칸은 비란비의 화력을 강화한 발전형으로 설계되었으나, 내장 화기 탑재를 우선시한 결과 장갑이나 오라 마르스(근섬유)가 일부 간소화되어 파워와 기동성이 희생되었다. 이로 인해 종합적인 밸런스가 나빠져 다루기 어려운 기체로 평가받는다.[1]

시제기 단계에서는 드레이크 군 공격 대장 지위를 잃고 쇼트의 사병이 된 번 바닝스가 실용 테스트를 겸해 처음으로 탑승했다. 번은 이 기체로 쇼우 자마의 단바인과 싸웠으나, 신형기의 힘으로도 단바인을 꺾지는 못했다. 이후 레프러칸은 아 나라 군에 정식으로 채용되었다.[1]

정식 채용 후에는 제릴 쿠치비나 페이 첸카와 같은 성전사에게 지급되었다.[1] 비란비의 양산과 거의 같은 시기에 양산되어 일반 병사에게까지 보급되었지만, 높은 비용과 앞서 언급된 기체 성능의 불안정성 때문에 드럼로나 비란비에 비해 생산 수는 적었다.[1] 이 때문에 앨런처럼 레프러칸이 일반 병사에게 보급되는 시기까지도 일부러 계속 비란비에 탑승한 성전사도 있었다.[1] 반대로 제릴처럼 탑승기를 잃어도 다시 레프러칸을 요구하여 계속 탑승한 파일럿도 존재했다.[1]

하이퍼화 현상이 처음 확인된 것은 제릴 쿠치비가 탑승한 레프러칸이다.[1] 레프러칸의 내장 화기를 충실하게 한 설계 사상은 이후 신형 오라 배틀러인 라이넥이나 즈와스에게 계승되었다.

4. 극중 활약

아(A)의 나라에서 쇼트 웨폰이 개발한 오라 배틀러이다. 완성 후 처음에는 드레이크 군 공격 대장의 지위를 잃고 쇼트 웨폰의 사병이 된 번 바닝구스가 실용 테스트를 겸하여 탑승했다. 번은 이 기체로 쇼우 자마의 단바인과 교전했으나 승리하지는 못했다.

이후 레프러칸은 제릴 쿠치비나 페이 첸카와 같은 지상인 성전사들에게 지급되었으며, 소수가 양산되어 일반 병사들에게도 보급되었다. 그러나 빌바인의 양산 시기와 맞물렸고 기체 자체의 문제점 등으로 인해 생산 수는 많지 않았다.

특히 제릴 쿠치비가 탑승했을 때, 부정적인 감정의 증폭으로 인해 오라력이 폭주하는 하이퍼화 현상이 작중 처음으로 확인된 기체이기도 하다.

4. 1. 주요 전투

레프러칸이 완성되었을 때, 드레이크 군 공격 대장의 지위를 잃고 쇼트 웨폰의 사병이 된 번 바닝구스가 실용 테스트를 겸해 처음으로 탑승했다. 그는 이전의 설욕을 갚기 위해 쇼우 자마의 단바인과 싸웠지만, 신형 레프러칸의 힘으로도 단바인을 꺾지는 못했다. 제20화에서는 단바인에 의해 레프러칸의 오라 컨버터 한쪽을 잃고 패주했는데, 이때 번은 운용 데이터 수집을 위해 굳이 즈론과는 도킹하지 않고 편대 비행 상태로 귀환했다.

이후 레프러칸은 제릴 쿠치비나 페이 첸카 같은 지상인에게 지급되었다. 특히 제릴 쿠치비가 탑승한 레프러칸은 부정적인 감정이 증대되어 오라력이 폭주하는 "하이퍼화" 현상이 처음으로 확인된 기체이다. 지상 세계로 나온 제릴은 드레이크 군과는 떨어져 단독으로 행동하며, 악한 오라력으로 그리스군을 끌어들이고 사람들의 마음을 미혹하여 자신을 "잔 다르크의 재래"라고 내세웠다. 제릴은 자신의 오라력으로 레프러칸을 거대화시켜 쇼우 자마의 빌바인과 마벨 프로즌을 압도하려 했다. 하지만 제릴 스스로도 폭주하는 오라력을 제어하지 못했고, 결국 거대화된 레프러칸은 빌바인의 일격에 의해 폭발하며 소멸했다.

4. 2. 평가

레프러칸은 빌바인의 무장 강화형으로 설계되어 화력 향상을 목표로 다양한 무기를 탑재했다. 하지만 이러한 무장 강화의 대가로 장갑과 오라 마르스(근섬유)가 일부 간소화되어 기체의 파워와 기동성이 희생되었다. 이로 인해 종합적인 밸런스가 좋지 않아 대량 생산에는 이르지 못했다. 다만, 번 바닝구스는 탑승 당시 "레프러칸에는 힘이 있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기술적으로는 최초로 좌우 독립식 오라 컨버터를 탑재한 기체라는 의의가 있다. 또한, 내장 화기를 충실하게 갖춘다는 설계 사상은 이후 개발된 라이넥이나 즈와스 같은 신형 오라 배틀러에게 계승되었다.

그러나 코스트 퍼포먼스가 낮고 기체 성능이 불안정하여 드럼로나 빌바인에 비해 생산 수는 적었다. 제릴 쿠치비나 페이 첸카 같은 지상인에게 지급되고 일반 병사에게도 일부 보급되었지만, 이는 빌바인의 양산 시기와 거의 겹쳤다.

특히 제릴 쿠치비가 탑승했을 때, 부정적인 감정의 증폭으로 오라력이 폭주하는 하이퍼화 현상이 처음으로 확인된 기체이기도 하다. 하이퍼화된 레프러칸은 일시적으로 거대화하며 강력한 힘을 발휘했지만, 제릴 스스로도 제어하지 못하고 폭주 끝에 자멸하는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5. 기타

"붉은 머리의 여자"로 불린 제릴 쿠치비는 자신과 같은 붉은색 기체의 레프러칸을 마지막까지 전용기로 사용했다. 이 기체의 이름 "레프러칸"은 아일랜드에 전해지는 요정의 이름에서 따왔으며, 제릴 역시 아일랜드의 수도인 더블린 출신이었다. 제릴은 하이퍼화 상태가 되었을 때 이미 자멸하기 시작하며 사망했으며, 빌바인의 공격으로 직접 목숨을 잃은 것은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원래 작화 감독인 코가와 토모요시가 그린 초기 디자인 러프에서는 고간부에 기관포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다른 무장을 원한다는 이유로 최종적으로는 "남자다운" 느낌의 볼 마운트식 캐논으로 변경되었다.

게임 『성전사 단바인 성전사 전설』에서는 리의 나라 사양 기체가 등장하며, 이 기체는 파란색으로 칠해져 있다.

2021년, 일본의 웹사이트 '네토라보 조사대'가 2021년 11월 16일부터 11월 23일까지 "성전사 단바인 TV판 오라 배틀러 중 가장 좋아하는 것은?"이라는 주제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레프러칸은 "오라 배틀러 인기 랭킹"에서 4위를 차지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