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대니얼 카마이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대니얼 카마이클은 1879년에 태어나 1967년에 사망한 미국의 수학자이다.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정수론과 소수 연구에 기여했다. 카마이클 수, 카마이클의 토션 함수 추측, 카마이클의 정리, 카마이클 함수 등을 연구했으며, 가장 작은 카마이클수인 561을 발견했다. 또한 슈타이너 시스템 S(5,8,24)를 설명하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상대성 이론', '수론', '디오판토스 분석', '유한 차수 군론 입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리노이 대학교 교수 - 강성모 (공학자)
강성모는 전기 공학 분야에서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크루즈 공대 학장, 캘리포니아 대학교 머시드 총장, KAIST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학자이다. - 일리노이 대학교 교수 - 앨빈 로스
앨빈 로스는 미국의 경제학자이며, 안정적인 배분 이론과 시장 설계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2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미국의 수학자 - 시어도어 카진스키
미국 수학자이자 "유나바머"로 알려진 시어도어 카진스키는 뛰어난 수학적 재능으로 대학 조교수를 지냈으나 산업 사회에 대한 비판으로 18년간 우편 폭탄 테러를 감행, 체포되어 가석방 없는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 중 사망했다. - 미국의 수학자 - 존 포브스 내시
미국의 수학자 존 포브스 내시는 게임 이론의 내시 균형 개념을 제시하고 미분기하학과 편미분 방정식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으며 조현병을 극복하고 노벨 경제학상과 아벨상을 수상한 인물로, 그의 삶은 영화 《뷰티풀 마인드》로 알려졌다. - 1879년 출생 - 한용운
한용운은 충청남도 홍성 출신의 승려이자 시인, 독립운동가로, 3.1 운동에 참여하여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불교 혁신과 민족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시집 《님의 침묵》을 통해 저항 문학을 대표했다. - 1879년 출생 - 안중근
안중근은 1879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고 동양 평화를 주장하며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이다.
로버트 대니얼 카마이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로버트 대니얼 카마이클 |
로마자 표기 | Robert Daniel Carmichael |
출생일 | 1879년 3월 1일 |
출생지 | 미국 앨라배마주 굿워터 |
사망일 | 1967년 5월 2일 |
사망지 | 미국 캔자스주 메리엄 |
국적 | 미국 |
분야 | 수학 |
소속 |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인디애나 대학교 |
출신 대학 | 프린스턴 대학교 |
지도 교수 | 조지 데이비드 버코프 |
주요 업적 | 카마이클 수 |
학력 | |
모교 | 라인빌 칼리지 |
박사 학위 취득 대학 | 프린스턴 대학교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선형 차분 방정식과 해석적 해 |
박사 학위 취득 년도 | 1911년 |
박사 학위 지도교수 | 조지 데이비드 버코프 |
박사 학위 제자 | 윌리엄 마틴 |
수상 |
2. 생애
로버트 대니얼 카마이클은 1879년 3월 1일 미국 앨라배마주 실러코가 근처의 소도시 굿워터(Goodwater영어)에서 태어났다. 라인빌 대학교에 잠시 다녔으며, 1898년에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11년에는 G. D. 비르크호프의 지도 하에 미분 방정식에 대한 연구로 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는 수학에서 미분 방정식에 대한 지식에 대한 최초의 중요한 미국 기여로 여겨진다.[1]
카마이클은 카마이클 수, 카마이클의 토션 함수 추측, 카마이클의 정리, 카마이클 함수 등 정수론과 소수 연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가장 작은 카마이클 수인 561을 발견했으며, 50년이 넘게 지나서 무한히 많은 카마이클 수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1911년부터 1915년까지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에서 가르쳤으며, 1915년부터 1947년 은퇴할 때까지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서 가르쳤다.
정수론과 소수 연구에서 중요한 카마이클 수(페르마 유사 소수의 부분 집합, 페르마의 소정리에 의해 설명된 소수의 속성을 만족하지만 소수가 아닌 수), 카마이클의 토션 함수 추측, 카마이클의 정리, 그리고 카마이클 함수에 대한 연구로 알려져 있다. 그는 가장 작은 카마이클 수인 561을 발견했고, 50년이 넘게 지나서 무한히 많은 카마이클 수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카마이클은 또한 1931년 논문 "Rank 2의 전술적 구성"과 1937년 저서 "유한 차수 군의 이론 입문"에서 슈타이너 시스템 S(5,8,24)를 설명했지만, 이 구조는 1938년에 그것을 재발견한 에른스트 비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는 경우가 많다.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에 재직하는 동안 특수 상대성 이론과 관련이 있었다.[1]
1947년에 은퇴하였다. 1967년 5월 2일 캔자스주 캔자스시티 근처의 소도시 메리엄(Merriam영어)에서 사망하였다.
3. 주요 업적
1931년 논문 "Rank 2의 전술적 구성"과 1937년 저서 "유한 차수 군의 이론 입문"에서 슈타이너 시스템 S(5,8,24)를 설명했으며,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 재직 시절 특수 상대성 이론을 연구했다.[1]
3. 1. 카마이클 수
카마이클은 정수론과 소수 연구에서 중요한 카마이클 수(페르마 유사 소수의 부분 집합으로, 페르마의 소정리에 의해 설명된 소수의 속성을 만족하지만 소수가 아닌 수), 카마이클의 토션 함수 추측, 카마이클의 정리, 카마이클 함수에 대한 연구로 알려져 있다. 그는 가장 작은 카마이클 수인 561을 발견했으며, 50년이 넘게 지난 후에 무한히 많은 카마이클 수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1]
3. 2. 카마이클 정리 및 함수
G. D. 비르크호프의 지도하에 수학 박사 학위 연구를 진행하여 미분 방정식에 대한 지식에 기여하였다.[1]
카마이클은 카마이클 수(페르마의 소정리에 의해 설명된 소수의 속성을 만족하지만 소수가 아닌 수), 카마이클의 토션 함수 추측, 카마이클의 정리, 카마이클 함수에 대한 연구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모두 정수론과 소수 연구에서 중요하다. 그는 가장 작은 카마이클 수인 561을 발견했고, 50년이 넘게 지나서 무한히 많은 카마이클 수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3. 3. 슈타이너 시스템
카마이클은 정수론과 소수 연구에서 중요한 카마이클 수(페르마 유사 소수의 부분 집합, 페르마의 소정리에 의해 설명된 소수의 속성을 만족하지만 소수가 아닌 수), 카마이클의 토션 함수 추측, 카마이클의 정리, 카마이클 함수에 대한 연구로 알려져 있다. 그는 가장 작은 카마이클 수인 561을 발견했고, 50년이 넘게 지나서 무한히 많은 카마이클 수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카마이클은 1931년 논문 "Rank 2의 전술적 구성"과 1937년 저서 "유한 차수 군의 이론 입문"에서 슈타이너 시스템 S(5,8,24)를 설명했지만, 이 구조는 1938년에 그것을 재발견한 에른스트 비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는 경우가 많다.[1]
3. 4. 상대성 이론 연구
카마이클은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 재직 시절 특수 상대성 이론에 관한 연구를 했다.[1]
4. 저서
제목 | 출판사 | 날짜 | 언어 | 비고 |
---|---|---|---|---|
상대성 이론 (The Theory of Relativity) (1판) | John Wiley & Sons, Inc. | 1913년 | The Theory of Relativity|상대성 이론영어 | |
상대성 이론 (The Theory of Relativity) (2판) | John Wiley & Sons, Inc. | 1920년 | The Theory of Relativity|상대성 이론영어 | |
수론 (The Theory of Numbers) | John Wiley & Sons, Inc. | 1914년 | The Theory of Numbers|수론영어 | |
디오판토스 분석 (Diophantine analysis) | John Wiley & Sons, Inc. | 1915년 | Diophantine analysis|디오판토스 분석영어 | |
유한 차수 군론 입문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groups of finite order) | Ginn & Company | 1937년 |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groups of finite order|유한 차수 군론 입문영어 | |
상대성 이론에 대한 토론 | Open Court Pub. CO. | 1927년 | 영어 | 윌리엄 로우 브라이언 서문 포함 |
미적분학 | Ginn & company | 1927년 | 영어 | 제임스 H. 위버와 공저 |
발견의 논리 | Open Court Publishing CO. | 1930년 | 영어 | 1975년 Arno press에서 재인쇄 |
수학 표 및 공식 | Ginn & company | 1931년 | 영어 | 에드윈 R. 스미스와 공저, 1962년 Dover Publications, Inc.에서 재인쇄 |
미적분학 (개정판) | Ginn & company | 1937년 | 영어 | 제임스 H. 위버, 링컨 라 파즈와 공저 |
유한 차수 군론 입문 | Ginn & company | 1937년 | 영어 | 1956년 Dover Publications, Inc.에서 재인쇄 |
참조
[1]
문서
For original papers on special theory of relativity
[2]
간행물
CARMICHAEL, Oliver Cromwell
https://archive.org/[...]
Who's Who in America
1926
[3]
논문
Review of The Theory of Numbers by R. D. Carmichael & Diophantine Analysis by R. D. Carmichael
[4]
논문
Review: The Theory of Relativity by R. D. Carmichael, 2nd edition
https://babel.hathit[...]
1921-04
[5]
논문
Book Review: The Logic of Discovery
[6]
논문
Reviewed work: The Logic of Discovery by R. D. Carmichael
[7]
논문
Book Review: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Groups of Finite Ord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