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돌프 립시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돌프 립시츠는 1832년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나 1903년 본에서 사망한 독일의 수학자이다.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와 베를린 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하고, 베를린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김나지움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본 대학교에서 사강사, 브로츠와프 대학교 특별 교수, 정교수를 역임했다. 립시츠는 본 대학교 최초의 유대인 정교수이자 수학과 학과장이었으며, 클리퍼드 대수를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직교 변환 연구에 활용했다. 주요 저서로는 《해석학 교과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석학자 (수학) - 요한 프리드리히 파프
요한 프리드리히 파프는 독일의 수학자이며,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의 박사 학위 논문을 지도했고, 수열과 적분, 1계 편미분 방정식 연구에 기여했다. - 해석학자 (수학) - 앙리 카르탕
앙리 카르탕은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니콜라 부르바키 그룹의 창립 멤버로서 대수적 위상수학과 호몰로지 대수학에 기여하고 층 코호몰로지와 가환 층을 연구했으며, 유럽 연방주의 운동과 과학 및 인권 옹호 활동에도 참여했다. - 본 대학교 교수 - 칼 바르트
칼 바르트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 중 한 사람으로, 자유주의 신학 비판과 신정통주의 신학 창시, 나치즘 저항, 하나님의 말씀과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 정립, 그리고 에큐메니칼 운동 기여 등으로 알려져 있다. - 본 대학교 교수 - 오토 발라흐
오토 발라흐는 독일의 화학자로서 테르펜 화학 연구의 선구자이며, 이소프렌 규칙 제시, 발라흐 전위 발견 등 유기화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191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고, 그의 저서 『테르펜과 캄퍼』는 테르펜 화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프로이센주 출신 - 안토니 그라보프스키
폴란드의 화학 공학자이자 초기 에스페란토 운동가인 안토니 그라보프스키는 화학 분야에서의 업적과 에스페란토 번역 및 창작 활동을 통해 "에스페란토 문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에스페란토 발전과 확산에 기여했다. - 프로이센주 출신 - 다비트 힐베르트
다비트 힐베르트는 다양한 수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20세기 수학의 주요 과제들을 제시하고 수학의 완전성과 무모순성을 증명하려는 힐베르트 프로그램을 제안한 독일의 수학자이다.
| 루돌프 립시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루돌프 오토 지기스문트 립시츠 |
| 원어 이름 | Rudolf Otto Sigismund Lipschitz |
| 출생 | 1832년 5월 14일 |
| 출생지 | 쾨니히스베르크, 프로이센 왕국(현재 러시아 칼리닌그라드) |
| 사망 | 1903년 10월 7일 |
| 사망지 | 본, 독일 제국 |
| 국적 | 독일 |
| 학문 분야 | |
| 분야 | 수학 |
| 소속 기관 | 본 대학교 |
| 학력 |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 |
| 지도 교수 |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마르틴 옴 |
| 지도 학생 | 펠릭스 클라인 |
| 주요 업적 | 립시츠 연속 립시츠 적분 조건 립시츠 사원수 |
2. 생애
루돌프 립시츠는 1832년 5월 14일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지주의 아들로 태어났다.[1] 어렸을 때 병약했으며, 쾨니히스베르크 근처 뵉케인에 있는 아버지의 영지에서 자랐다.[1] 15세에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에 입학했지만, 이후 베를린 대학교로 옮겨 구스타프 디리클레에게서 수학을 배웠다. 질병으로 인해 학업이 지연되었지만, 1853년에 베를린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2] 1857년에 이웃 지주의 딸 이다 파샤(Ida Paschade)와 결혼하였다.[1] 1903년 10월 7일 본에서 사망하였다.[13]
2. 1. 주요 경력
| 연도 | 사건 |
|---|---|
| 1853년 | 베를린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2] |
| 이후 | 지역 김나지움에서 교편을 잡았다.[5] |
| 1857년 | 본 대학교에서 교수 자격을 얻어 사강사로 재직했다.[1] |
| 1862년 | 브로츠와프 대학교 특별 교수가 되어 2년간 재직했다.[7] |
| 1864년 | 본 대학교 정교수로 임용되었다.[3] |
| 1869년 | 본 대학교 최초의 수학과 학과장으로 임명되었다.[3] |
| ? | 펠릭스 클라인의 논문을 심사했다.[4] |
Rudolf Lipschitz영어는 1880년 윌리엄 K. 클리퍼드가 클리퍼드 대수를 발견한 지 2년 후에 독자적으로 클리퍼드 대수를 재발견했으며, 이를 직교 변환 연구에 처음 사용했다.[8][9] 1950년경까지 이 발견은 "클리퍼드-립시츠 수"라고 불렸다. 예를 들어 클로드 슈발레는 클리퍼드의 저작은 언급하지 않고, 립시츠의 저작에서 유래한 대상에 "클리퍼드 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0] 이후 페르티 루네스트가 립시츠의 역할의 중요성을 재인식했다.[11][12]
3. 주요 업적
3. 1. 클리퍼드 대수 재발견
1880년에 루돌프 립시츠는 윌리엄 K. 클리퍼드가 클리퍼드 대수를 발견한 지 2년 후에 독자적으로 클리퍼드 대수를 재발견했으며, 이를 직교 변환 연구에 처음 사용했다.[8][9] 1950년경까지 이 발견은 "클리퍼드-립시츠 수"라고 불렸다. 예를 들어 클로드 슈발레는 클리퍼드의 저작은 언급하지 않고, 립시츠의 저작에서 유래한 대상에 "클리퍼드 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0] 이후 페르티 루네스트가 립시츠의 역할의 중요성을 재인식했다.[11][12]
3. 2. 기타 연구
1880년에 립시츠는 클리퍼드 대수를 발견했는데, 이는 윌리엄 K. 클리퍼드(1845년 - 1879년)가 발견한 지 2년 후였다. 립시츠는 직교 변환 연구에 클리퍼드 대수를 처음 사용했다.[8][9] 1950년경까지 이 발견은 "클리퍼드=리프시츠 수"라고 불렸다. 예를 들어 클로드 슈발레(1909년 - 1984년)는 클리퍼드의 저작을 언급하지 않고, 립시츠의 저작에서 유래한 대상에 "클리퍼드 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0] 이후 페르티 루네스트(1945년 - 2002년)가 립시츠의 역할의 중요성을 재인식했다.[11][12]
4. 저서
- Lehrbuch der Analysisde (총 2권, 본 1877, 1880)
- Wissenschaft und Staatde (본, 1874)
- Untersuchungen über die Summen von Quadratende (본, 1886)
- Bedeutung der theoretischen Mechanikde (베를린, 1876)
- 해석학 교과서 (전 2권, 본 1877, 1880); 제1권, 제2권
- 과학과 국가 (본, 1874)
- 제곱의 합에 관한 연구 (본, 1886)
- 이론 역학의 중요성 (베를린, 1876)
참조
[1]
웹사이트
Rudolf Lipschitz - Biography
http://www-history.m[...]
[2]
서적
A to Z of Mathematicians
Infobase Publishing
[3]
서적
Bonn. In: Bergmann, B., Epple, M., Ungar, R. (eds) Transcending Tradition
Springer
[4]
서적
Academic Genealogy of Mathematicians
World Scientific
[5]
웹사이트
Rudolf Lipschitz - Biography
https://mathshistory[...]
2021-04-23
[6]
서적
A to Z of Mathematicians
Infobase Publishing
[7]
서적
Academic Genealogy of Mathematicians
World Scientific
[8]
간행물
Principes d'un calcul algébrique qui contient comme espèces particulières le calcul des quantités imaginaires et des quaternions
[9]
간행물
Correspondence
[10]
서적
The Algebraic Theory of Spinors and Clifford Algebras
Springer-Verlag
[11]
서적
Clifford Algebras and Spino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Quadratic Mappings and Clifford Algebras
Birkhäuser
[13]
서적
Academic Genealogy of Mathematicians
World Scientif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