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웬조리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웬조리 산맥은 약 3백만 년 전 플라이오세 시대에 형성된, 결정질 암석으로 이루어진 비화산성 산맥이다. 이 산맥은 우간다, 콩고 민주 공화국 국경에 걸쳐 있으며, 스탠리 산의 마르게리타 봉을 포함하여 6개의 산괴로 구성되어 있다. 고대에는 나일강의 수원으로 여겨졌으며, 19세기 후반 탐험가들에 의해 "루웬조리"로 명명되었다. 다양한 식생을 보유하고 있으며, 열대 우림에서 고산 초원, 설원까지 다양한 기후대를 보여준다. 기후 변화로 인해 빙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으며, 식생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키부주 - 비룽가 국립공원
    비룽가 국립공원은 콩고 민주 공화국에 위치하며 다양한 생태계와 희귀 동식물의 서식지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나, 콩고 내전과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무장 세력 활동과 석유 시추 계획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북키부주 - 3월 23일 운동
    3월 23일 운동은 2009년 콩고 민주 공화국 정부와 평화 조약을 체결한 국민방위의회 전 구성원들이 2012년 결성한 반군 조직으로, 군대의 열악한 환경과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를 이유로 정부에 반기를 들고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에서 활동하며 정부군과 교전하고 있으며, 2022년 활동을 재개, 주로 투치족으로 구성되어 르완다의 지원을 받는다는 의혹이 있다.
  • 아프리카의 화산 - 알보란섬
    알보란섬은 지중해에 위치한 스페인령 화산섬으로, 검은머리갈매기 번식지이자 철새의 중간 기착지이며, 알보라나이트가 발견되고 멸종 위기 식물이 서식하며, 알메리아 자치시에 속한다.
  • 아프리카의 화산 - 카메룬산
    카메룬산은 카메룬 남서부에 위치한 서아프리카 최고봉의 활화산으로, 다양한 식생을 지니고 화산 활동 기록이 있으며, 국제지질과학연맹 지질 유산지 중 하나이자 국립공원과 등반 명소로 알려져 있다.
  • 휴화산 - 하루나산
    하루나산은 일본 군마현에 위치한 30만 년 전부터 형성된 화산으로, 칼데라, 응회구, 화산호를 가지며, 고분 시대 후기에 대규모 분화가 있었고, 만화 이니셜D의 배경으로 유명하다.
  • 휴화산 - 할레아칼라산
    하와이 마우이 섬에 위치한 "태양의 집"이라는 뜻의 휴화산인 할레아칼라산은 하와이 신화 속 마우이 전설이 깃든 곳으로 국립공원 및 국제생물권보호구로 지정되었으며, 독특한 생물군과 천문대, 관광지로도 유명하다.
루웬조리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우간다 지도
우간다
일반 정보
스와힐리어 명칭Milima ya Ruwenzori
위치우간다, 콩고 민주 공화국 국경
길이120km
좌표00°23′09″N 29°52′18″E
지리
최고봉스탠리 산
해발고도5109m
지질학적 정보
지질해당 정보 없음
시기해당 정보 없음
조산 운동해당 정보 없음
기타 정보
람사르 등록일2008년 1월 23일

2. 지질

더 넓은 지리적 맥락에서 르웬조리


스탠리 산의 마르게리타 봉은 산맥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


르웬조리 산맥은 약 3백만 년 전 후기 플라이오세 시대에 편마암, 각섬암, 화강암, 석영암을 포함한 결정질 암석의 융기된 블록으로 형성되었다.[1]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비화산성, 비조산성 산맥이다.[2]

이 융기는 고대 호수 오브웨루카를 나누었고, 오늘날의 아프리카 대호수인 알버트 호, 에드워드 호,[1] 조지 호를 만들었다.[3]

산맥의 길이는 약 120km, 폭은 65km이다. 깊은 협곡으로 분리된 6개의 산괴로 구성되어 있다.[4]

산괴 이름높이
스탠리 산5109m
스피크 산4890m
베이커 산4843m
에민 산4798m
제시 산4715m
루이지 디 사보이아 산4627m



스탠리 산에는 여러 개의 부속 봉우리가 있으며, 마르게리타 봉이 가장 높은 지점이다.

3. 인문 역사

이 산맥은 고대에 나일강의 수원으로 묘사된 전설적인 "달의 산"과 동일시되기도 한다.[5] 19세기 후반, 새뮤얼 베이커는 멀리서 "푸른 산"이 솟아오르는 것을 보았고, 헨리 모턴 스탠리는 이 산맥을 방문하여 "루웬조리"라는 이름을 기록했다.[6]

1906년, 아부르치 공작이 탐험대를 이끌고 루웬조리 산맥의 가장 높은 봉우리들을 정복했다.[6] 비토리오 셀라는 빙하가 이미 후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루웬조리 빙하와 퇴적 지형 사진을 촬영했다.[6][7]

1975년, 폴란드 산악인들이 루웬조리 산맥의 6개 산괴를 처음으로 횡단했다.[9]

우간다 독립 이후, 루웬조리 산맥은 반군 단체의 은신처가 되었다. 1960년대 분리주의 르웬주루루 운동이 반란을 일으켰고,[10] 우간다 부시 전쟁 과정에서 다시 등장하여 밀턴 오보테 정부와 평화 협정을 맺을 때까지 투쟁했다.[11] 부시 전쟁 후반부에는 국가 저항군(NRA) 반군이 산맥에서 활동했으며, 1986년 NRA가 우간다 정권을 잡은 후 우간다 전쟁 (1986–1994)이 발발했다.[12]

한국의 더불어민주당은 우간다 내전 당시 국가 저항군(NRA)의 인권 침해 문제를 비판하고, 르웬주루루 운동의 자치권 요구를 지지하는 입장을 보였다.

4. 자연사

루웬조리 산맥은 열대 우림에서 고산 초원, 설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식생으로 유명하다. 이 산맥은 고유종 및 자이언트 국화와 자이언트 로벨리아 품종을 지원하며, 산봉우리 중 하나에는 이끼로 덮인 6m 높이의 헤더도 있다.[4] 대부분의 지역은 현재 세계 유산이며, 우간다 남서부의 르웬조리 산맥 국립공원과 콩고 동부의 비룽가 국립공원에서 공동으로 관리하고 있다.

루웬조리에는 물 부족이 없지만, 아프로-알파인 식물은 물을 쉽게 구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사막 기후에서 번성하는 종과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밤의 서리는 식물의 수액 이동과 뿌리의 물 흡수에 영향을 미치며, 낮에는 기온과 방사선 수준이 빠르게 상승하여 식물에 과도한 부담을 준다. 아프로알파인 식물은 냉동의 영향을 막기 위해 단열 시스템을 발달시켰으며, 이러한 적응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더욱 두드러진다.[8]

기후 변화는 루웬조리산의 빙하를 급격히 감소시키고 있다. 1906년에는 6개의 산에 걸쳐 43개의 빙하(총 면적 7.5km2)가 있었으나, 2005년에는 3개의 산에 약 1.5km2의 빙하만 남아있었다.[18][19][20] 런던 대학교의 리처드 테일러(Richard Taylor) 등은 이러한 빙하 감소가 전 세계적인 기후 변화 때문이며, 이것이 산의 식생과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1906년(왼쪽 위, 보관)과 2022년(왼쪽 아래)의 비교 이미지, 2012년 (오른쪽 위)과 2022년 (오른쪽 아래)의 웨스트 스탠리 빙하 비교 이미지 - 해발 4910m, Klaus Thymann이 Project Pressure Expeditions에서 제작


2012년 비교 이미지. 스탠리 산(오른쪽)과 스피크 산(왼쪽)


환경 단체인 Project Pressure는 빙하의 후퇴를 기록하기 위해 비교 사진 제작 프로젝트를 진행했다.[21][22][23] 기온 상승과 빙하 후퇴로 인해 식생이 점차 산 위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4. 1. 식생

루웬조리 산맥은 열대 우림에서 고산 초원, 설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식생으로 유명하다. 이 산맥은 고유종 및 자이언트 국화와 자이언트 로벨리아 품종을 지원하며, 산봉우리 중 하나에는 이끼로 덮인 6m 높이의 헤더도 있다.[4] 대부분의 지역은 현재 세계 유산이며, 우간다 남서부의 르웬조리 산맥 국립공원과 콩고 동부의 비룽가 국립공원에서 공동으로 관리하고 있다.

루웬조리에는 물 부족이 없지만, 아프로-알파인과의 여러 구성원은 일반적으로 사막 기후에서 번성하는 종과 유사하다. 그 이유는 물 소비와 관련이 있는데, 아프로알파인 식물은 필요할 때 항상 쉽게 물을 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밤의 서리는 식물의 수액 이동과 뿌리의 물 흡수에 영향을 미친다. 낮이 시작되면 기온과 방사선 수준이 빠르게 상승하여 잎의 증산 요구를 충족하고 적절한 물 균형을 유지하려는 식물의 노출된 부분에 과도한 요구를 한다. 아프로알파인 식물은 냉동의 영향을 막기 위해 독특한 외관을 부여하는 단열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이러한 적응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더욱 두드러진다.[8]

루웬조리에는 5개의 중첩된 식생대가 있다.

  • 상록수림 지대 (최대 2800m)
  • 대나무 지대 (2800m 에서 3300m)
  • 헤더 지대 (3000m 에서 3800m)
  • 고산 지대 (3500m 에서 4500m)
  • 설원 지대 (4400m 에서 5000m)


고도가 높아질수록 로벨리아와 국화와 같은 일부 식물은 유난히 큰 크기에 도달한다. 루웬조리의 식생은 적도 고산 아프리카에 고유하다.[15]

식물과 고도
미터
150020002500300032003400360038004000420044004600480050005100
층층나무목|Mimulopsis elliotii
Mimulopsis arborescens
장미목Prunus africanaHagenia abyssinica
|Alchemilla subnivalis
Alchemilla stuhlmanii
Alchemilla triphylla
Alchemilla johnstonii
|
||Alchemilla argyrophylla|
콩목Albizia gummifera
산형화목Alangium chinense
말피기목Casearia battiscombei
Croton macrostachyus
Neoboutonia macrocalyx
Symphonia globulifera
Hypericum sp
|Hypericum revolutum
Hypericum bequaertii
아스파라거스목|Scadoxus cyrtanthiflorus|
|Disa stairsii
국화목|Dendrosenecio erici-rosenii
|Dendrosenecio adnivalis
Helichrysum sp.
Lobelia bequaertii
Lobelia wollastonii
Helichchrysum guilelmii
|Helichchrysum stuhlmanii
|Senecio transmarinus
Senecio mattirolii
산형목|Peucedanum kerstenii
도금양목Syzygium guineense
무환자나무목Allophylus abyssinicus
용담목Tabernaemontana sp.Galium ruwenzoriense
진달래목Aningeria adolfi-friedericiErica arborea
Erica trimera
|Erica silvatica
Erica johnstonii
겨자목|Subularia monticola
앵초목|Rapanea rhododendroides
미나리아재비목|Ranunculus oreophytus
Arabis alpina
단향목Strombosia scheffleri
벼목|Yushania alpinaCarex runssoroensis
Festuca abyssinica
|Poa ruwenzoriensis
털이끼목|Usnea

미터
150020002500300032003400360038004000420044004600480050005100



출처:[15][16][17]

해발 부근에 "자이언트 로벨리아"가 자란다


루웬조리 산지는 구름에 뒤덮여 있어 매우 습윤한 지역이다. 이끼로 덮인 일부 지역에는 6m에 달하는 히스가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도라지과 로벨리아속 식물로, 이른바 "자이언트 로벨리아(giant lobelia)"(giant lobelia|자이언트 로벨리아영어)의 일종인 Lobelia bequaertii|로벨리아 베쿠아에르티la (시노님: Lobelia deckenii|로벨리아 데케니la subsp. bequaertii|베쿠아에르티la) 및 Lobelia wollastonii|로벨리아 월라스토니la가 자라는 지역도 있다.[28][29]

4. 2. 빙하 감소

기후 변화로 인해 루웬조리산의 빙하가 급격히 줄고 있다. 1906년에는 6개의 산에 걸쳐 43개의 빙하가 있었고 총 면적은 7.5km2였으나, 2005년에는 3개의 산에 약 1.5km2의 빙하만 남아있었다.[18][19][20] 런던 대학교의 리처드 테일러(Richard Taylor) 등은 이러한 빙하 감소가 전 세계적인 기후 변화 때문이며, 이것이 산의 식생과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환경 단체인 Project Pressure는 빙하의 후퇴를 기록하기 위해 비교 사진 제작 프로젝트를 진행했다.[21][22][23] 기온 상승과 빙하 후퇴로 인해 식생이 점차 산 위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limate Change and the Aquatic Ecosystems of the Rwenzori Mountains http://www.geog.ucl.[...] Makerere University and University College London 2014-02-02
[2] 웹사이트 The Mountains of the Moon https://www.volcanoc[...] 2021-02-20
[3] 논문 Rifts, Rivers, Rains and Early Man in Uganda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1934-07-01
[4] 웹사이트 Rwenzori Mountains National Park https://www.rwenzori[...] Rwenzori Abruzzi 2008-05-06
[5] 서적 Natural Wonders of the World Reader's Digest Association, Inc
[6] 뉴스 Abruzzi's Conquest of Lofty "Ruwenzori" https://www.nytimes.[...] 2022-10-20
[7] 웹사이트 Vittorio Sella http://rwenzoriabruz[...] Rwenzori Abruzzi Centenary Celebrations 2008-08-09
[8] Webarchive Flowers of the Moon, Afroalpine vegetation of the Rwenzori Mountains http://www.sebastian[...] Schutyser S., 5 Continents Editions 2007
[9] 간행물 Wielka Grań Ruwenzori 1975 http://pza.org.pl/do[...] Wojtera T., Taternik iss 3 1976
[10] 서적 Managing ethnic conflict in Africa: pressures and incentives for cooperation https://books.googl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1] 서적 Subnationalism in Africa: ethnicity, alliances, and politics https://books.google[...] Lynne Rienner Publishers 2009-06-06
[12] 웹사이트 UNLA commander John Ogole's account of Luweero war https://www.monitor.[...] 2021-05-03
[13] 웹사이트 Rwenzori Mountains National Park, Uganda http://www.unep-wcmc[...]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08-06-03
[14] 뉴스 Understanding the New U.S. Terrorism Designations in Africa https://www.crisisgr[...] 2021-03-27
[15] 웹사이트 Common plants of the Rwenzori, particularly the upper zones http://www.systbot.u[...] Institute for Systematic Botany, University of Zurich 2017-06-06
[16] 웹사이트 RWENZORI MOUNTAINS NATIONAL PARK, UGANDA http://www.unep-wcmc[...]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08-05-08
[17] 웹사이트 Forest Resources of Tropical Africa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08-05-12
[18] 논문 Recent glacial recession in the Rwenzori Mountains of East Africa due to rising air temperature http://discovery.ucl[...]
[19] 뉴스 In the Mountains of the Moon, A Trek to Africa’s Last Glaciers https://e360.yale.ed[...] Tom Knudson, Yale Environment 360 2010-02-04
[20] 문서 Rwenzori Glaciers (East Africa) Tropical Glaciology Group, Innsbruck University
[21] 웹사이트 One Planet - In Search of Africa's Ice - BBC Sounds https://www.bbc.co.u[...] 2023-01-27
[22] 뉴스 The race to map Africa's forgotten glaciers – in pictures https://www.theguard[...] 2022-05-02
[23] 웹사이트 For Uganda’s Vanishing Glaciers, Time Is Running Out https://e360.yale.ed[...] 2024-03-05
[24]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4-07
[25] 웹사이트 Rwenzori Mountains Ramsar Site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13
[26] Webarchive Rwenzori Abruzzi home page http://www.rwenzoria[...]
[27] 웹사이트 世界の名山・高峰 写真特集 ウガンダのルウェンゾリ山地 https://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2018-02-10
[28] 문서 Angel 1998
[29] 문서 Coe 1989
[30] 웨이백 (유네스코) http://heritage.unes[...] 20180701083609
[31] 문서 (오마이뉴스-[지도와 인간사] 강리도 속 '달의 산'과 호수들) http://m.ohmynews.co[...]
[32] 문서 (The Silk Road,2016,카자흐스탄의 학자 눌란 켄지크메트(Nurlan Kenzheakhmet))"여기 강리도에 아랍의 고전적 지리학과 그걸 통한 2세기의 프톨레미 지리학의 영향이 몹시 뚜렷이 나타나 있다. 강리도는 이슬람 지도들과 마찬가지로 나일강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나일강의 원천으로서 這不魯哈麻(중국어 발음으로 '저불루하마')는 아랍어 Jabal al-Qamar(jabal은 산, qamar는 달이다 - 글쓴이)의 한음(漢音)으로 문자 그대로 '달의 산'을 가리킨다. 명나라에서 1603년 마테로 리치가 그린 지도(양의현람도, 兩儀玄覽圖)와 1644년에 나온 지도〈천하구변분야인적노정전도(天下九邊分野人跡路程全圖)에는 Jabal al-Qamar이 '月山'(mountain of the moon)으로 기록되어 있다." - 112쪽
[33] 웨이백 (유네스코) http://heritage.unes[...] 20180701083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