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환자나무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환자나무목은 APG IV 분류 체계에 따라 약 480속 6000종을 포함하며, 비벨슈타이니아과, 소다나무과, 키르키아과, 감람과, 옻나무과, 무환자나무과, 멀구슬나무과, 니가키과, 운향과 등을 포함한다. APG II 체계, 크론퀴스트 체계, 신엥글러 체계 등 다양한 분류 체계에서 무환자나무목에 속하는 과의 범위가 다르게 제시되었으며, 귤, 단풍나무, 마로니에 등과 같은 식물들이 이 목에 속한다. 무환자나무목은 장미군에 속하며, 비베르슈타이니아과, 소다나무과, 키르키아과, 감람과, 옻나무과, 무환자나무과, 멀구슬나무과, 니가키과, 운향과 등이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환자나무목 - 비에베르스테이니아속
    비에베르스테이니아속은 비에베르스테이니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속으로, 비에베르스테이니아 에모디, 비에베르스테이니아 헤테로스테몬, 비에베르스테이니아 멀티피다, 비에베르스테이니아 오도라, 비에베르스테이니아 오르파니디스 5종을 포함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무환자나무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네군도단풍 (Acer negundo)
학명Sapindales
명명자Dumortier (1829)
옻나무과 (Anacardiaceae)
키르키아이과 (Kirkiaceae)
멜리아케아에과 (Meliaceae)
니트라리아과 (Nitrariaceae)
페가눔과 (Peganaceae)
사피나케아에과 (Sapindaceae)
운향과 (Rutaceae)
시마루바과 (Simaroubaceae)
빌베르스테이니아케아에과 (Biebersteiniaceae)

2. 분류

APG II 체계와 크론퀴스트 체계에서 무환자나무목의 분류는 약간 다르다. APG II 체계에서는 옻나무과, 감람나무과, 무환자나무과, 운향과 등 9개 과를 포함한다. 반면 크론퀴스트 체계에서는 고추나무과, 단풍나무과, 칠엽수과 등 15개 과를 포함한다. 두 체계에서 외관상 큰 차이는 없지만, 단풍나무과와 칠엽수과의 포함 여부가 다르다.[1]

APG II 체계, 크론퀴스트 체계, 신엥글러 체계에서 무환자나무목에 속하는 과는 다음과 같다.

무환자나무목의 과
APG II 체계크론퀴스트 체계신엥글러 체계


2. 1. APG 분류 체계

2003년 APG II 체계에서 무환자나무목에 포함되는 과는 다음과 같다.

옻나무과 (Anacardiaceae)
비에베르스테이니아과 (Biebersteiniaceae)
감람나무과 (Burseraceae)
키르키아과 (Kirkiaceae)
멀구슬나무과 (Meliaceae)
니트라리아과 (Nitrariaceae) (+ 페가눔과와 테트라디클리스과)
운향과 (Rutaceae)
무환자나무과 (Sapindaceae)
소태나무과 (Simaroubaceae)



무환자나무목에는 귤, 단풍나무, 마로니에, 여지나무, 람부탄, 망고, 캐슈, 프랑킨센스, 몰약, 마호가니 등이 속한다.

2. 2. 크론퀴스트 체계

1981년 크론퀴스트 체계에서 무환자나무목은 장미아강에 속하며, 다음과 같은 과를 포함한다.



APG II 체계와 비교해 볼 때, 단풍나무과와 칠엽수과가 무환자나무목에 포함된 것은 외관상 큰 차이는 아니다.

2. 3. 신엥글러 체계

신에нг러 분류 체계에서 무환자나무목은 구꽃잎식물아강에 속하며, 다음과 같은 과를 포함한다.

독우츠기과 (Coriariaceae)
옻나무과 (Anacardiaceae)
단풍나무과 (Aceraceae)
브레시나이데라과 (Bretschneideraceae)
무환자나무과 (Sapindaceae)
칠엽수과 (Hippocastanaceae)
아와부키과 (Sabiaceae)
멜리안투스과 (Melianthaceae)
아엑스토키삭과 (Aextoxicaceae)
봉선화과 (Balsaminaceae)


3. 계통 분류

다음은 계통수가 제안되었다.[5]

{| class="wikitable"

|-

! 무환자나무목

|-

|

{| class="wikitable"

|-

| 비베르슈타이니아과

|-

|

{| class="wikitable"

|-

| 소다나무과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무환자나무과

|-

|



|}

|}

|}

|}

|}

3. 1. 장미군 내 계통

다음은 장미군 속씨식물의 계통 분류이다.[6]

{| class="wikitable"

|-

! 장미군

|-

|

{| class="wikitable"

|-

| 포도목

|-

|

{| class="wikitable"

|-

! 콩군

|-

|

{| class="wikitable"

|-

| 남가새목

|-

|

{| class="wikitable"

|-

! COM군

|-

|

{| class="wikitable"

|-

| 노박덩굴목

|-

|

말피기아목
괭이밥목



|}

|}

|}

|-

! 질소고정군

|-

|

{| class="wikitable"

|-

| 콩목

|-

|

{| class="wikitable"

|-

| 장미목

|-

|



|}

|}

|}

|}

|}

|-

! 아욱군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크로소소마목

|-

|

{| class="wikitable"

|-

| 피크람니아목

|-

|

{| class="wikitable"

|-

| 무환자나무목

|-

|

{| class="wikitable"

|-

| 후에르테아목

|-

|



|}

|}

|}

|}

|}

|}

|}

3. 2. 무환자나무목 내 계통

다음은 장미군 속씨식물의 계통 분류이다.[6]

{| class="wikitable"

|-

| 장미군

|-

|

{| class="wikitable"

|-

| 포도목

|-

|

{| class="wikitable"

|-

! 콩군

|-

|

{| class="wikitable"

|-

| 남가새목

|-

|

{| class="wikitable"

|-

! COM군

|-

|

{| class="wikitable"

|-

| 노박덩굴목

|-

|

말피기아목
괭이밥목



|}

|}

|-

! 질소고정군

|-

|

{| class="wikitable"

|-

| 콩목

|-

|

{| class="wikitable"

|-

| 장미목

|-

|



|}

|}

|}

|}

|-

! 아욱군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크로소소마목

|-

|

{| class="wikitable"

|-

| 피크람니아목

|-

|

{| class="wikitable"

|-

| 무환자나무목

|-

|

{| class="wikitable"

|-

| 후에르테아목

|-

|



|}

|}

|}

|}

|}

|}

|}

다음과 같은 계통수가 제안되었다.[5]

{| class="wikitable"

|-

! 무환자나무목

|-

|

{| class="wikitable"

|-

| 비베르슈타이니아과

|-

|

{| class="wikitable"

|-

| 소다나무과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무환자나무과

|-

|



|}

|}

|}

|}

|}

참조

[1]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2]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3] 저널 Placing Biebersteiniaceae, a herbaceous clade of Sapindales, in a temporal and geographic context http://www.umsl.edu/[...]
[4] 웹사이트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Version 9, June 2008 [and more or less continuously updated since]. http://www.mobot.org[...] Missouri Botanical Garden 2001-2008
[5] 웹사이트 Ssapindales in APWeb http://www.mobot.org[...] 2012-10-15
[6]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onlinelibrary[...] 2016-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