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는 각 지역의 프로 리그와 국제 대회를 통해 진행되는 e스포츠 종목이다. 주요 지역 리그로는 중국의 LPL, 한국의 LCK, 유럽/중동/아프리카의 LEC, 아메리카의 LTA, 아시아-태평양의 LCP가 있으며, 각 리그는 국제 대회 진출권을 놓고 경쟁한다. 국제 대회로는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과 월드 챔피언십(Worlds)이 있으며, 월드 챔피언십은 매년 가을에 개최되어 세계 최강팀을 가리는 최고 권위의 대회이다. 2025년부터는 새로운 국제 대회인 퍼스트 스탠드가 개최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 -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은 라이엇 게임즈가 주최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 국제 대회로, 각 지역 리그 스프링 스플릿 우승팀들이 참가하여 세계 최강팀을 가리는 매년 개최되는 대회이며, 2024년에는 Gen.G가 우승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 - 리프트 라이벌즈 2018 - 레드 리프트
    리프트 라이벌즈 2018 - 레드 리프트는 LPL, LCK, LMS 스프링 시즌 상위 3팀이 참가하여 풀 리그와 결승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 리그 오브 레전드 국제 대회로, 2018년 중국 다롄에서 개최되어 LPL이 우승, LCK가 준우승을 차지했다.
  • E스포츠에 관한 -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1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1은 2001년에 개최된 e스포츠 대회이며,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등 여러 게임이 정식 종목으로 진행되었고, 임요환이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E스포츠에 관한 - 한규종
    한규종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자 전 KT 롤스터 코치로, 선수 시절 KeSPA Cup 아마추어 입상 및 KPGA TOUR 3위 등의 경력이 있으며, 코치로서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 팀을 3위로 이끌었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2016 북미 LCS 여름 플레이오프 스테이지
2016 북미 LCS 시즌 여름 플레이오프 단계에서의 리그 오브 레전드 경기
주관라이엇 게임즈
최초 개최2009년
종류e스포츠
장비컴퓨터
마우스
키보드
헤드폰

2. 지역 대회

각 지역을 대표하는 프로 리그들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 리그들은 국제 대회의 참가 자격을 얻기 위한 경쟁의 장이 된다. 주요 리그는 다음과 같다.


  • (LCK, 대한민국): 라이엇 게임즈와 현지 퍼블리셔가 운영하는 리그 중 하나이다.[35] LCK는 세계 최고 수준의 리그 중 하나로, 세계적인 선수들을 배출하며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고 있다. 특히, T1, 젠지, DRX 등은 국제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한국 e스포츠의 위상을 높였다. 원래는 자체 조별 리그 및 토너먼트 형식을 갖춘 방송 채널 온게임넷(OGN)에서 운영하다가 라이엇에서 운영하게 되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EMEA 챔피언십(LEC, 유럽/중동/아프리카):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을 대표하는 리그이다. 독특한 경기 스타일과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2013년 2월 7일, 라이엇 게임즈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LCS)를 창설하여 유럽과 북미에 별도의 프로 리그를 만들었다. 처음에는 8개 팀이 승강제와 2부 리그인 챌린저스 시리즈가 있는 리그 구조로 경쟁했다. 각 LCS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10개 팀으로 확장되었다. 2018년, NA LCS는 프랜차이즈 시스템을 선호하여 승강제를 폐지했고, 유럽 리그도 2019년에 이를 따랐다. 2018년 말, 유럽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EU LCS)는 리그 오브 레전드 유러피언 챔피언십(LEC)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35] 독립 국가 연합의 리그 오브 레전드 컨티넨탈 리그(LCL)와 터키의 터키 챔피언십 리그(TCL)는 주요 국제 행사에 팀을 진출시키는 별도의 리그였지만, 이후 LEC 생태계 내에서 EMEA 지역 리그가 되어 EMEA 마스터스에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 전역의 다른 리그와 함께 팀을 진출시키고 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디 아메리카스(LTA, 아메리카): 북미, 브라질, 라틴 아메리카 지역 리그가 통합되어 만들어진 리그로, 다양한 문화와 경기 스타일이 융합된 리그이다. 2024년 10월, LCS는 브라질과 라틴 아메리카 지역 리그와 통합되어 아메리카 챔피언십(LTA)을 형성하게 되었다.[36]

2. 1. 대한민국 (LCK)

(LCK, 대한민국)라이엇 게임즈와 현지 퍼블리셔가 운영하는 리그 중 하나이다.[35] LCK는 세계 최고 수준의 리그 중 하나로, 세계적인 선수들을 배출하며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고 있다. 특히, T1, 젠지, DRX 등은 국제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한국 e스포츠의 위상을 높였다. 원래는 자체 조별 리그 및 토너먼트 형식을 갖춘 방송 채널 온게임넷(OGN)에서 운영하다가 라이엇에서 운영하게 되었다.

2. 2. 중국 (LPL)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리그(LPL)는 막대한 자본력과 선수층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여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와 함께 세계 최정상급 리그로 평가받고 있다.[35]

2. 3. 유럽/중동/아프리카 (LEC)

리그 오브 레전드 EMEA 챔피언십(LEC)은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을 대표하는 리그이다. 독특한 경기 스타일과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2013년 2월 7일, 라이엇 게임즈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LCS)를 창설하여 유럽과 북미에 별도의 프로 리그를 만들었다. 처음에는 8개 팀이 승강제와 2부 리그인 챌린저스 시리즈가 있는 리그 구조로 경쟁했다. 각 LCS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10개 팀으로 확장되었다. 2018년, NA LCS는 프랜차이즈 시스템을 선호하여 승강제를 폐지했고, 유럽 리그도 2019년에 이를 따랐다. 2018년 말, 유럽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EU LCS)는 리그 오브 레전드 유러피언 챔피언십(LEC)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35]

독립 국가 연합의 리그 오브 레전드 컨티넨탈 리그(LCL)와 터키의 터키 챔피언십 리그(TCL)는 주요 국제 행사에 팀을 진출시키는 별도의 리그였지만, 이후 LEC 생태계 내에서 EMEA 지역 리그가 되어 EMEA 마스터스에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 전역의 다른 리그와 함께 팀을 진출시키고 있다.

2. 4. 아메리카 (LTA)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디 아메리카스(LTA)는 북미, 브라질, 라틴 아메리카 지역 리그가 통합되어 만들어진 리그로, 다양한 문화와 경기 스타일이 융합된 리그이다. 2024년 10월, LCS는 브라질과 라틴 아메리카 지역 리그와 통합되어 아메리카 챔피언십(LTA)을 형성하게 되었다.[36]

2. 5. 아시아-태평양 (LCP)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퍼시픽(LCP)은 Carry International에서 운영하며, 동남아시아, 대만, 홍콩, 마카오, 일본 등의 지역 리그가 통합되어 만들어졌다. 다양한 국가의 선수들이 참가하여 국제적인 경쟁을 펼친다. 과거에는 퍼시픽 챔피언십 시리즈(PCS), 베트남 챔피언십 시리즈(VCS), 리그 오브 레전드 재팬 리그(LJL), 리그 오브 레전드 서킷 오세아니아(LCO)가 월드 챔피언십에 팀을 파견했으나, 현재는 LCP에 통합되어 국내 리그로 운영되고 있다.

3. 국제 대회

전 세계 최고의 팀들이 모여 세계 챔피언의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국제 대회는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다.


  • 월드 챔피언십(Worlds)은 매년 가을에 개최되는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최고 권위의 대회이며, 전 세계 각 지역 리그의 상위 팀들이 참가하여 세계 최강팀을 가린다.


시즌 1 월드 챔피언십은 2011년 6월 스웨덴 드림핵에서 개최되었으며, 유럽 팀 Fnatic이 우승하여 5만 달러의 상금을 받았다.[3] 160만 명 이상이 시청했다.[4]

시즌 2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2012년 10월 13일, 대만의 타이페이 어새신즈(TPA)가 Azubu Frost(아주부 프로스트)를 3대 1로 꺾고 우승하여 100만 달러의 상금을 차지했다.[7]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LAN 기반 클라이언트가 긴급 개발되어 사용되었다.[6]

SK Telecom T1 (SK텔레콤 T1)이 2013년 월드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2013년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한국 팀 SK Telecom T1(SK텔레콤 T1)이 중국 팀 Royal Club을 꺾고 우승하여 100만 달러를 획득했다.[8]

2014년과 2015년 토너먼트는 각각 230만 달러의 총 상금을 기록했다. 2015년 10월, SK텔레콤 T1은 독일 베를린에서 한국 팀인 KOO 타이거즈를 3대 1로 꺾고 최초로 2회 우승을 달성했다.[15][16]

2016년 월드 챔피언십의 총 상금은 500만 달러가 넘었다. SK텔레콤 T1은 삼성 갤럭시를 꺾고 2016년에 다시 우승하며 최초 3회 우승 기록을 세웠다.[17]

2017년 토너먼트는 중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삼성 갤럭시가 베이징 국가 체육장에서 SK텔레콤 T1을 3:0으로 꺾고 우승하여 180만 달러를 획득했다.[20]

2018년 토너먼트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인빅터스 게이밍이 인천 문학경기장 주경기장에서 프나틱을 3:0으로 꺾고 우승하여 240만 달러를 획득했다.[22] 이는 중국팀의 첫 우승이었다.

2019년 토너먼트는 유럽에서 개최되었으며, 펀플러스 피닉스가 G2 e스포츠를 3:0으로 꺾고 우승하여 약 80만 달러를 획득했다.[23][24]

2020년 토너먼트는 중국에서 개최되었으며, 결승전은 푸둥 축구 경기장에서 열렸다.[26]

2021년 토너먼트는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개최되었으며, 에드워드 게이밍이 담원 기아를 꺾고 우승했다.[27]

2022년 토너먼트는 미국과 멕시코에서 개최되었다.[28] DRXT1을 꺾고 우승하며,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시작해 우승한 최초의 팀이 되었다.[29]

2023년 토너먼트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T1과 페이커가 웨이보 게이밍을 3:0으로 꺾고 네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31] 결승전은 640만 명의 최고 동시 시청자 수를 기록했다.[32]

3. 1.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MSI)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MSI)은 2015년부터 배급사 라이엇 게임즈가 주최하는 연례 리그 오브 레전드 토너먼트이다.[33][34] 각 지역 스프링 스플릿 우승팀들이 참가하는 국제 대회로, 월드 챔피언십 다음으로 중요한 국제 리그 오브 레전드 토너먼트로 간주된다.

3. 2. 월드 챔피언십 (Worlds)

월드 챔피언십(Worlds)은 매년 가을에 개최되는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최고 권위의 대회이며, 전 세계 각 지역 리그의 상위 팀들이 참가하여 세계 최강팀을 가린다.

시즌 1 월드 챔피언십은 2011년 6월 스웨덴 드림핵에서 개최되었으며, 유럽 팀 Fnatic이 우승하여 5만 달러의 상금을 받았다.[3] 160만 명 이상이 시청했다.[4]

시즌 2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2012년 10월 13일, 대만의 타이페이 어새신즈(TPA)가 Azubu Frost(아주부 프로스트)를 3대 1로 꺾고 우승하여 100만 달러의 상금을 차지했다.[7]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LAN 기반 클라이언트가 긴급 개발되어 사용되었다.[6]

2013년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한국 팀 SK Telecom T1(SK텔레콤 T1)이 중국 팀 Royal Club을 꺾고 우승하여 100만 달러를 획득했다.[8]

2014년과 2015년 토너먼트는 각각 230만 달러의 총 상금을 기록했다. 2015년 10월, SK텔레콤 T1은 독일 베를린에서 한국 팀인 KOO 타이거즈를 3대 1로 꺾고 최초로 2회 우승을 달성했다.[15][16]

2016년 월드 챔피언십의 총 상금은 500만 달러가 넘었다. SK텔레콤 T1은 삼성 갤럭시를 꺾고 2016년에 다시 우승하며 최초 3회 우승 기록을 세웠다.[17]

2017년 토너먼트는 중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삼성 갤럭시가 베이징 국가 체육장에서 SK텔레콤 T1을 3:0으로 꺾고 우승하여 180만 달러를 획득했다.[20]

2018년 토너먼트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인빅터스 게이밍이 인천 문학경기장 주경기장에서 프나틱을 3:0으로 꺾고 우승하여 240만 달러를 획득했다.[22] 이는 중국팀의 첫 우승이었다.

2019년 토너먼트는 유럽에서 개최되었으며, 펀플러스 피닉스가 G2 e스포츠를 3:0으로 꺾고 우승하여 약 80만 달러를 획득했다.[23][24]

2020년 토너먼트는 중국에서 개최되었으며, 결승전은 푸둥 축구 경기장에서 열렸다.[26]

2021년 토너먼트는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개최되었으며, 에드워드 게이밍이 담원 기아를 꺾고 우승했다.[27]

2022년 토너먼트는 미국과 멕시코에서 개최되었다.[28] DRXT1을 꺾고 우승하며,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시작해 우승한 최초의 팀이 되었다.[29]

2023년 토너먼트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T1과 페이커가 웨이보 게이밍을 3:0으로 꺾고 네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31] 결승전은 640만 명의 최고 동시 시청자 수를 기록했다.[32]

3. 2. 1. 역대 월드 챔피언십

시즌 1 월드 챔피언십은 2011년 6월 스웨덴 드림핵에서 개최되었으며, 유럽 팀 Fnatic이 우승하여 5만 달러의 상금을 받았다.[3] 160만 명 이상이 시청했다.[4]

시즌 2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2012년 10월 13일, 대만의 타이페이 어새신즈 (TPA)가 Azubu Frost (아주부 프로스트)를 3대 1로 꺾고 우승하여 100만 달러의 상금을 차지했다.[7]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LAN 기반 클라이언트가 긴급 개발되어 사용되었다.[6]

2013년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한국 팀 SK Telecom T1 (SK텔레콤 T1)이 중국 팀 Royal Club을 꺾고 우승하여 100만 달러를 획득했다.[8]

2014년과 2015년 토너먼트는 각각 230만 달러의 총 상금을 기록했다. 2015년 10월, SK텔레콤 T1은 독일 베를린에서 한국 팀인 KOO 타이거즈를 3대 1로 꺾고 최초로 2회 우승을 달성했다.[15][16]

2016년 월드 챔피언십의 총 상금은 500만 달러가 넘었다. SK텔레콤 T1은 삼성 갤럭시를 꺾고 2016년에 다시 우승하며 최초 3회 우승 기록을 세웠다.[17]

2017년 토너먼트는 중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삼성 갤럭시가 베이징 국가 체육장에서 SK텔레콤 T1을 3:0으로 꺾고 우승하여 180만 달러를 획득했다.[20]

2018년 토너먼트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인빅터스 게이밍이 인천 문학경기장 주경기장에서 프나틱을 3:0으로 꺾고 우승하여 240만 달러를 획득했다.[22] 이는 중국팀의 첫 우승이었다.

2019년 토너먼트는 유럽에서 개최되었으며, 펀플러스 피닉스가 G2 e스포츠를 3:0으로 꺾고 우승하여 약 80만 달러를 획득했다.[23][24]

2020년 토너먼트는 중국에서 개최되었으며, 결승전은 푸둥 축구 경기장에서 열렸다.[26]

2021년 토너먼트는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개최되었으며, 에드워드 게이밍이 담원 기아를 꺾고 우승했다.[27]

2022년 토너먼트는 미국과 멕시코에서 개최되었다.[28] DRXT1을 꺾고 우승하며,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시작해 우승한 최초의 팀이 되었다.[29]

2023년 토너먼트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T1과 페이커가 웨이보 게이밍을 3:0으로 꺾고 네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31] 결승전은 640만 명의 최고 동시 시청자 수를 기록했다.[32]

3. 3. 퍼스트 스탠드 (First Stand)

퍼스트 스탠드(First Stand)는 2025년부터 시작되는 새로운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국제 대회이다. 각 지역 리그의 스프링 스플릿 종료 시점에 개최될 예정이다. 첫 대회는 2025년 3월 10일부터 16일까지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한 LoL 파크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이 토너먼트는 중국의 LoL 개발 리그(LDL)에서 인기를 얻은 '피어리스 드래프트' 방식을 활용한다. 피어리스 드래프트는 한 게임에서 선택된 챔피언을 해당 시리즈의 나머지 게임에서 다시 선택할 수 없는 방식이다. 이러한 독특한 경기 방식을 채택하여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2025

3. 4. 기타 국제 대회 (폐지)

리프트 라이벌즈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개최된 지역 대항전 형식의 국제 대회였다. 2019년 대회를 끝으로 폐지되었다.

올스타전은 2013년부터 2020년까지 개최된 이벤트성 국제 대회였다. 각 지역 리그에서 팬 투표를 통해 선발된 선수들이 참가하여 다양한 게임 모드를 즐기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020년 대회를 끝으로 폐지되었다.

4. 기타

4. 1. LoL e스포츠 매니저

참조

[1] 뉴스 Behind League of Legends, E-Sports's Main Attraction https://www.nytimes.[...] 2014-10-10
[2] 웹사이트 How Videogames Became a Sport, and Why They're Here to Stay (Hint: Money!) https://techvibes.co[...]
[3] 웹사이트 FnaticMSI.LoL are DHS Champions! Winning $50,000 https://web.archive.[...] FNATIC.com 2011-12-07
[4] 웹사이트 The Escapist : News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Draws 1.69 Million Viewers http://www.escapistm[...] The Escapist 2011-12-07
[5] 웹사이트 League of Legends Season 2 https://web.archive.[...] 2011-12-31
[6] 웹사이트 Riot announces LAN client for Season 2 Finals http://www.gamespot.[...] 2012-10-13
[7] 웹사이트 Taipei Assassins triumph in 'League of Legends' world finals http://www.nbcnews.c[...] 2012-10-14
[8] 웹사이트 League of Legends 2013 World Championship winner crowned http://www.polygon.c[...] 2014-02-02
[9] 웹사이트 League of Legends http://www.gamespot.[...] 2015-01-04
[10] 웹사이트 Forms http://www.uscis.gov[...] Uscis.gov 2015-01-04
[11] 웹사이트 Marcel 'dexter1' Feldkamp's Visa cancelled, CLG left without a starting jungler https://web.archive.[...] 2017-07-28
[12] 웹사이트 theScore eSports http://www.thescoree[...]
[13] 웹사이트 Behind League of Legends, E-Sports’s Main Attraction https://www.nytimes.[...] 2014-10-12
[14] 웹사이트 32 million people watched League of Legends Season 3 World Championships http://www.gamespot.[...] CBS Interactive 2014-07-21
[15] 웹사이트 SKT rises above KOO Tigers 3-1 to become the 2015 World Champion https://web.archive.[...] Riot Games 2017-07-28
[16] 웹사이트 SK Telecom T1 becomes first two-time 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team http://www.polygon.c[...]
[17] 웹사이트 Update: Fan Contributions to Worlds Prize Pool http://www.lolesport[...] League of Legends 2016-11-04
[18] 웹사이트 Fans have contributed a staggering $1.4 million to the MSI prize pool https://dotesports.c[...] 2022-05-06
[19] 웹사이트 Riot will match 25 percent of Championship Ashe sales and donate it to charity https://dotesports.c[...] 2022-05-06
[20] 웹사이트 Samsung Galaxy wins the 2017 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s https://www.rifthera[...] 2022-05-06
[21] 웹사이트 The 2018 League of Legends World Finals had nearly 100 million viewers https://www.rifthera[...] 2022-05-06
[22] 웹사이트 Korea's T1 win record fourth League of Legends world title https://www.koreatim[...] 2023-11-20
[23] 웹사이트 FunPlus Phoenix sweep G2 Esports to win 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https://www.espn.com[...] 2022-05-06
[24] 웹사이트 FunPlus Phoenix share picks for 2019 World Champion skins https://win.gg/news/[...] 2022-05-06
[25] 웹사이트 Introducing LoL Esports Manager https://nexus.league[...] 2024-10-24
[26] 웹사이트 Worlds 2020 finals to welcome over 6,000 attendees in Pudong Stadium with free seats https://dotesports.c[...] 2022-05-06
[27] 웹사이트 Worlds 2021 Location and Format Announcement https://lolesports.c[...] Riot Games 2022-06-27
[28] 웹사이트 League of Legends Worlds 2022 Dates and Seeding https://lolesports.c[...] 2022-07-22
[29] 뉴스 DRX beats T1 to win 2022 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https://www.washingt[...] 2022-11-05
[30] 웹사이트 LoL Worlds 2023: How does the Swiss-style format work? https://dotesports.c[...] 2023-10-23
[31] 웹사이트 iG sweeps Fnatic to win Worlds 2018 https://www.espn.com[...] 2022-05-06
[32] 웹사이트 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2023 breaks esports viewership record https://esportsinsid[...] 2023-11-21
[33] 웹사이트 The Mid-Season Invitational Power Rankings https://www.espn.com[...] ESPN Inc. 2016-05-11
[34] 웹사이트 League Midseason Invitational day one recap https://web.archive.[...] 2016-05-11
[35] 웹사이트 The NA LCS is changing its name and returning on Jan. 26 2019 https://www.rifthera[...] 2018-12-14
[36] 뉴스 League of Legends reveals teams and format for new Americas league, the LTA https://esportsinsid[...] 2024-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