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키아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키아 문자는 29개의 음소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 문자 체계로, 일부 문자는 여러 개의 기호로 표현된다. 이 문자는 서부 그리스 문자를 기반으로 하며, 6개의 모음 문자와 4개의 비음 모음을 나타내는 문자를 포함한다. 리키아 문자는 고유한 숫자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유니코드 5.1 버전에 추가되어 U+10280~U+1029F 범위에 인코딩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키아 - 루가
루가는 신약성서의 루가복음서와 사도행전 저자이자 바울의 동료였으며, 예수의 삶과 초기 기독교 공동체 역사를 기록하고 최초로 성모 마리아를 그린 화가로도 전해진다. - 리키아 - 룩카
룩카는 고대 아나톨리아 남서부에 위치했던 지역으로, 히타이트 제국과 복잡한 관계를 맺으며 침략과 반란을 반복했고, 해양 민족의 일원으로서 고대 이집트와 동지중해를 침략하기도 했다. - 쓰이지 않는 문자 - 서하 문자
서하 문자는 1036년 야리인영이 창제한 약 6,000자로 구성된 서하 왕조의 고유 문자 체계로, 한자의 영향을 받았지만 독자적인 구조를 지니며 정부 공식 문서 및 불경 번역 등에 사용되었고, 서하 멸망 후에도 사용 기록이 있으며, 현재 유니코드에 6,145자 이상이 등재되어 일부 글자에는 중국에 대한 대항 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 쓰이지 않는 문자 - 팔라바 문자
팔라바 문자는 타밀 브라흐미 문자를 기반으로 팔라바 왕조 시대에 만들어졌으며, 동남아시아로 전파되어 둥근 획과 직사각형 획을 결합한 서예적 특징을 가지며, 칸나다 문자와 텔루구 문자의 초기 형태에 영향을 미쳤다. - 음소 문자 - 룬 문자
룬 문자는 고대 게르만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문자 체계로, 그리스 문자와 라틴 문자의 영향을 받았으며, 주로 나무나 돌에 새겨졌고, 여러 변형이 존재하며, 유니코드에도 포함되어 있다. - 음소 문자 - 에트루리아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는 기원전 8세기경 서방 그리스 문자를 바탕으로 에트루리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26자에서 시작하여 에트루리아어에 맞게 변형되었고, 라틴 문자를 비롯한 여러 고대 이탈리아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
리키아 문자 | |
---|---|
개요 | |
![]() | |
종류 | 알파벳 |
언어 | 리키아어 |
사용 시기 | 기원전 6세기 - 기원전 4세기 (500 – 200 BC) |
계통 |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 그리스 문자(쿠마에 문자), 리디아 문자의 영향을 받음 |
자매 문자 | 카리아 문자, 리디아 문자, 프리지아 문자 |
유니코드 | U+10280–U+1029F |
ISO 15924 | Lyci |
2. 알파벳
리키아 문자[1][2]는 29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6개의 모음 문자와 23개의 자음 문자가 있다. 일부 문자는 그리스 문자에서 차용되었으나, 리키아어의 음운 체계에 맞게 변형되거나 새로운 문자가 추가되었다. 리키아 문자는 서부 그리스 문자를 따르고 있지만, 일부 문자의 음가는 다르다.
2. 1. 문자 목록
리키아 문자[1][2]는 29개의 음소를 위한 문자를 포함하고 있다. 일부 음소는 둘 이상의 기호로 표시되며, 이는 하나의 "문자"로 간주된다. 리키아어에는 6개의 모음 문자가 있는데, 각 모음은 4개의 구강 모음 중 하나에 해당하며, 4개의 비음 모음 중 2개에 대해 별도의 문자가 있다. 리키아 문자의 9개는 그리스 문자에서 파생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리키아 문자 | 음역 | IPA | 비고 |
---|---|---|---|
𐊀 | a | [a] | |
𐊂 | b | [β] | |
𐊄 | g | [ɣ] | |
𐊅 | d | [ð] | |
𐊆 | i | [i], [ĩ] | |
𐊇 | w | [w] | |
𐊈 | z | [t͡s] | |
𐊛 | h | [h] | |
𐊉 | θ | [θ] | |
𐊊 | j or y | [j] | |
𐊋 | k | [kʲ] | 비음 뒤에 [ɡʲ] |
𐊍 | l | [l], [l̩]~[əl] | |
𐊎 | m | [m] | |
𐊏 | n | [n] | |
𐊒 | u | [u], [ũ] | |
𐊓 | p | [p] | 비음 뒤에 [b] |
𐊔 | κ or c | [k]?, [kʲ]?, [h(e)] | |
𐊕 | r | [r], [r̩]~[ər] | |
𐊖 | s | [s] | |
𐊗 | t | [t] | 비음 뒤에 [d]. ñt는 𐊑𐊗𐊁𐊎𐊒𐊜𐊍𐊆𐊅𐊀 / (그리스어 Δημοκλείδηςel / )이다.[3] |
𐊁 | e | [e] | |
𐊙 | ã | [ã] | 𐊍𐊒𐊖𐊙𐊗𐊕𐊀xlc / (그리스어 Λύσανδροςel / ).[4] |
𐊚 | ẽ | [ẽ] | |
𐊐 | m̃ | [m̩], [əm], [m.] | 원래는 음절을 이루는 [m]이었을 것이며, 이후 종성 [m]이 되었다. |
𐊑 | ñ | [n̩], [ən], [n.] | 원래는 음절을 이루는 [n]이었을 것이며, 이후 종성 [n]이 되었다. |
𐊘 | τ | [tʷ]?, [t͡ʃ]? | |
𐊌 | q | [k] | 비음 뒤에 [ɡ] |
𐊃 | β | [k]?, [kʷ]? | 비음 뒤에서 유성음화 |
𐊜 | χ | [q] | 비음 뒤에 [ɢ] |
2. 2. 특이 사항
리키아 문자[1][2]는 29개의 음소를 위한 문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일부 음소는 둘 이상의 기호로 표시되는데, 이는 하나의 "문자"로 간주된다. 리키아어에는 6개의 모음 문자가 있는데, 이 중 4개는 구강 모음이고, 2개는 비음(nasal vowels)을 나타내는 별도의 문자이다. 리키아 문자의 9개는 그리스 문자에서 파생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부 문자의 음가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예를 들어, 'κ'의 음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알파벳은 서부 그리스 문자를 따르고 있지만, 일부 문자의 음가는 다르다. 예를 들어, 그리스 문자 'Β'는 [b] 음가를 가지지만, 리키아 문자 '𐊃'는 [k] 또는 [kʷ] 음가를 가진다.3. 숫자
리키아 문자는 다음과 같은 숫자 기호를 사용한다. I (수직선)은 1, < ("작다" 기호) (또는 드물게 L, C, V, Y)는 5, O (원)는 10을 나타내며, 가로선 —은 1/2을 의미한다.[5] H와 비슷한 기호는 100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6]
따라서 128½는 HOO
4. 유니코드
리키아 문자는 2008년 4월 유니코드 5.1 버전에 추가되었으며, U+10280에서 U+1029F까지의 유니코드 블록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