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거릿 화이트헤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거릿 화이트헤드는 영국의 공중 보건 연구자이다. 요크 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하고, 에든버러에서 발생학을 연구했다. 스코틀랜드 보건교육 부서에서 공중 보건 분야에 종사했으며, 1980년대에는 프리랜서 연구자로 활동했다. 건강 불평등과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를 주로 진행했으며, 달그렌-화이트헤드 건강 모형을 제시했다. 세계보건기구 유럽지부에서 건강 형평성 연구를 담당했고, 리버풀 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건강 형평성 결정요인에 관한 정책연구센터의 장을 맡고 있다. 2016년 공중 보건 기여로 대영 제국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유엔 직원 - 존 보이드 오어
    존 보이드 오어는 스코틀랜드의 교육자, 의사, 생물학자, 정치인, 기업가로서, 동물 영양학 연구로 로웻 연구소를 설립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식량 배급 수립에 기여했으며, 유엔 식량농업기구 초대 사무총장으로서 세계 식량 문제 해결에 헌신하여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 영국의 유엔 직원 - 줄리언 헉슬리
    줄리언 헉슬리는 영국의 생물학자이자 인본주의자, 국제주의자, 대중 과학 저술가로,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동물학을 전공하고 런던 동물학회 서기, 유네스코 초대 사무총장을 역임하며 현대 진화론 종합에 기여했고, 《생명의 과학》 등 대중 과학 서적을 저술하여 과학 지식을 널리 알렸다.
  • 세계 보건 기구 직원 - 김선민 (의료인)
    대한민국의 의료인 출신 정치인 김선민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원장을 역임하고 조국혁신당 비례대표로 제22대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현재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와 여성가족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세계 보건 기구 직원 - 카를로 우르바니
    카를로 우르바니는 이탈리아의 의사이자 감염병 전문가로, 세계보건기구에서 활동하며 2003년 SARS의 확산을 막는 데 기여했으며, SARS에 감염되어 사망했으나 그의 신속한 대응은 SARS 종식에 기여했다.
  • 영국의 대학 교수 - 앨런 튜링
    앨런 튜링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에니그마 암호 해독에 기여하고 컴퓨터 과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영국의 수학자, 컴퓨터 과학자이며, 동성애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 영국의 대학 교수 - 윌리엄 헨리 브래그
    윌리엄 헨리 브래그는 X선 분광기를 발명하고 X선 결정학을 창시하여 191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과학 발전과 교육에 기여한 영국의 물리학자이다.
마거릿 화이트헤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거릿 화이트헤드
본명마거릿 맥래 화이트헤드
출생일1948년 9월 28일
출생지영국 리버풀
직업공중 보건학 교수
학력 및 경력
소속리버풀 대학교 집단 건강 연구소
출신 대학요크 대학교
주요 업적
주요 업적달그렌-화이트헤드 건강 모형
수상
수상대영 제국 훈장 2등급 (2016년)

2. 생애

요크 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하여 졸업하였다.[9] 이후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edical Research Council) 소속으로 에든버러에서 발생학을 연구하였다.[10]

1970년대 중반에는 스코틀랜드의 보건내무부(Scottish Home and Health Department) 산하 보건교육 부서로 자리를 옮겨 공중보건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다. 정부기관을 떠난 후 1980년대 동안에는 프리랜서 연구자로 활동하였다.[11]

1986년 1월, 영국 보건교육위원회의 요청으로 블랙 보고서의 근거를 보완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구 결과는 1987년 3월 ''The Health Divide''라는 책으로 출판되었다.[11] 1989년에는 세계보건기구(WHO) 유럽지부의 건강정책연구소(WHO European Centre for Health Policy)에서 건강 형평성 분야 연구를 담당하였다.[10]

이를 바탕으로 1990년 논문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Equity and Health〉를 발표하고, 1991년에는 책 《''Policies and strategies to promote social equity in health''》을 저술하며 건강 형평성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12]

1999년 리버풀 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2005년부터는 세계보건기구의 지원을 받는 건강 형평성 결정요인에 관한 정책연구센터(WHO Collaborating Centre for Policy Research on Determinants of Health Equity)의 장을 맡고 있다.[13]

2016년 공중보건 분야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대영 제국 훈장 2등급(DBE)을 수훈하고 여경(Dame) 칭호를 받았다.[9]

3. 연구 분야

마거릿 화이트헤드는 주로 영국유럽을 중심으로 건강 불평등과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예란 달그렌 Göran Dahlgrensv과 함께 개발한 달그렌-화이트헤드 건강모형은 사회생태학적 이론에 기반하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설명하는 중요한 틀로 평가받는다.[14][15]

화이트헤드의 연구는 오랫동안 건강 및 의료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 및 전략 평가에 중점을 두어 왔다. 또한 질병의 사회적 원인과 그로 인한 사회경제적 결과(소득 감소, 사회적 고립, 낙인 등)를 탐구하며, 보건 및 사회 시스템이 이러한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그는 연구 결과를 실제 정책 결정과 공중 보건 실천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지식 전달 방법 모색에도 힘쓰고 있다.

3. 1. 건강 불평등 연구

화이트헤드는 영국유럽을 중심으로 건강 불평등과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예란 달그렌(Göran Dahlgren)과 공동으로 제시한 달그렌-화이트헤드 건강모형(Dahlgren-Whitehead Model)은 사회생태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개괄적 설명을 시도하였다.[14][15]

오랫동안 건강 불평등과 의료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 및 전략 평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현재 마거릿 화이트헤드가 이끄는 연구 프로그램은 질병의 사회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건강 불평등으로 이어지는 사회적 경로와, 건강 불평등으로부터 벗어나는 사회적 경로를 추적하며, 이는 더욱 효과적인 보건 및 사회 정책 개발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연구한다. 이 프로그램은 질병의 사회적 원인뿐만 아니라, 소득 및 고용 기회 감소, 사회적 고립, 특정 질환과 관련된 낙인 등 만성 질환으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도 탐구한다. 국제 협력자들과 함께, 그녀의 연구는 보건 및 사회 복지 시스템 자체가 질병의 부정적인 결과를 줄이거나 악화시키는 방식과, 상황 개선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 그녀는 지식 전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정책 결정 및 공중 보건 실천에 가장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 증거를 전달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3. 2. 질병의 사회적 측면 연구

화이트헤드는 영국유럽을 중심으로 건강 불평등과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예란 달그렌과 공동으로 제시한 달그렌-화이트헤드 건강모형(Dahlgren-Whitehead Model)은 사회생태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개괄적 설명을 시도하였다.[14][15]

오랫동안 건강 불평등과 의료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 및 전략 평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현재 마거릿 화이트헤드가 이끄는 연구 프로그램은 질병의 사회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연구는 특히 건강 불평등으로 이어지는 사회적 경로와, 건강 불평등으로부터 벗어나는 사회적 경로를 추적하며, 이를 통해 더욱 효과적인 보건 및 사회 정책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 프로그램은 질병의 사회적 원인뿐만 아니라, 소득 및 고용 기회 감소, 사회적 고립, 특정 질환과 관련된 낙인 등 만성 질환으로 인한 부정적인 사회경제적 결과도 탐구한다. 국제 협력자들과 함께 진행하는 연구는 보건 및 사회 복지 시스템 자체가 질병의 부정적인 결과를 줄이거나 악화시키는 방식을 분석하고, 상황 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화이트헤드는 연구 결과를 정책 결정 및 공중 보건 실천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식 전달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3. 3. 지식 전달 및 정책 활용

마거릿 화이트헤드는 오랫동안 건강 불평등과 의료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과 전략을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해 왔다. 현재 화이트헤드가 이끄는 연구 프로그램은 질병의 사회적 측면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건강 불평등으로 이어지거나 또는 그로부터 벗어나는 사회적 경로를 추적하며, 이를 바탕으로 더 효과적인 보건 및 사회 정책을 개발하는 데 연구 결과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탐구한다.

이 연구 프로그램은 질병의 사회적 원인뿐만 아니라, 만성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득 및 고용 기회 감소, 사회적 고립, 특정 질환과 관련된 낙인 등 부정적인 사회경제적 결과까지 폭넓게 다룬다. 또한 국제적인 공동 연구를 통해, 각국의 보건 및 사회 복지 시스템이 질병으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를 완화하거나 혹은 악화시키는 방식을 분석하고,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화이트헤드는 연구 결과를 실제 정책 결정 과정과 공중 보건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데 큰 중요성을 부여한다. 그는 지식 전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연구를 통해 얻어진 증거들이 가장 유용한 방식으로 정책 입안자들과 실무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4. 주요 저서


  • Evans T, Whitehead M, Diderichsen F, Bhuiya A, Wirth M. (eds.) ''Challenging Inequities in Health: From Ethics to Actioneng''.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01. ISBN 9780195137408.

5. 훈장

화이트헤드는 공중 보건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6년 신년 명예 훈장에서 대영 제국 훈장 여성 사령관(DBE)으로 임명되었다.[7]

참조

[1] 웹사이트 Margaret Whitehead, about http://www.liv.ac.uk[...]
[2] 웹사이트 WHO Collaborating Centre for Policy Research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Margaret Whitehead http://www.liv.ac.uk[...] 2015-12-30
[3] 웹사이트 Margaret Whitehead, research http://www.liv.ac.uk[...]
[4] 웹사이트 Record of Testimony, Health Inequality - Health Committee https://publications[...] UK House of Commons 2014-05-13
[5] 웹사이트 Concepts and principles for tackling social inequities in health: Levelling up Part 1 http://www.euro.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12-30
[6] 웹사이트 Margaret Whithead, academic roles http://www.liv.ac.uk[...] 2015-12-30
[7] 간행물 London Gazette 2015-12-30
[8] 웹사이트 Margaret Whitehead - University of Liverpool https://web.archive.[...] 2019-01-06
[9] 웹인용 Women in medicine: Margaret Whitehead and Rosemary Rue https://www.rcplondo[...] 2019-09-16
[10] 웹인용 “The poorer health of poorer people.”: Dame Margaret Whitehead https://apps.who.int[...] 2019-09-16
[11] 웹인용 It was the best of times, it was the worst of times: David Player against the ‘anti-health forces’ https://betterhealth[...] The Faculty of Public Health 2019-09-16
[12] 논문 Theorising inequalities in health: the place of lay knowledge https://sites.google[...] 2019-09-16
[13] 웹인용 WHO Collaborating Centres Global database http://apps.who.int/[...] 2019-09-16
[14] 논문 Theorising inequalities in health: the place of lay knowledge https://onlinelibrar[...] 2019-09-16
[15] 논문 여성의 건강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환경적 요인 분석 https://www.cdc.go.k[...] 질병관리본부 (대한민국) 2019-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