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차푸차레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차푸차레산은 네팔어로 "물고기 꼬리"를 의미하며, "피시테일 산"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는 산이다. 안나푸르나 산괴의 남쪽에 위치하며, 간다키 주의 포카라에서 북쪽으로 약 25km 떨어져 있다. 이 산은 뾰족한 윤곽과 이중 정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구룽족과 촘롱 사람들에게 신성한 산으로 여겨진다. 1957년 영국 팀이 등반을 시도했으나, 네팔 국왕의 명령에 따라 정상 등반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후 등반 허가가 발급되지 않았으며, 1980년대 초 뉴질랜드 등반가가 불법적으로 등반했다는 보고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의 영봉 - 칸첸중가산
    칸첸중가산은 네팔과 인도 국경에 위치한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산으로, '눈의 다섯 보물 창고'라는 뜻을 가지며 현지인들에게 신성한 산으로 숭배받고, 다양한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생태 관광의 중심지이며, 1955년 첫 등정 이후 트레킹 명소이자 신화와 문학 작품의 소재로 활용된다.
  • 힌두교 명산 - 카일라스산
    카일라스산은 중국 티베트 자치구에 위치한 해발 6,638m의 강디세 산맥 봉우리로, 여러 종교의 성지이며 주요 강의 발원지이고 등반이 금지되어 있다.
  • 힌두교 명산 - 난다 데비
    난다 데비는 인도 히말라야에 위치한 인도에서 가장 높은 이중봉 산군으로, 가파른 지형과 신성시되는 산이라는 특징을 가지며, 최초 등정 후 여러 사건을 거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나,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겪고 있다.
  • 히말라야산맥의 6000미터 봉우리 - 아마다블람
    네팔 쿰부 지역의 아마다블람은 '어머니의 보석 상자'라는 뜻을 가진 아름답지만 등반이 매우 어려운 봉우리로, 1961년 뉴질랜드 팀에 의해 초등된 이후 많은 등반가들의 도전을 받고 있다.
  • 히말라야산맥의 6000미터 봉우리 - 난다코트산
    난다 코트는 핀다리 칸다를 통해 생츄어리 벽과 연결된 해발 5,269m의 산으로, 핀다르 강과 고리 강 계곡 사이의 분할선을 형성하며, 1936년 일본 팀이 최초로 정상 등반에 성공했다.
마차푸차레산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차푸차레
마차푸차레
다른 이름피시테일 산 (Fishtail Mountain)
어원네팔어로 "마차푸츠레(माछापुच्छ्रे)"는 물고기 꼬리를 의미한다.
언어네팔어
구룽어
로마자 표기machapuchure
구룽어 표기कतासुँ क्लिको
지리
위치네팔 중북부
산맥안나푸르나 산맥
좌표28°29′42″N 83°56′57″E
높이6,993m
봉우리 높이1,233m
등반 정보
첫 등반등반 금지
등반 금지 사유미등정 (등반 불허)

2. 명칭

마차푸차레는 네팔어로 "물고기 꼬리"를 의미하며, 이를 영어로 번역한 "피시테일 산"(Fishtail Mountain)이라는 별명이 있다. 네팔어를 라틴 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의 차이 때문에 Machhapuchare, Machhapuchchhre, Machhapuchhre 등 다양한 표기가 존재한다.

3. 지리적 특징

마차푸차레는 안나푸르나 산괴의 주요 산등성이에서 남쪽으로 뻗어 나온 긴 능선의 끝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안나푸르나 보호구역의 동쪽 경계를 형성한다. 이 봉우리는 간다키 주의 주도인 포카라에서 북쪽으로 약 25km 떨어져 있다.

3. 1. 지형

산기슭에서 본 마차푸차레


마차푸차레는 안나푸르나 히말라야 산맥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10개의 봉우리 중 3개를 포함하는 저지대가 산맥 남쪽에 자리 잡고 있어, 짧은 수평 거리 내에서 엄청난 수직적 고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지형적 특징은 가파르고 뾰족한 윤곽과 결합되어, 주변 봉우리보다 고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특히 눈에 띄는 봉우리를 만든다.

봉우리의 이중 정상은 물고기 꼬리를 닮았으며, 이로 인해 네팔어로 "물고기의 꼬리"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또한 "네팔의 마터호른"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마차푸차레는 안나푸르나 산맥의 주맥에서 남쪽으로 뻗어 있는 긴 지맥의 끝에 위치해 있다. 이 지맥은 Annapurna Sanctuary|안나푸르나 보호구역eng의 동쪽 경계를 이룬다. 안나푸르나 보호구역은 인기 있는 트레킹 장소이며, 안나푸르나 남면에서의 등반 및 다른 산으로의 등반 시 베이스캠프가 설치되는 곳이다. 산 정상은 이 지역의 중심 도시인 포카라에서 북쪽으로 약 25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3. 2. 봉우리 형태

마차푸차레는 안나푸르나 히말라야 산맥 남쪽에 자리 잡고 있다. 이 산맥 남쪽의 저지대 덕분에 짧은 수평 거리 내에서도 매우 큰 수직적 고도 차이를 보여준다. 이러한 지형적 특징과 가파르고 뾰족한 윤곽 때문에 주변 봉우리보다 고도는 낮지만 매우 눈에 띄는 모습을 자랑한다. 봉우리의 이중 정상은 마치 물고기 꼬리처럼 생겼는데, 이 때문에 네팔어로 "물고기의 꼬리"라는 뜻의 '마차푸차레'라는 이름이 붙었다. 또한 "네팔의 마터호른"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이 산은 구룽족과 촘롱 사람들에게 신성한 봉우리로 여겨진다.[2] 또한 시바 신의 거처로서 신성하게 다루어진다.[3]

4. 등반 역사

안나푸르나 베이스 캠프 가는 길에 보이는 마차푸차레


마차푸차레는 공식적으로 정상 등반이 이루어진 적이 없는 산으로 알려져 있다. 유일하게 기록된 공식 등반 시도는 1957년 영국 등반대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네팔 국왕의 요청으로 신성한 정상에는 오르지 않았다.[4] 이 등반 이후 네팔 정부는 마차푸차레에 대한 등반 허가를 더 이상 발급하지 않고 있으며, 이 산은 신성한 곳으로 여겨진다.[7] 다만, 1980년대 초 뉴질랜드의 등반가 빌 덴즈가 허가 없이 등반하여 정상에 올랐다는 비공식적인 보고가 있다.[6][8]

4. 1. 1957년 영국 등반대



마차푸차레는 공식적으로 정상 등반이 이루어진 적이 없는 산으로 알려져 있다. 유일하게 기록된 등반 시도는 1957년 지미 로버츠 중령이 이끈 영국 등반대에 의해 이루어졌다. 당시 마헨드라 국왕은 등반을 허가하면서도 정상에는 오르지 말라는 조건을 달았다.

등반대의 대원이었던 윌프리드 노이스와 A. D. M. 콕스는 북릉을 통해 정상에서 약 150m 못 미친 해발 6947m 지점까지 도달했다.[4] 그들은 국왕과의 약속을 지켜 정상에는 발을 딛지 않았으며, 1년 후 이 등반에 대한 기록을 발표했다. 이 등반 이후 마차푸차레에 대한 등반 허가는 더 이상 발급되지 않고 있다.

한편, 원정 초기에 다른 멤버였던 로저 촐리는 소아마비에 걸려 지미 로버츠의 도움으로 하산하여 치료를 받았다.[5]

1980년대 초, 뉴질랜드의 등반가 빌 덴즈가 허가 없이 등반하여 정상에 올랐다는 비공식적인 보고가 있다.[6][8]

4. 2. 비공식 등반 시도



마차푸차레는 정상 등반이 공식적으로 이루어진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일하게 확인된 등반 시도는 1957년 지미 로버츠 중령이 이끈 영국 팀에 의해 이루어졌다. 등반가 윌프리드 노이스와 A. D. M. 콕스는 북릉을 통해 정상에서 150m 못 미친 해발 6947m 지점까지 도달했다.[4] 당시 마헨드라 국왕은 등반을 허가했지만, 신성한 정상에는 발을 들이지 말 것을 명했다. 노이스와 그의 팀은 국왕의 뜻을 존중하여 등반을 중단했고, 이는 현재까지 유일한 공식 등반 시도 기록으로 남아있다. 원정 초기에 팀원 중 한 명인 로저 촐리는 소아마비에 걸려 지미 로버츠의 도움으로 하산하여 치료를 받았다.[5]

이 등반 이후 마차푸차레에 대한 등반 허가는 더 이상 발급되지 않았다. 이 산은 "신성한 산"으로 여겨지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신을 모시는지는 불분명하다.[7] 그러나 1980년대 초 뉴질랜드의 등반가 빌 덴즈가 불법적으로 등반하여 정상에 도달했다는 보고가 있다.[6][8]

4. 3. 등반 금지



마차푸차레는 정상 등반이 공식적으로 이루어진 적이 없는 산으로 알려져 있다. 유일하게 기록된 등반 시도는 1957년 지미 로버츠 중령이 이끈 영국 원정대에 의해서였다. 등반대원인 윌프리드 노이스와 A. D. M. 콕스는 북쪽 능선을 따라 정상에서 약 약 45.72m (약 46m) 못 미치는 지점, 해발 고도 약 6947m (약 6947.31m)까지 등반했다.[4] 당시 마헨드라 국왕은 등반을 허가하면서도 정상에는 오르지 말 것을 당부했고, 노이스와 그의 팀은 국왕과의 약속을 지켜 정상에는 오르지 않았다. 이 등반은 마차푸차레의 유일한 공식 등반 기록으로 남아있다. 원정 초기에 팀의 다른 멤버였던 로저 촐리는 소아마비에 걸려 지미 로버츠의 도움으로 의료 지원을 받기 위해 하산해야 했다.[5]

1957년 등반 이후 네팔 정부는 마차푸차레에 대한 등반 허가를 더 이상 발급하지 않고 있다. 이 산은 지역 주민들에게 신성한 곳으로 여겨지지만, 어떤 신을 모시는지, 어떤 이유로 신성시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다.[7]

한편, 1980년대 초 뉴질랜드의 등반가 빌 덴즈(Bill Denz)가 허가 없이 불법적으로 등반하여 정상에 올랐다는 비공식적인 보고가 있다.[6][8]

5. 종교적 의미

이 산은 구룽족과 촘롱 사람들에게 신성한 봉우리이다.[2] 이 산은 시바 신의 거처로서 신성하다고 여겨진다.[3]

참조

[1] Peakbagger Machapuchare
[2] 웹사이트 The Himalayan peak off limits to climbers https://www.bbc.com/[...] 2021-02-22
[3] 웹사이트 Mt. Machhapuchhre: Should it be opened for climbing? https://honeyguideap[...] 2015-07-30
[4] 간행물 Climbing the Fish’s Tail https://www.alpinejo[...] 1957
[5] 간행물 Asia, Nepal, Machapuchare http://publications.[...] 1958
[6] 웹사이트 The Untouched Holy Mountain of Nepal https://www.anotherm[...] 2016-07-22
[7] 웹사이트 Mt. Machhapuchhre: Should it be opened for climbing? https://honeyguideap[...] 2015-07-30
[8] 웹사이트 The Untouched Holy Mountain of Nepal https://www.anotherm[...] 2016-07-22
[9] Peakbagger Machapuchare
[10] 웹인용 The Himalayan peak off limits to climbers https://www.bbc.com/[...] 2021-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