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바는 힌두교의 주요 신으로, 파괴와 창조를 관장하며, 힌두교의 삼위일체 중 하나이다. 루드라라는 베다 시대 폭풍과 사냥의 신에서 기원했으며, '친절한'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형용사 '시바'가 루드라의 별칭으로 사용되면서 점차 동일시되었다. 시바는 요가, 명상, 예술과 관련된 다양한 속성과 형태를 가지며, 트리무르티, 시바파, 비슈누파, 샤크티파, 스마르타파 등 힌두교 내 여러 종파에서 숭배된다. 또한, 불교에서는 마헤슈바라 또는 마하칼라로 수용되어 숭배되며, 시크교, 자이나교, 에프탈, 쿠샨 왕조 등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영향을 주고받았다. 마하 시바라트리와 같은 축제를 통해 시바를 숭배하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묘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복의 신 - 번영신학
    번영신학은 기독교의 한 분파로, 믿음과 긍정적 고백을 통해 물질적 번영과 건강을 얻을 수 있다고 가르치며, 헌금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물질적 부를 지나치게 강조하고 가난한 사람들을 착취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트리무르티 - 브라흐마
    브라흐마는 힌두교 삼주신 중 창조를 주관하는 신으로, 우주 시작 시 비슈누의 배꼽에서 솟아난 연꽃에서 태어나 우주를 창조하고 인간의 조상인 프라자파티를 만들었다고 전해지며, 현대에는 인도 외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숭배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 트리무르티 - 비슈누
    비슈누는 힌두교의 주요 신 중 하나로, 유지와 보호를 담당하며 푸른 피부에 네 개의 팔을 가진 남성으로 묘사되고, 각 손에는 순환, 다르마 회복, 권위와 지식, 순수와 초월을 상징하는 물건들을 들고 세상을 구원하기 위해 다양한 모습으로 현신하는 신이다.
시바
기본 정보
Shivoham Shiva Temple, Bangalore, Karnataka에 있는 시바의 조각상
Shivoham Shiva Temple, Bangalore, Karnataka에 있는 시바의 조각상
신앙힌두교
계열트리무르티
이슈바라
파라브라흐만
(샤이비즘에서) 파라마트만
월요일
트라요다시
만트라옴 나마하 시바야
마하므리티윤자야 만트라
역할파괴의 신
무기트리슈라
파슈파타스트라
파라슈
피나카 활
상징링감
초승달
트리푼드라
다마루
바수키
제3의 눈
자녀카르티케야 (아들)
가네샤 (아들)
'다른 자녀 목록'
거주지카일라사
슈마샤나
탈것난디
축제마하 시바라트리
슈라바나
카르틱 푸르니마
프라도샤
티즈
바이 라바 아슈타미
다른 이름바이라바
마하데바
마하칼라
마헤슈바라
파슈파티
루드라
샴부
샹카라
소속트리무르티
배우자사티, 파르바티 및 샥티의 다른 형태들
어원
산스크리트어' (시바) - "길조로운 자"를 의미'
마하데바' (마하데바) - "위대한 신"을 의미'

2. 기원

힌두교의 성전 리그베다에 나오는 폭풍과 사냥의 신 '''루드라'''(रुद्र Rudrasa)가 시바 신의 전신이며, "시바"는 원래 루드라의 별칭이었다. 산스크리트어 형용사 시바(Śiva)는 "친절한"이라는 뜻으로, 《리그베다》에서 루드라를 완곡하게 표현하는 호칭이었다. 루드라는 "친절하다(바람과 비)"는 뜻에서 "시바(Śiva)"로, "난폭하다(폭풍과 폭풍우)"는 뜻에서 "고라(Ghora)"로 불렸는데, 이 중 시바라는 별칭이 주로 사용되었다.[532][533] 이후 시바라는 별칭이 루드라보다 더 널리 사용되었고, 베다 시대 이후, 특히 산스크리트 서사시에서는 두 이름이 동일한 신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져 혼용되었다.

2. 1. 어원 및 다른 이름

시바 신의 기원은 힌두교 경전 리그베다에 등장하는 폭풍과 사냥의 신 '''루드라'''(रुद्र Rudrasa)이다.[532] '시바'라는 이름은 원래 루드라의 별명이었다. 산스크리트어 형용사 시바(Śiva)는 문자 그대로 "친절한"이라는 뜻인데, 《리그베다》에서 루드라를 부르는 완곡한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루드라는 친절하다는 의미에서 "시바(Śiva)"로, 난폭하다는 의미에서 "고라(Ghora)"로 불렸는데, 이 중 시바라는 별칭이 주로 사용되었다.[533] 베다 시대 이후, 특히 산스크리트 서사시에서는 루드라와 시바라는 이름이 동일한 신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져 구분 없이 사용되었다.

모니에르-윌리엄스 산스크리트어 사전에 따르면, ""()는 "상서로운, 길조의, 자비로운, 은혜로운, 친절한, 자애로운, 우호적인"을 의미한다.[7] 민간 어원에서는 의 어원을 "모든 것이 놓여있는 곳, 침투성"을 의미하는 ''śī''와 "은혜의 화신"을 의미하는 ''va''로 해석한다.[7]

시바라는 단어는 리그베다에서 루드라를 포함한 여러 리그베다 신들의 별칭으로 사용되었다.[8] 또한 "해방, 최종적인 해방"과 "상서로운 자"를 의미하며, 이러한 형용사적 용법은 베다 문학에서 많은 신들에게 사용되었다.[7] 이 용어는 서사시와 푸라나에서 베다의 ''루드라-시바''에서 명사 ''시바''로 진화하여 "창조자, 재생산자, 해체자"인 상서로운 신이 되었다.[7]

샤르마는 "상처를 입히다" 또는 "죽이다"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어근 ''-''를 사용하여,[9] 이 이름을 "어둠의 세력을 죽일 수 있는 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산스크리트어 단어 ''''는 "신 시바와 관련된"을 의미하며, 힌두교의 주요 종파 중 하나와 그 종파의 구성원을 모두 지칭하는 산스크리트어 이름이다.

일부 학자들은 시바의 이름을 "빨간색"을 의미하는 타밀어 단어와 연관시키며, 시바가 태양(타밀어로 "붉은 자")과 연결되어 있고 루드라 역시 리그베다에서 ''바브루''(갈색 또는 붉은색)라고 불린다고 언급한다.[11][12] ''비슈누 사하스라나마''는 ''시바''를 "순수한 자"와 "프라크리티(사트바, 라자스, 타마스)의 세 구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자"라는 여러 의미로 해석한다.

시바는 비스와나타(세상의 주), 마하데바, 마한데오, 마하수, 마헤샤, 마헤슈바라, 샹카라, 삼부, 루드라, 하라, 트리로차나, 데벤드라(신의 우두머리), 닐라칸타, 수방카라, 트리로키나타(세 영역의 주),[13][14][15] 그리고 그르네슈와라(자비의 주)와 같은 많은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샤이비즘에서 시바에 대한 최고의 존경심은 그의 별칭 ''''("위대한 신"; '''' "위대한"과 ''deva'' "신"), ''''("위대한 주"; '''' "위대한"과 '''' "주"), 그리고 ''''("최고의 주")에 반영되어 있다.[18]

사하스라나마는 신의 측면과 별칭에서 파생된 천 개의 이름을 나열한 중세 인도의 텍스트이다.[19] 시바의 많은 이름을 나열한 헌신적인 찬가(''스토트라'')인 ''시바 사하스라나마''의 서로 다른 버전이 최소 8개 이상 있다.[20] ''마하바라타''의 13권()에 나타나는 버전이 그러한 목록 중 하나를 제공한다. 시바는 또한 ''마하냐사''에서 발견되는 ''다샤-사하스라나마''(10,000개의 이름)를 가지고 있다. ''스리 루드람 차마캄'', 일명 ''샤타루드리야''는 많은 이름으로 시바를 찬양하는 헌신적인 찬가이다.[21][22]

2. 2. 역사적 발전

힌두교의 성전 리그베다에 나오는 폭풍의 신이자[532] 사냥의 신인 '''루드라'''(रुद्र Rudrasa)가 시바 신의 전신으로, "시바"라는 명칭은 원래 루드라의 별칭이었다. 산스크리트어 형용사 시바(Śiva)는 "친절한(Kind)"이라는 뜻인데, 《리그베다》에서 루드라를 완곡하게 표현하는 호칭으로 사용되었다. 루드라는 "친절하다(Kind: 바람과 비)"는 뜻에서 "시바(Śiva)"로, "난폭하다(Terrible: 폭풍과 폭풍우)"는 뜻에서 "고라(Ghora)"로 불렸는데, 이 중 시바라는 별칭이 주로 사용되었다.[533] 이후 시바라는 별칭이 루드라보다 더 널리 사용되었고, 베다 시대 이후, 특히 산스크리트 서사시에서는 두 이름이 동일한 신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져 혼용되었다.

마하라슈트라 주 엘레판타 석굴에 있는 시바의 고대 조각. 서기 6세기


시바와 관련된 전통은 힌두교 내에서 큰 위치를 차지하며, 인도, 네팔, 스리랑카[262], 인도네시아 (발리 힌두교)와[283] 힌두 문화권 각지에서 신앙을 얻고 있다. 그러나 시바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아 논쟁이 남아 있다.

인더스 계곡 유적 발굴에서 발견된 인장. 결가부좌를 한 요기 (수행자), 혹은 시바라고도 볼 수 있는 의장은 주목을 받았다.


인더스 문명모헨조다로 발굴에서 발견된 인장 중 하나(기원전 2500-2400년경[288])에는 시바의 전신을 연상시키는 인물이 그려져 있어 주목을 받았다.[289] 이 인장에는 뿔을 형상화한 무언가를 몸에 걸치고, 발기한 팔루스 (음경)를 뽐내는 듯한 인물이 동물에 둘러싸여 결가부좌를 한 모습이 그려져 있으며, 모헨조다로의 파슈파티(소의 왕, 짐승의 왕)라고 명명되었다.[290][294][295][296] 소, 팔루스, 요가, 초승달은 모두 시바의 특징이다.

1920년대, 존 마셜을 비롯한 학자들은 이 인장에 그려진 인물이 시바의 전신이라고 주장했다.[299] 마셜은 이 인물이 세 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고, 다리를 꼬고, 요가 자세를 취하고 있다고 해석했다.[299] 그러나 개빈 플러드나 존 케이 같은 연구자들은 이 주장에 회의적이었다. 플러드에 따르면, 소의 뿔처럼 보이는 초승달 형태 등은 시바의 특징을 반영하지만, 인장의 인물이 세 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는지, 요가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 인물을 나타내는 것인지도 분명하지 않다.[289][297] 존 케이는 인물의 디자인이 가진 두 가지 특징이 루드라가 가진 특징과 연결되지 않는다고 하였다.[298] 시바는 시바가 되기 전에 루드라를 거쳤다고 생각된다.

도리스 메스 스리니바산은 1997년에[299], 그레고리 포설도 2002년에[300] 부정적인 의견을 발표했다. 스리니바산은 마셜이 인물이라고 한 인상의 디자인을 사람으로 보지 않고 소로, 아마도 성스러운 버팔로 맨이라고 해석했다.[299] 포설은 인장의 인물이 신이고, 물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어떤 수행을 하고 있다는 생각에는 동의하지만, 시바의 전신으로 보는 것은 무리라고 결론지었다.[300]

시바의 조각상에 묘사된 모습과 신화에서 이야기되는 특징, 그리고 그리스유럽의 신들이 가진 특징과의 유사성에서 시바 신과 인도유럽조어와의 연관성[308][301], 또는 고대 중앙아시아 문화와의 횡단적 교류가 지적되고 있다.[302][303] 예를 들어, 끔찍한 모습으로 묘사되거나 자비로운 모습을 나타내는 등 시바가 가진 양면적인 성질은 그리스 신 디오니소스와 통하는 면이 있다.[304] 둘 다 소, 뱀, 분노, 용맹함, 춤, 낙천적인 성격을 공유한다.[306][305]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의 여러 문헌에서 시바를 "인도의 디오니소스"라고 부르고, 반대로 디오니소스를 "오리엔트의 신"으로 언급한다.[306] 시바에게서 볼 수 있는 남근(남성기)을 상징으로 다루는 관습은 아일랜드, 노르드, 그리스(즉, 디오니소스[307]), 로마의 신들에게서도 볼 수 있으며, 초기의 인도아리아인에게서 보이는 "하늘과 땅을 잇는 기둥"이라는 형태의 상징도 각지에 남아 있다.[308] 한편, 인도아리아인을 기원으로 하는 설에 반대하는 의견도 있으며, 이들은 아리아인이 인도 아대륙에 침입하기 전의 토착 신앙에서 시바의 기원을 찾고 있다.[309]

리그 베다에서는 "시바"라는 단어를 찾을 수 있지만, 이는 "자비로운, 길상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별칭이며, 베다 시대의 여러 신에게 사용되는 수식어 중 하나이다. 베다 시대의 문헌에서는 날씨와 관련되어 무서운 힘을 가진 루드라라는 신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시대가 내려갈수록 이 루드라는 형용사 "시바"를 자주 덧붙이게 되었고, 산스크리트어 "시바"는 루드라를 완곡하게 표현하기 위한 동의어가 되었다. 10-11세기 문헌에서는 시바 신이 말하는 말 속에 "나의 화신인 루드라"라는 표현까지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시바는 루드라와 동일시되었다.[310]

현대 힌두교에서 알려진 시바의 특징은 베다 시대의 루드라가 가진 특징과 많이 공통되고[311], 베다 신화에 등장하는 폭풍우 신 루드라가 시바의 전신으로 여겨진다.[312] 『리그베다』(기원전 1700-1100년[313])에는 1,028개의 찬가가 수록되어 있는데, 그 중 루드라에게 바쳐진 것은 3개에 불과하여, 이 시대에는 마이너한 신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으르렁거리는 폭풍의 신인 루드라는 무서운, 파괴적인 신이라는 특징에 기초하여 묘사된다.[314] 『리그베다』에서는 이색적인 존재이다. 원래 「시바」는 격렬하고 용서 없는 자연 현상이며, 폭풍과 관련된 신 루드라의 이름을 직접 부르지 않기 위한, 「길상자」, 「길상한」을 의미하는 형용사였다[316]。 『리그베다』 10권의 92시에서는 루드라는 거칠고 잔혹한 측면(루드라)과 자비롭고 온화한 측면(시바)의 두 가지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이야기한다[317]。폭풍우는 파괴적인 풍수해를 가져오지만, 동시에 땅에 물을 가져와 식물을 키운다는 이면성이 있다. 이러한 재앙과 은혜를 함께 가져다주는 성격은[318], 후의 시바에게도 계승되고 있다[312]

야주르베다』(기원전 1200-1000년) 이후, 루드라는 종종 「시바」(자비로운, 길상한)로 형용되게 된다. 특히 『야주르베다』에 수록되어 있는 루드라 찬가에서는 루드라에 대해 100개에 달하는 첨칭, 이명이 주어져 칭송되고 있으며[320][321], 이 무렵을 경계로 루드라가 존재감을 더하는 모습이 보인다. 또한, 여기서는 「편재하는 신」이라는, 후의 시바 신과도 통하는 성질도 그려지고 있다. 베다 시대의 문헌에서는 아직 루드라와 관련하여 소나 기타 동물을 바하나 (탈것)으로 하고 있다는 기술은 보이지 않지만, 베다 이후, 예를 들어 『마하바라타』(기원전 9-8세기)나 푸라나 문헌(대략 3-10세기) 등에서는 난딘이 특히 루드라와 시바의 바하나라고 언급되고 있으며, 그들은 명확하게 같은 신격으로 연결되어 있다[322]。이렇게 하여 시바는 최종적으로 파괴와 창조를 관장하며, 무섭고도 온화하며, 그리고 모든 존재를 재생하고 부활시키는 신으로서의 발전을 이루고 있다.

루드라와 불의 신 아그니의 깊은 연관성이 지적되고 있다.[323][324] 아그니와 루드라의 동일성은 니룩타에서 명확히 언급되어 있다. 니룩타는 산스크리트어의 어원에 대해 쓰여진 초기의 문헌으로, 그곳에는 아그니는 루드라라고도 불린다고 적혀 있다[326]。루드라・시바(베다 이후의 루드라)의 불꽃에 얽힌 신화를 들자면 대화재로부터 등불의 불에 이르기까지, 불이라고 할 수 있는 모든 것에 미치고 있다[327]

루드라의 별칭, 예를 들어 사시판자라(Sasipañjara, "불꽃처럼 붉고 금색의")와 티바시마티(Tivaṣīmati, "눈부시게 타오르는")는 아그니와 루드라가 융합된 모습을 엿볼 수 있다[328]。아그니는 소라고 하며[329], 시바의 바하나(탈것)는 소인 난딘이다. 아그니에게는 뿔이 돋아 있다는 언급도 있다[330][331]。 중세의 성전에서는 아그니도, 시바의 또 다른 모습도 함께 불타는 머리카락을 가진다고 한다[332]

푸라나에서 언급된 시바는 베다 시대의 인드라와 연결되어 있다.[333] 인드라와 시바 모두 산, 강, 정력, 흉폭함, 두려움 없는 대담함, 전쟁, 확립된 관습 풍속의 파괴, 옴(진언), 최고의 존재 등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이 근거로 제시되었다. 『리그 베다』에서는 시바(śiva)라는 단어가 인드라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인드라도 시바와 마찬가지로 황소와 연결되어 있다[338][339]。 또한 시바와 동일시되는 루드라는 『리그 베다』에서 마루트 (루드라의 아들이자 인드라의 수행원)의 아버지이지만 루드라는 마루트의 특징인 호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지 않다. 반면에 인드라와 시바는 이를 가지고 있다[340]

자이나교에서 인드라는 춤추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명시적으로 동일하다고 여겨지지는 않지만, 이 인드라는 힌두교에서 보이는 춤추는 시바, 즉 나타라자와 무드라(포즈)가 유사하다[341]。 엘로라 석굴군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의 3종교 유적)의 자이나교 굴에서는 티르탕카라 (자이나교의 신) 옆에서 인드라가 시바 나타라자와 같은 조화로 춤추는 조각상을 볼 수 있다. 이 춤의 유사성은 고대 인드라와 시바 사이의 연결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341][344]

세 개의 얼굴을 가진 시바. 간다라. 2세기경의 작품.


시바가 우상화된 것으로서 가장 이른 시기의 물건, 즉 조각상은 간다라나 고대 인도의 북서부에서 발견되고 있다. 이 조각상은 훼손되었고, 게다가 불교 관계 조각과 특징이 겹치기 때문에, 이것이 확실히 시바라고 단정할 수 없는 부분도 있지만, 시바의 무기인 트리슈라와 특징 중 하나인 남근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아마 시바일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343]。또한, 고대 쿠샨 왕조의 코인에 그려진 신이 시바가 아니냐는 지적이 존재한다[343]。쿠샨의 코인에서는 시바라고 생각되는 인물을 가리켜 (또는 )라고 표기하고 있지만, 웨쇼의 어원이나 유래는 분명하지 않다[344][345]

베다의 미미한 신이었던 루드라가 최고신으로서의 신격으로 발전해 가는 과정의 첫 번째 흔적은, 기원전 400년부터 기원전 200년경의 『슈베타슈바타라 우파니샤드』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이전의 우파니샤드의 세계는 불이원론이었고, 『슈베타슈바타라 우파니샤드』는 루드라-시바(베다 이후의 루드라)에 대한 유신론적 신앙의 첫 번째 계기를 제공한다. 즉, 이 문헌에서 루드라-시바가 우주(브라흐만)의 창조자이며, 영혼(아트만)을 윤회에서 해방하는 자로 동일시된다. 시바파 신도, 고행자들에 관한 언급이 파탄잘리의 문헌이나 『마하바라타』에서 나타나는 것으로부터, 기원전 200년부터 서기 100년에는 시바에 대한 귀의에 초점을 맞춘 시바파의 역사가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슈베타슈바타라 우파니샤드』가 제시하는 것은 시바에 초점을 맞춘 유신론이 아니라, 다원론, 범신론, 일신교라고 말한다[346][347][348]

오래된 것은 기원전 10세기 말부터 새로운 것은 17세기까지 다양한 시기에 쓰여진 14개의 우파니샤드로 구성된 문헌에서는, 시바를 물리적 세계를 초월한 보편적 존재인 브라흐만과 아트만으로 칭송하며, 더 나아가 시바에 관한 의식과 상징주의에 대해 이야기한다.

루드라에 관해 언급된 문헌은 극히 적지만, 예를 들어 기원전 5세기경 문헌에서는 모든 신은 루드라이며, 모든 생명과 모든 물질은 루드라이며, 루드라는 모든 것 안에 존재하는 근원이며, 최종 목표(즈냐나)이며, 모든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가장 안쪽에 있는 요소라고 주장한다. 기원전 10세기경 문헌에도 루드라가 시바로 대체된 버전의 유사한 기술이 나타난다. 즉, 아트마 즈냐나에 도달한 사람은 스스로를 모든 것에 깃든 신성한 요소로 느끼고, 자신과 모든 의식과 시바(즉, 지고의 아트만)와의 일체감을 느끼며, 이 지고의 아트만을 자신의 마음속 깊이에서 발견한다고 이야기한다.

10-11세기 문헌과 5-10세기 문헌에는 시바의 다양한 모습, 시바에 관한 신화와 우주론, 순례지 등이 소개되어 있다. 시바에 관한 탄트라 문헌은 8세기부터 11세기 사이에 정리되었으며, 시바파 안에서도 이원론을 고수하는 신도들에게는 성전(베다 참조)이 되었다. 시바에 관한 문헌은 10세기부터 13세기에 걸쳐 인도 전역에서 발전하였으며, 특히 카슈미르(Kashmir Shaivism)와 타밀 지방(Shaiva Siddhanta, 또는 성전 시바파라고도 함)에서의 수용이 현저하다.

3. 힌두교 내 위치

린고드바바는 시바가 링감 (무한한 불기둥)에서 솟아오르는 모습을 묘사한 시바교 종파의 아이콘으로, 시바가 트리무르티 중 으뜸임을 이야기한다. 브라흐마는 왼쪽에, 비슈누는 오른쪽에, 중앙에 있는 시바에게 경배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베다 시대의 루드라가 최고신으로서의 신격을 갖게 되는 과정은 기원전 400년부터 기원전 200년경의 『슈베타슈바타라 우파니샤드』에서 처음으로 나타난다.[27] 이 문헌에서 루드라-시바는 우주(브라흐만)의 창조자이자 영혼(아트만)을 윤회에서 해방시키는 존재로 나타난다. 기원전 200년부터 서기 100년 사이에는 시바 숭배를 중심으로 하는 시바파의 역사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슈베타슈바타라 우파니샤드』가 제시하는 것은 시바 중심의 유신론이 아니라 다원론, 범신론, 일신교라는 주장도 있다.[346][347][348]

기원전 10세기 말부터 17세기까지 다양한 시기에 쓰여진 14개의 우파니샤드로 구성된 『샤이바 우파니샤드』에서는 시바를 물리적 세계를 초월한 보편적 존재인 브라흐만과 아트만으로 칭송하며, 시바에 관한 의식과 상징주의에 대해 이야기한다.[27]

'''트리무르티'''는 우주의 창조, 유지, 파괴 기능을 세 신에게 신격화하는 힌두교 이론이다. 브라흐마가 창조, 비슈누가 유지, 시바가 파괴/재생을 맡는다.[379][380] 그러나 고대 또는 중세 문헌에는 다양한 조합의 트리무르티가 존재하며, 시바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381]

3. 1. 시바파

인더스 문명모헨조다로에서 발굴된 파슈파티 인장. 파슈파티(짐승의 주님, –2000년경)로 묘사된 "요기" 또는 "원시 시바"의 모습으로 추정됨.


시바파는 힌두교의 4대 주요 종파 중 하나로, 비슈누파, 샥티파, 스마르타 전통과 함께 힌두교를 구성한다. 시바파 신자("시바교도")들은 시바를 최고신으로 숭배하며, 시바가 만물 안에 존재하고 모든 것의 창조, 보존, 파괴, 계시, 은폐를 담당한다고 믿는다.[64] 시바는 창조자이자 창조물이며, 모든 것이고 모든 곳에 존재하는, 시바교 전통에서 근본적인 자아, 순수한 의식, 절대 현실이다.

시바파 신학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베다, 서사시, 푸라나에서 시바-루드라의 영향을 받은 대중 신학이고, 둘째는 시바와 샥티 관련 탄트라 텍스트의 영향을 받은 비전(秘傳) 신학이다.[65] 베다-브라만 시바 신학은 타밀 시바 시단타와 링가야트교 같은 일원론(''아드바이타'')과 헌신적 전통(''드바이타'')을 모두 포함한다. 시바 사원에는 링가, 시바-파르바티 도상, 경내의 황소 난디, 시바의 측면을 보여주는 부조 작품 등이 있다.

탄트라 시바(''"शिव"'') 전통은 시바 관련 신화와 푸라나를 무시하고, 하위 학파에 따라 다양한 수행법을 개발했다. 예를 들어, 역사 기록에 따르면 탄트라 카팔리카(문자 그대로 '해골인')는 바즈라야나 불교 의례를 공유하며 공존했고, 해골을 쓰고 시바와 샥티를 숭배하고, 빈 해골로 구걸하고, 때로는 고기를 의례에 사용했다.[66] 반면, 카슈미르 시바교 내 비전 전통은 ''크라마''와 ''트리카'' 하위 전통으로 특징지어진다.[67] 크라마 하위 전통은 시바-칼리 쌍 중심의 비전 의례에 집중했다.[68] 트리카 하위 전통은 시바를 포함한 삼위일체 신학을 개발하고, 일원론적 자기 해방을 추구하는 개인적 시바 중심의 고행 생활과 결합했다.[67][69]

3. 2. 비슈누파

비슈누파의 성전에서도 시바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시바파에서 시바가 최고신으로 여겨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비슈누파에서는 비슈누가 최고신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두 종파 모두 다신교적인 성격을 띠며, 각자 시바와 비슈누, 데비 (힌두교의 여신)를 숭배하고, 어느 성전에도 배타적인 요소는 없다. 예를 들어 비슈누파의 『바가바타 푸라나』에서는 크리슈나 (비슈누의 화신)를 브라만으로 칭송하는 한편, 시바와 샥티 (시바의 배우자 신 중 하나) 역시 같은 브라만의 현현이라고 칭한다.[70][71][72] 한편 시바파에서도 마찬가지로 비슈누를 칭송한다.

두 신앙에는 시바와 비슈누 중 누가 더 우월한지를 겨루는 에피소드나, 시바가 비슈누에게 경의를 표하거나, 비슈누가 시바에게 경의를 표하는 일화가 있다. 그러나 양쪽 전통의 텍스트와 예술 작품에서 서로의 경례는 상호 보완성을 상징한다.[74] 『마하바라타』에서는 브라만은 시바와 비슈누와 동일하며,[75] 비슈누는 시바의 지고의 모습이고, 시바는 비슈누의 지고의 모습이라고 말하고 있다.[76]

3. 3. 샤크티파

힌두교의 여신 중심적인 샥티파에서는 근본 원리이자 보편적 현실인 브라만을 여신(데비)으로 여기며,[77] 남성을 여신의 동등하고 보완적인 파트너로 취급한다. 이 파트너는 시바이거나 비슈누아바타라(화신)이다.[79]

리그베다의 찬가 데비 수크타(Devi Sukta)에는 여신을 숭배하는 이 신앙의 가장 빠른 흔적이 루드라-시바의 문맥과 함께 발견된다.[77]

샥티파의 이론을 설명하는 데비 우파니샤드에서는 제19시에서 시바를 언급하며 칭송하고 있다.[78] 샥티파에게 바가바드 기타와 동등한 가치를 부여받는 성전, 데비 마하트미야에서는 시바는 비슈누와 함께 칭송받는다.[369] 아르다나리슈바라라는 신격의 콘셉트는 많은 힌두 사원과 문헌에서 나타나는 테마로, 반은 남성이고 반은 여성이라는 상태가 상징적으로 표현되어 시바와 여신 샥티의 융합을 표현하고 있다.[370][371]

3. 4. 스마르타파

힌두교의 스마르타 전통에서 시바는 판차야타나 푸자의 일부이다.[81] 이 관습은 동등하게 여겨지는 다섯 신의 아이콘 또는 무형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81] 퀸쿵스 패턴으로 설정된다.[82] 시바는 다섯 신 중 하나이며, 다른 신으로는 비슈누, 데비(파르바티 등), 수르야, 가네샤, 스칸다, 신봉자의 선호에 따른 개인적 신(이슈타 데바타)이 있다.

철학적으로 스마르타 전통은 모든 우상(무르티)이 별개의 존재가 아니라 브라만을 집중하고 시각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아이콘이라고 강조한다. 이 관행의 궁극적인 목표는 아이콘의 사용을 넘어 아이콘으로 상징되는 절대자를 인식하고,[83] 자신의 아트만(자아)과 브라만의 비이원론적 동일성을 깨닫는 여정에 들어서는 것이다.[84] 아디 샹카라에 의해 대중화되었으며, 많은 판차야타나 만다라와 사원이 굽타 제국 시대부터 발견되었고, 난드 마을(아지메르에서 약 24km)의 한 판차야타나 세트는 쿠샨 제국 시대(서기 300년 이전)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쿠샨 시대의 세트에는 시바, 비슈누, 수르야, 브라흐마와 정체가 불분명한 신이 포함되어 있다.

스마르타파에서 시바는 판차야타나 푸자(의식)에서 숭배되는 신들 중 한 명이다.[372] 이 의식에는 5명의 신을 상징하는 우상이 사용된다. 판차야타나 푸자에서 이 5명의 신은 동등하게 여겨지며,[372] 퀸컨스(주사위의 5의 형태)로 배치된다.[373] 시바 외에도 비슈누, 데비, 수리야, 이슈타 데바타의 우상이 이 의식에 사용되어 숭배된다.[374]

라자 라비 바르마의 유화로, 시바 중심의 판차야타나를 묘사. 턱수염을 기른 시바는 아내 파르바티, 어린 아들 가네샤와 함께 중앙에 앉아 있고, (시계 방향으로 왼쪽 위 모서리부터) 가네샤, 데비, 비슈누, 수르야가 둘러싸고 있다. 시바의 탈것은 시바 아래에 있는 황소 난디이다.

4. 속성 및 형태

시바는 종종 세 개의 눈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이 세 번째 눈으로 욕망의 신 카마를 재로 만들었다고 한다.[97] 그래서 "트리얌바카"(Tryambakam, त्र्यम्बकम्|트리얌바캄sa)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여러 경전에 등장한다.[98]

시바는 머리에 초승달을 얹은 모습으로도 묘사된다.[104] 그래서 "찬드라세카라"(Candraśekhara, चन्द्रशेखर|찬드라셰카라sa, 달의 관을 쓴 자)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105][106][107]

시바는 몸에 (바스마, vibhuti|비부티sa)를 칠한 모습으로 묘사된다.[393][394] 이 재는 모든 물질적인 것이 영원하지 않고 언젠가는 재로 돌아간다는 것과, 영원한 영혼과 정신적 해방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상징한다.[395][396]

시바의 독특한 헝클어진 머리 모양은 "자틴"(Jaṭin,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가진 자)[397], "카파르딘"(Kapardin) 등의 별칭을 낳았다. 카파르딘은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부여받은 자[398]", "조개(카파르다) 모양으로 땋은 머리카락을 가진 자[399]" 등으로 번역된다.

"닐라칸타"(Nīlakaṇṭha, नीलकण्ठ|닐라칸타sa, 푸른 목)는 유해교반 때 맹독 할라할라를 마신 시바의 목이 푸르게 변색된 것에서 유래한 별칭이다.[401][402]

요가 자세로 결가부좌를 하고 명상에 잠긴 모습이나, 히말라야 산맥의 카일라스 산 위에서 명상하는 모습으로 요가의 왕으로 표현되기도 한다.[393]

갠지스강은 시바의 헝클어진 머리카락에서 흘러나오며,[405][406] 그래서 "강가다라"(갠지스 강을 가져오는 자)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시바는 호랑이 가죽 위에 앉은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고,[393] 나가 (뱀)를 목에 두른 모습으로도 자주 표현된다.[408] 트리슈라라고 불리는 삼지창을 들고,[393] 모래시계 모양의 다마루를 가진 모습으로도 나타난다.[409][410] 남인도에서는 파라슈 (도끼)와 사슴을 든 모습으로 표현되기도 한다.[414] 오른손에는 루드락샤 (보리수 열매)로 만든 염주를 감고 있다.[393] 시바의 바하나 (탈것)인 난디 (또는 난딘)이라는 가 함께 묘사된다.[417][418]

히말라야 산맥의 카일라스 산은 전통적으로 시바의 거처로 여겨지며,[393][421] 가나는 카일라스 산에 사는 시바의 권속들이다. 바라나시는 시바가 가장 좋아하는 도시로 여겨지며, 인도의 성지 중 하나이다.[424]

고고학 박물관 GOA의 수염을 가진 시바.

4. 1. 속성

모니에르-윌리엄스 산스크리트어 사전에 따르면, ""()는 "상서로운, 길조의, 자비로운, 은혜로운, 친절한, 자애로운, 우호적인"을 의미한다.[7] 민간 어원학에서 의 어원은 "모든 것이 놓여있는 곳, 침투성"을 의미하는 ''śī''와 "은혜의 화신"을 의미하는 ''va''이다.[7]

시바라는 단어는 리그베다에서 루드라를 포함한 여러 리그베다 신들의 별칭으로 사용되었다.[8] 시바라는 용어는 "해방, 최종적인 해방"과 "상서로운 자"를 의미하기도 하며, 이러한 형용사적 용법은 베다 문학에서 많은 신들에게 사용되었다.[7] 이 용어는 서사시와 푸라나에서 베다의 ''루드라-시바''에서 명사 ''시바''로 진화하여 "창조자, 재생산자, 해체자"인 상서로운 신이 되었다.[7]

샤르마는 "상처를 입히다" 또는 "죽이다"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어근 ''-''를 사용하여 또 다른 어원을 제시하며,[9] 이 이름을 "어둠의 세력을 죽일 수 있는 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산스크리트어 단어 ''''는 "신 시바와 관련된"을 의미하며, 힌두교의 주요 종파 중 하나와 그 종파의 구성원을 지칭한다. 샤이비즘과 같은 특정 신념과 관습을 특징짓는 형용사로 사용되기도 한다.[10]

일부 저자는 시바의 이름을 "빨간색"을 의미하는 타밀어 단어와 연관시키며, 시바가 태양과 연결되어 있고 루드라 역시 리그베다에서 ''바브루''(갈색 또는 붉은색)라고 불린다고 언급한다.[11][12] ''비슈누 사하스라나마''는 ''시바''를 "순수한 자"와 "프라크리티(사트바, 라자스, 타마스)의 세 구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자"라는 여러 의미로 해석한다.

시바는 비스와나타(세상의 주), 마하데바, 마한데오, 마하수, 마헤샤, 마헤슈바라, 샹카라, 삼부, 루드라, 하라, 트리로차나, 데벤드라(신의 우두머리), 닐라칸타, 수방카라, 트리로키나타(세 영역의 주),[13][14][15] 그르네슈와라(자비의 주) 등 많은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샤이비즘에서 시바에 대한 최고의 존경심은 ''''("위대한 신"), ''''("위대한 주"), ''''("최고의 주")와 같은 별칭에 반영되어 있다.

사하스라나마는 신의 측면과 별칭에서 파생된 천 개의 이름을 나열한 중세 인도의 텍스트이다.[19] 시바의 많은 이름을 나열한 헌신적인 찬가(''스토트라'')인 ''시바 사하스라나마''의 서로 다른 버전이 최소 8개 이상 있다.[20] ''마하바라타''의 13권()에 나타나는 버전이 그러한 목록 중 하나이다. 시바는 또한 ''마하냐사''에서 발견되는 ''다샤-사하스라나마''(10,000개의 이름)를 가지고 있다. ''스리 루드람 차마캄'', 일명 ''샤타루드리야''는 많은 이름으로 시바를 찬양하는 헌신적인 찬가이다.[21][22]

  • '''제3의 눈''': 시바는 종종 제3의 눈으로 묘사되는데, 이것으로 욕망()을 재로 태웠다.[97] "Tryambakam"(산스크리트어: त्र्यम्बकम्sa)이라고 불리며, 많은 경전에 나타난다.[98] 고전 산스크리트어에서 'ambaka'는 "눈"을 의미하며, '마하바라타'에서 시바는 삼안으로 묘사되므로 "세 개의 눈을 가진"으로 번역되기도 한다.[99] 그러나 베다 산스크리트어에서 '' 또는 ''는 "어머니"를 의미하며, 초기 의미는 "세 어머니"라는 번역의 기초가 된다.[100][101] 이 세 명의 어머니 여신들은 집합적으로 라고 불린다.[102] 다른 관련 번역은 이 이름이 루드라에게 바쳐진 공물을 지칭한다는 생각에 기초하는데, 일부 전통에 따르면 이 공물은 여신 와 공유되었다.[103]
  • '''초승달''': 시바는 머리에 초승달을 얹고 있다.[104] (산스크리트어: चन्द्रशेखरsa "달을 정점으로 삼는 자" – '''' = "달"; '''' = "정점, 왕관")는 이 특징을 나타낸다.[105][106][107] 머리에 달을 배치하는 것은 루드라가 주요 신 루드라-시바가 된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108] 이러한 연관성은 달을 소마로 동일시한 데 기인할 수 있으며, 리그 베다에는 소마와 루드라가 함께 간구되는 찬가가 있고, 후기 문헌에서는 소마와 루드라, 소마와 달이 동일시되었다.[109]
  • '''재''': 시바 도상학은 그의 몸이 재(bhasma, vibhuti)로 덮여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재는 모든 물질적 존재가 영원하지 않고 재가 되어 끝을 맺으며, 영원한 자아와 영적 해방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함을 상기시킨다.[111][112]
  • '''헝클어진 머리카락''': 시바의 독특한 헤어스타일은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가진 자"라는 형용사 과 "머리카락을 껍질 모양(kaparda)으로 땋아 착용한 자"로 언급된다.[114] Kaparda는 소라 껍데기, 껍데기 모양의 머리카락 땋기 또는 덥수룩하거나 곱슬머리카락을 의미한다.[115]
  • '''푸른 목''': (산스크리트어 नीलकण्ठsa; ''nīla'' = "파란색", '''' = "목").[116][117] 시바는 Samudra Manthana에서 휘저은 Halahala 독을 마셔 파괴적인 능력을 제거했다. 파르바티는 그의 목을 짜서 독이 우주 전체로 퍼지는 것을 막았는데, 독은 시바의 위장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독은 그의 목 색깔을 파란색으로 바꾸었다.[118] 이 속성은 세상의 독인 학대와 모욕을 평정심으로 삼키면서 주는 사람들을 축복함으로써 시바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119]
  • '''명상하는 요기''': 그의 도상학은 종종 그를 요가 자세로 명상하는 모습으로 보여주는데, 때로는 요가의 주로서 히말라야 산 카일라사에 앉아 있기도 하다.
  • '''성스러운 갠가''': ''Gangadhara'', "강 Ganga" (갠지스)의 지닌 자. 갠가는 시바의 헝클어진 머리카락에서 흘러나온다.[120][121] ''''(갠가)는 시바의 머리카락에 거처를 만들었다고 한다.[122]
  • '''호랑이 가죽''': 시바는 종종 호랑이 가죽 위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 '''바수키''': 시바는 종종 뱀 바수키로 장식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바수키는 나가 왕이며(첫 번째는 비슈누의 탈것인 세샤), 시바에게 축복받고 Samudra Manthana 이후 장식으로 착용되었다.
  • '''삼지창''': 시바는 ''트리슈라''라고 불리는 삼지창을 가지고 다닌다. 삼지창은 무기 또는 상징이며, 시바의 세 가지 측면인 "창조자, 보존자, 파괴자" 또는 세 개의 ''구나''(''sattva'', ''rajas'', ''tamas'')의 균형을 나타낸다.
  • '''드럼''': ''다마루''라고 불리는 모래시계 모양의 작은 드럼. Nataraja의 춤 표현에서 시바의 속성 중 하나이다. '''' ("-손")라는 손 제스처(mudra)로 드럼을 잡는다. 종파의 구성원이 엠블럼으로 사용한다.
  • '''도끼''' (''Parashu'') 와 '''사슴'''은 오디샤와 남인도 아이콘에서 시바의 손에 들려 있다.
  • '''묵주''': ''Rudraksha''로 만들어진 묵주를 오른손에 들고 있거나 장식한다. 은총, 탁발 생활 및 명상을 상징한다.
  • '''':''' Nandī (नन्दिन् (nandin)),는 시바의 탈것인 황소이다. 시바와 소의 연관성은 또는 Pashupati (पशुपति)에 반영되어 있으며, "가축의 주" 또는 "동물의 주"로 번역된다.
  • ''' 산':''' Kailasa는 히말라야 산맥에 있는 그의 거처이다.[131] 힌두 신화에서 는 ''Linga''와 유사하며 우주의 중심이다.[132]
  • '''':''' 는 시바의 시종이며 카일라시에 산다. 부타가나 또는 유령 호스트라고도 불린다. 자비롭지만, 주인이 침해당할 때를 제외하고는 신자를 대신하여 주님께 중재하도록 요청된다. 가네샤는 시바에 의해 그들의 지도자로 선택되었고, '''' 또는 ''''(의 주)라는 칭호를 받았다.
  • '''바라나시:''' 바라나시 (Benares)는 시바가 사랑하는 도시이며, 인도에서 가장 신성한 순례지 중 하나이다. 종교적 맥락에서 카시라고 불린다.


코임바토르의 아디요기 시바(최초의 요기) 조각상


시바와 파르바티. 시바는 삼안으로 묘사되며,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통해 갠지스 강이 흐르고, 뱀과 해골 화환 장식을 착용하고, 재로 덮여 있으며, 호랑이 가죽 위에 앉아 있다.


앉아 있는 시바는 손에 도끼와 사슴을 들고 있다.


4. 2. 형태

시바 신의 전신인 루드라


야주르베다에서는 악의적이거나 끔찍한(산스크리트어: '''') 형태와 자비롭거나 상서로운(산스크리트어: '''') 형태에 대한 상반된 속성이 발견된다. 차크라바르티는 "후대 시대의 복잡한 루드라-시바 종파를 만든 모든 기본 요소가 여기에 있다"고 결론 내렸다.[136] 마하바라타에서 시바는 "무적, 위력, 공포의 표준"이자 명예, 기쁨, 광채의 인물로 묘사된다.[137]

시바의 두려운 속성과 상서로운 속성의 이중성은 대조적인 이름으로 나타난다. 루드라는 시바의 무서운 측면을 반영하는 이름이다. 전통적인 어원학에 따르면 산스크리트어 이름 ''루드라''는 "울다, 울부짖다"를 의미하는 ''루드-''라는 어근에서 파생되었다.[138] 스텔라 크람리쉬는 형용사 형태 ''라우드라''와 관련된 다른 어원, 즉 "야생, ''루드라''의 본질"을 언급하며, ''루드라''를 "야생의 존재" 또는 "사나운 신"으로 번역한다.[139] R. K. 샤르마는 이 대안적 어원학을 따라 그 이름을 "끔찍한"으로 번역한다. 하라는 ''시바 사하스라나마''의 아누샤사나파르반 버전에서 세 번 등장하는 중요한 이름으로, 해석을 반복하지 않는 주석 전통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번역된다. 샤르마는 세 번을 각각 "매혹시키는 자", "통합하는 자", "파괴하는 자"로 번역한다. 크람리쉬는 이를 "강탈자"로 번역한다. 시바의 또 다른 무서운 형태는 모든 것을 파괴하는 "시간"과 "위대한 시간"이다. 은 ''시바 사하스라나마''에 등장하며, 람 카란 샤르마는 이를 "(시간의 최고 주) 시간"으로 번역한다. 바이라바 "끔찍한" 또는 "무서운"은 소멸과 관련된 험악한 형태이다. 반대로, "자비로운" 또는 "행복을 부여하는"은 그의 자비로운 형태를 반영한다. 이 이름은 베단타 철학자 아디 샹카라에 의해 채택되었으며, 그는 샹카라차르야로도 알려져 있다. (산스크리트어: शम्भुsa 스스로-on its own; bhu-burn/shine) "스스로 빛나는/스스로 빛나는" 또한 이러한 자비로운 측면을 반영한다.

시바는 수행하는 요기이자 가장(grihasta)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힌두 사회에서 전통적으로 상호 배타적인 역할이었다.[140] 요기로 묘사될 때는 앉아서 명상하는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다.[141] 그의 별칭 마하요기(Mahāyogi, "위대한 요기: '''' = "위대한", ''Yogi'' = "요가를 수행하는 자")는 요가와의 연관성을 나타낸다.[142] 베다 종교는 주로 희생을 통해 신과 소통하였지만, 서사 시대 동안 타파스, 요가, 금욕주의의 개념이 더 중요해졌으며, 철학적 고립 속에 앉아 있는 시바의 묘사는 이러한 후기 개념을 반영한다.[143]

가장으로서 그는 아내 파르바티와 두 아들 가네샤카르티케야를 두고 있다. 그의 별칭 ("의 남편")는 이 개념을 나타내며, 샤르마는 이와 같은 의미를 가진 다른 두 변형인 와 도 ''사하스라나마''에 등장한다고 언급한다.[144] 서사 문학에서 는 자애로운 를 포함하여 많은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145][146] 그녀는 데비, 즉 신성한 어머니로, 샥티 (신성한 에너지)와 트리푸라 순다리, 두르가, 칼리, 카막시 및 미낙시와 같은 여신과 동일시된다. 시바의 배우자는 그의 창조적 에너지의 근원이며, 이 우주로의 역동적인 확장을 나타낸다.[147] 그의 아들 가네샤는 인도네팔 전역에서 장애 제거자, 시작의 주, 장애의 주로서 숭배받는다. 카르티케야는 남인도 (특히 타밀나두, 케랄라, 카르나타카)에서 수브라마니야, 수브라만얀, 샨무간, 스와미나탄 및 무루간이라는 이름으로, 북인도에서는 스칸다, 쿠마라 또는 카르티케야라는 이름으로 숭배받는다.[148]

일부 지역 신도 시바의 자식으로 동일시된다. 한 이야기에 따르면, 시바는 비슈누의 여성 아바타인 모히니의 아름다움과 매력에 유혹되어 그녀와 아이를 낳는다. 이 결합으로 샤스타가 태어났는데, 그는 지역 신인 아이야판과 아이야나르와 동일시된다.[149][150][151][152] 케랄라의 에르나쿨람 외곽에서는 비슈누마야라는 신이 시바의 자식이라고 언급되며, 지역 엑소시즘 의식에서 소환되지만, 이 신은 힌두교 판테온에서 추적할 수 없으며, "모호하게 중국식" 스타일 의식을 가진 지역 전통일 수 있다고 살레토레는 말한다.[153] 일부 전통에서 시바는 뱀 여신 마나사아쇼카순다리와 같은 딸을 두고 있다. 도니거에 따르면, 두 개의 지역 이야기는 악마 안다카와 잘란다라를 시바의 자식으로 묘사하며, 그들은 시바와 전쟁을 벌이다가 나중에 시바에 의해 파괴된다.[155]

촐라 왕조의 조각상으로 춤추는 나타라자로 묘사된 시바(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나타라자는 시바의 "춤의 신"을 나타내는 형상('''')이다.[156][157] 나르타카("무용수")와 니티아나르타("영원한 무용수")라는 이름은 시바 사하스라나마에 등장한다.[158] 춤과 음악과의 연관성은 푸라나 시대에 두드러진다.[159] 나타라자라고 알려진 특정 도상 형태 외에도, 다양한 유형의 춤 형태(산스크리트어: '''')가 인도 전역에서 발견되며, 특히 타밀 나두에서 많은 잘 정의된 종류가 발견된다.[160] 춤의 두 가지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탄다바인데, 이는 후에 세상의 파괴와 관련된 칼라-마하칼라와 같은 강력하고 남성적인 춤을 나타내게 되었다. 세상이나 우주를 파괴해야 할 때 시바는 탄다바를 통해 그렇게 하며, 라시야는 우아하고 섬세하며 부드러운 수준의 감정을 표현하며 여신 파르바티에게 귀속되는 여성적인 춤으로 간주된다.[161][162] ''라시야''는 ''탄다바''의 여성적인 대응물로 여겨진다.[162] ''탄다바''-''라시야'' 춤은 세상의 파괴-창조와 관련이 있다.[163][164][165]

닥시나무르티(Dakshinamurti) (산스크리트어 दक्षिणामूर्ति; '', "[마주보는] 남쪽 형태")''[166]는 요가, 음악, 지혜의 스승으로서의 시바의 측면을 나타내며, ''샤스트라''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167] 닥시나무르티는 현자를 둘러싸고 가르침을 받는 사슴 옥좌에 앉아 있는 인물로 묘사된다.[168] 닥시나무르티의 인도 미술에서의 묘사는 대부분 타밀 나두에 국한된다.[169]

비크샤타나(Bhikshatana) (산스크리트어 भिक्षाटन; ''Bhikṣāṭana'', "구걸하러 돌아다님, 탁발")[170]은 시바를 신성한 구도자로 묘사한다. 그는 손에 구걸 그릇을 들고 악마적인 시종들이 따르는 누드 사지인으로 묘사된다. 그는 브라흐마 살해를 저지른 것에 대한 고행으로서의 브히라바와 데오다르 숲에서 현자들과 그들의 아내들과의 만남과 관련이 있다.

트리푸란타카(Tripurantaka) (산스크리트어 त्रिपुरांतक; '''', "트리푸라의 종결자")는 아수라의 세 도시(트리푸라 (신화))를 파괴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171] 그는 네 개의 팔을 가지고 있는데, 위쪽 쌍은 도끼와 사슴을 들고 있고, 아래쪽 쌍은 활과 화살을 휘두르고 있다.

아르다나리슈바라 (산스크리트어: अर्धनारीश्वर; ''Ardhanārīśvara'', "절반은 여성인 신"[172])는 파르바티와 함께 한 시바의 결합 형태이다. 아다나리슈바라는 몸의 절반은 남성으로, 다른 절반은 여성으로 묘사된다. 아르다나리슈바라는 우주의 남성 및 여성 에너지의 합성(푸루샤와 프라크리티)을 나타내며, 신의 여성 원리인 샥티가 신의 남성 원리인 시바와 어떻게 분리될 수 없는지를 보여준다.[173]

칼야나순다라-무르티(산스크리트어 कल्याणसुन्दर-मूर्ति, 문자 그대로 "아름다운 결혼의 아이콘")는 파르바티와의 시바의 결혼을 묘사한 것이다. 신성한 부부는 종종 전통적인 힌두 결혼식에서 ''파니그라하나''(산스크리트어 "손을 잡다") 의식을 수행하는 것으로 묘사된다.[174] 이 ''무르티''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시바와 파르바티만 함께 있지만, 더 정교한 형태에서는 파르바티의 부모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과 함께하며, 때로는 신(종종 비슈누와 락슈미가 파르바티의 부모로, 브라흐마가 집례 사제로, 다른 다양한 신들이 참석자 또는 손님으로)이 동반한다.

소마스칸다는 남인도 팔라바 왕조 시대에 인기 있었던 시바, 파르바티, 그리고 그들의 아들 스칸다(카르티케야)를 묘사한 것이다.

아스타무르티(Astamurti) (산스크리트어: अष्टमूर्ति)는 루드라, 사르바, 파슈파티, 우그라, 아사니, 바바, 마하데바, 이사나의 여덟 가지 속성으로 구성된 시바의 도상적 묘사이며, 이 중 일부는 아래에 설명된 파찬아나와 중복된다.

판차아나(Pañcānana) (산스크리트어: पञ्चानन), ''판차브라마''라고도 불리며, 시바가 다섯 개의 얼굴을 가진 형태로 묘사되어 그의 다섯 가지 신성한 활동(''판차크리티'')에 해당한다: 창조(''스르스티''), 보존(''스스티''), 파괴(''삼하라''), 은혜를 숨김(''티로바바''), 그리고 은혜를 드러냄(''아누그라하''). 다섯은 시바에게 신성한 숫자이다.[175] 그의 가장 중요한 만트라 중 하나는 다섯 음절로 되어 있다().[176]

10세기 다섯 얼굴의 시바, 사다시바, 캄보디아


|



시바의 몸은 이라고 불리는 다섯 개의 만트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177] 신의 형태로, 각각은 고유한 이름과 뚜렷한 도상학을 가지고 있다:[178] 이것들은 시바의 다섯 얼굴로 표현되며 다양한 텍스트에서 다섯 가지 요소, 다섯 가지 감각, 다섯 가지 지각 기관 및 다섯 가지 작용 기관과 관련이 있다.[179][180] 교리적 차이와 전송상의 오류로 인해 이러한 다섯 가지 형태가 다양한 속성과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한 세부 사항에서 텍스트 간에 약간의 차이가 발생했다.[181]

링감에 트리푼드라가 있는 시바 링감


시바의 의인화된 이미지 외에도, 그는 링감의 무상징적인 형태로도 표현된다. 흔한 형태 중 하나는 립이 있는 디스크 모양의 물체, 즉 여신 샤크티의 상징인 ''요니''의 중앙에 세워진 수직의 둥근 기둥 형태이다.[186] 시바 사원에서 ''링가''는 일반적으로 성소에 존재하며, 우유, 물, 꽃잎, 과일, 신선한 잎, 쌀과 같은 헌납물을 바치는 대상이다.[186]

  • '''제3의 눈''': 시바는 제3의 눈을 가진 모습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드물지 않으며, 이 눈은 욕망(카마)을 태워 재로 만든다고 여겨진다.[382] 시바의 이명으로 "트리얌바카"(Tryambakam, त्र्यम्बकम्)라는 이름이 자주 문헌에 등장한다.[383]
  • '''초승달''': 시바는 머리에 초승달을 착용한 모습으로 묘사된다.[388] 따라서 "찬드라세카라"(Candraśekhara, चन्द्रशेखर, 을 쓴 자)라는 이명을 가진다.[389][390][391]
  • '''재''': 시바는 몸에 를 칠한 모습으로 묘사된다.[393][394]
  • '''헝클어진 머리카락''': 시바의 이 특징적인 머리 모양은 몇몇 이명의 근원이 된다. 예를 들어 "자틴"(Jaṭin,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가진 자)[397], "카파르딘"(Kapardin) 등이 있다.
  • '''푸른 목''': "닐라칸타"(Nīlakaṇṭha, नीलकण्ठ, 푸른 목)라는 시바의 이명이 유래된 특징.[401][402] 유해교반으로 맹독 할라할라가 솟아나오자, 시바는 그것을 무독화하기 위해 삼켰다. 시바의 안에는 우주가 존재했기 때문에, 그것을 본 시바의 배우자 신 파르바티는 황급히 시바의 목을 조여 독이 우주로 퍼지는 것을 막았다. 그러나 독은 시바의 목을 푸르게 변색시켰다.[403][404]
  • '''명상하는 요기''': 시바는 요가 자세인 결가부좌를 하고 명상에 잠긴 모습, 혹은 히말라야 산맥의 카일라스 산 위에서 명상하는 모습으로, 요가의 왕으로 표현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393]
  • '''성스러운 갠지스''': 시바는 "강가다라"(갠지스 강을 가져오는 자)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갠지스 강은 시바의 헝클어진 머리카락에서 흘러나온다.[405][406]
  • '''호랑이 가죽''': 시바는 호랑이 가죽 위에 앉은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393]
  • '''뱀''': 시바는 나가 (뱀)를 목에 두른 모습으로 자주 표현된다.[408]
  • '''삼지창''': 시바는 통상 트리슈라라고 불리는 삼지창을 든 모습으로 표현된다.[393]
  • '''북''': 모래시계 모양의 을 가지고 있다.[409][410]
  • '''도끼''': 남인도에서는 시바가 종종 파라슈 (도끼)와 사슴을 든 모습으로 표현된다.[414]
  • '''염주''': 시바는 오른손에 염주를 감은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 염주는 통상 루드락샤 (보리수 열매)로 만들어진다고 여겨진다.[393]
  • '''소''': 시바의 바하나 (신의 탈것)인 난딘 (또는 난디)이 시바와 함께 묘사된다.[417][418]
  • '''카일라스 산''': 히말라야 산맥의 카일라스 산은 전통적으로 시바의 거처로 여겨진다.[393][421]
  • '''가나''': 가나는 카일라스 산에 사는 시바의 권속들이다.
  • '''바라나시''': 바라나시는 특히 시바가 가장 좋아하는 도시라고 여겨지며, 인도의 성지 중 하나로 꼽힌다.

5. 축제



매달 음력 13일 밤/14일에 ''시바라트리''가 있지만,[215] 1년에 한 번 늦겨울(2월/3월)과 봄이 오기 전에 ''마하 시바라트리''가 열린다. 이것은 "시바의 위대한 밤"을 의미한다.

마하 시바라트리는 주요 힌두교 축제이지만 엄숙하며 신학적으로 삶과 세상의 "어둠과 무지를 극복"하는 것을 기념하고[215] 시바의 존재와 인류에 대한 헌신의 양극성에 대해 명상한다. 시바 관련 시 낭송, 기도, 시바 기억, 단식, 요가 수행, 자기 억제, 정직, 타인에 대한 무해함, 용서, 자기 성찰 및 시바의 발견과 같은 윤리와 덕목에 대한 명상으로 관찰된다.[215] 열렬한 신자들은 밤새도록 깨어 있다. 다른 사람들은 시바 사원을 방문하거나 조티르링가 사당으로 순례를 간다. 사원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우유, 과일, 꽃, 신선한 잎과 과자를 링감에 바친다.[215] 일부 지역 사회에서는 시바를 춤의 신으로 기념하기 위해 특별 댄스 이벤트를 조직하여 개인 및 그룹 공연을 한다.[216] 존스와 라이언에 따르면, 마하 시바라트리는 아마도 5세기에 시작된 고대 힌두교 축제이다.[215]

시바 숭배와 관련된 또 다른 주요 축제는 카르틱 푸르니마로, 트리푸라수라로 알려진 세 악마에 대한 시바의 승리를 기념한다. 인도 전역에서 다양한 시바 사원이 밤새도록 조명된다. 시바 아이콘은 일부 지역에서 행렬로 옮겨진다.[217]

티루바티라는 케랄라에서 시바에게 헌정되어 관찰되는 축제이다. 이 날 파르바티가 오랜 고행 끝에 시바를 만났고, 시바가 그녀를 아내로 삼았다고 믿어진다.[218] 이날 힌두 여성들은 티루바티라 파투(파르바티에 대한 민요와 그녀의 시바의 애정에 대한 갈망과 고행)를 동반한 티루바티라칼리를 공연한다.[219]

시바에게 헌정된 지역 축제로는 남인도의 가장 큰 축제 중 하나인 4월/5월경 마두라이에서 열리는 치티라이 축제가 있는데, 미낙시 (파르바티)와 시바의 결혼을 기념한다. 이 축제는 비슈누가 그의 여동생 미낙시를 시바에게 시집보내기 때문에 바이슈나바와 샤이바 공동체가 모두 축하 행사에 참여하는 축제이다.

일부 샥티즘 관련 축제는 주요하고 최고로 여겨지는 여신과 함께 시바를 숭배한다. 여기에는 안나푸르나에게 헌정된 축제(예: ''안나쿠타'')와 두르가와 관련된 축제가 포함된다. 히말라야 지역(예: 네팔), 북부, 중부 및 서부 인도에서는 몬순 기간에 소녀와 여성들이 여신 파르바티를 기리기 위해 그룹 노래, 춤 및 파르바티-시바 사원에서 기도를 바치는 티지 축제를 기념한다.[220][221]

인도의 이슬람 통치 시대에 고행 전사가 된 시바와 관련된 고행, 베다탄트라 하위 전통[222][223]은 쿰바 멜라 축제를 기념한다. 이 축제는 인도 내 4개의 순례지에서 12년마다 순환하며, 3년 간격으로 다음 사이트로 이동한다. 가장 큰 곳은 프라야가 (무굴 통치 시대에 알라하바드로 개명)로, 다양한 전통의 수백만 명의 힌두교인들이 갠지스 강과 야무나 강이 합류하는 곳에 모입니다. 힌두교 전통에서 시바와 관련된 고행 전사(''나가'')는 목욕하고 기도하기 위해 먼저 ''상감''에 들어감으로써 행사를 시작하는 영예를 얻는다.

파키스탄에서는 우메르코트의 우마르코트 시브 만디르에서 주요 시바라트리 행사가 열린다. 사원에서 열리는 3일간의 시바라트리 축제에는 약 25만 명이 참석한다.[224]

6. 불교와의 관계

시바 신의 별칭 중 하나인 '''마헤슈바라'''는 대승 불교에 수용되어 대자재천이 되었다.[534] 대자재천(大自在天)은 한자어 문자 그대로 '크게[大] 자재[自在]한 천신[天, deva, 데바]' 즉 '커다란 역량이 있는 신'으로, 우주를 생성하고 유지하고 파괴하는 역량이 있는 신을 뜻한다. 이는 트리무르티에서 말하는 브라흐만의 한 측면으로서의 시바를 의미한다.[535]

대승불교 중관학파의 개조인 용수(150?~250?)의 《대지도론》 한역본(402~406년) 제2권에는 비슈누(위뉴천)와 무루간(구마라천)과 함께 시바(마혜수라천)에 대한 묘사가 나온다.

마하칼라(Mahakala), 티베트 탕카


시바는 불교 탄트라에서 언급되며, 바즈라야나, 중국 밀교, 티베트 불교에서 험한 신 마하칼라(Mahākāla)로 숭배된다.[234] 불교 탄트라의 우주론에서 시바는 수동적으로 묘사되며, 그의 능동적인 상대는 샥티이다. 즉, 시바는 ''프라즈냐''이고 샥티는 ''우파야''이다.[235][236]

대승 불교에서 시바는 마헤슈바라로 묘사되며, 아카니스타 데발로카에 사는 데바이다. 상좌부 불교에서 시바는 이사나로 묘사되며, 카마두의 6번째 천국에 사크라 인드라와 함께 거주하는 데바이다. 바즈라야나 불교에서 시바는 마하칼라로 묘사되며, 법을 보호하는 보살이다. 대부분의 불교 형태에서 시바의 위치는 마하브라흐마 또는 사크라 인드라보다 낮다. 대승 불교 경전에서 시바(마헤슈바라)는 바슈메슈바라 부처("재의 부처")라고 불리는 부처가 된다.[237]

중국과 타이완에서 시바는 마헤슈바라(중국어: 大自在天; 병음: Dàzìzàitiān; 또는 중국어: 摩醯首羅天 병음: Móxīshǒuluótiān)로 불교 법을 보호하기 위해 나타나는 ''달마팔라'' 그룹인 ''20 데바'' (중국어: 二十諸天, 병음: Èrshí Zhūtiān) 또는 ''24 데바'' (중국어: 二十四諸天, 병음: Èrshísì zhūtiān) 중 하나로 여겨진다.[238] 그의 조각상은 종종 중국 불교 사찰의 대웅전에 다른 ''데바''들과 함께 안치된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키질 석굴에는 불교 사당에서 벽화를 통해 시바를 묘사한 수많은 동굴이 있다.[239][240][241] 또한, 그는 묘법연화경에서 관세음보살의 33가지 화신 중 하나로 여겨진다.[242] 대승 불교 우주론에서 마헤슈바라는 아카니스타에 거주하며, 이곳은 아라한이 되기 위한 길에 이미 들어섰고 깨달음을 얻을 불환자(''순정토'')가 태어나는 곳이다.



중국 불교 ''데바''로 묘사된 시바 조각상, 중국 저장성 푸퉈 산 관음 법계


일본칠복신 중 하나인 다이코쿠텐은 시바에서 진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신은 일본에서 가정의 신으로 숭배받으며 부와 행운의 신으로 숭배받는다.[243] 이름은 시바의 불교 이름인 마하칼라(Mahākāla)에 해당한다.[244] 시바는 밀교에도 등장하며, 그는 우파야로서, 샤크티는 프라즈냐로서 묘사된다[517]. 밀교의 우주관에서는 시바는 수동적으로 묘사되고, 반대로 샤크티가 능동적으로 묘사된다[518] .

시크교 성전 구루 그란트 사히브에 수록된 기도에는 "구루 (지도자)는 시바이며, 구루는 비슈누와 브라흐마이다. 구루는 파르바티와 락슈미이다"라는 구절이 있다[519] . 같은 장에는 "시바가 말한다. 싯다(Siddha, 깨달은 자)들이 귀를 기울인다."라고도 있다. 또한 다른 성전에서는 구루 고빈드 싱이 루드라의 두 아바타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시바 신앙은 에프탈 (유목 국가)과[522] 쿠샨 왕조를 통해 중앙 아시아로 퍼져나갔다. 자라프샨 강 유역의 판지켄트 벽화에서 소그디아나와 호탄 왕국에서도 시바파 신앙이 성행했음을 알 수 있다.[523] 이 벽화에서 시바는 후광을 배경으로 야지노파비타(Yajnopavita, 어깨에서 늘어뜨리는 성스러운 끈)를 착용하고,[523] 호랑이 가죽을 몸에 두른 모습으로 묘사되지만, 그의 권속들은 소그디아나 민족 의상을 입고 있다.[523] 단단 위리크에서 발견된 액자에는 트리무르티의 한 기둥으로서 묘사된 시바에게 샤크티가 무릎 꿇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523][524] 또한 타클라마칸 사막에도 다리가 4개인 시바가, 두 마리의 소가 받치는 옥좌에 다리를 꼬고 앉아 있는 모습이 묘사된 벽화가 존재한다.[523] 게다가 조로아스터교바람의 신이 시바의 특징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524]

인도네시아에서는 시바는 로 숭배받는다. 바타라 구루는 물라자디 나 볼론의 아내, 가 낳은 알에서 처음 부화한 아이로 여겨지며, 이 시바의 아바타는 말레이시아에서도 신앙된다. 인도네시아 힌두교에서는 시바는 마하데와(Mahadewa)로도 신앙된다.[525]

일본칠복신의 한 명인 대흑천은 시바에서 발전한 신격으로 여겨진다. 일본에서는 야시키가미로 모셔져 재물과 행운의 신으로 신앙을 모으고 있다.[526] "대흑천"이라는 이름은 마하칼라의 한역이다.[527]

신흥 종교인 옴진리교에서는 시바를 "시바 대신"으로 위치시키고 모든 근본신으로 삼았다.

7. 대중문화

시바는 현대 문화에서 예술, 영화, 책에 묘사된다. 그는 "쿨한 것들의 신"[247]이자 "진정한 록 영웅"[248]으로 불려왔다. 1967년 칸나다 영화 ''갠제 고우리''는 대중적인 영화였다.[249]

1990년대 DD 내셔널의 텔레비전 시리즈인 ''옴 나마 시바야'' 역시 시바의 전설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250] 아미쉬 트리파티의 2010년 책 ''시바 삼부작''은 백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247] 데본 케 데브...마하데브 (2011–2014)는 라이프 OK 채널에서 방영된 시바에 관한 텔레비전 드라마로, 최고 인기를 누릴 당시 가장 많이 시청된 프로그램 중 하나였다.[251] 또 다른 인기 영화는 2022년 구자라트어 영화 ''하르 하르 마하데브''였다.[249]

참조

[1] 백과사전 Yogeshvara https://books.google[...] M.D. Publications Pvt. Ltd
[2] 서적 Indian Civilization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M.D. Publications Pvt.
[3] 백과사전 Hinduism https://books.google[...] Encyclopaedia Britannica, Inc.
[4] 웹사이트 Shiva | Definition, Forms, God, Symbols, Meaning,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8-10
[5] 웹사이트 Shiva In Mythology: Let's Reimagine The Lord https://www.outlooki[...] 2022-10-28
[6] 문서 ''Shiva Samhita''
[7] 웹사이트 Sanskrit to English Dictionary with Etymology http://www.ibiblio.o[...] Oxford University Press
[8] 문서 use of the term ''śiva'' as an epithet for other Vedic deities
[9] 문서 root ''śarv-''
[10] 문서 definition "Śaivism refers to the traditions which follow the teachings of Śiva (śivaśāna) and which focus on the deity Śiva..."
[11] 서적 Tantra: Cult of the Feminine https://books.google[...] Weiser Books 2002
[12] 서적 Shaivism in Ancient India: From the Earliest Times to C.A.D. 300 https://books.google[...] Meenakshi Prakashan
[13] 문서 translation
[14] 문서 translation
[15] 문서 Siva Sahasranama Stotram
[16] 문서 appearance of the name महादेव in the Shiva Sahasranama
[17] 문서 appearance of the name in the Shiva Sahasranama
[18] 문서 Parameśhvara as "Supreme Lord"
[19] 서적 sahasranAman,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Etymologically and Philologically Arranged with Special Reference to Cognate Indo-European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Reprinted: Motilal Banarsidass)
[20] 문서
[21] 문서 overview of the Śatarudriya
[22] 문서 complete Sanskrit text, translations, and commentary
[23] 문서 Shiva as a composite deity whose history is not well documented
[24] 문서 Jejuri as the foremost center of worship
[25] 문서 worship of Khandoba in the form of a lingam and possible identification with Shiva based on that
[26] 문서 use of the name Khandoba as a name for Karttikeya in Maharashtra
[27] 서적 Animals Into Ar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8] 문서
[29] 문서 translation of paśupati as "Lord of Animals"
[30] 저널 An Archaeology of Yoga 1981-03-01
[31] 서적 Deciphering the Indus Script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서적 The Indus Civilization: A Contemporary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2002
[33] 서적 Indo-European Sacred Space: Vedic and Roman Cul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6
[34] 서적 Gods of Love and Ecstasy: The Traditions of Shiva and Dionysus https://books.google[...] Inner Traditions / Bear & Co
[35] 서적 The Book of Shiva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36] 논문 A Dionysian Scheme on a Seal from Gupta India https://www.jstor.or[...]
[37] 논문 Siva and Dionysos: Visions of Terror and Bliss
[38] 서적 Divine Play, Sacred Laughter, and Spiritual Understanding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6-10-06
[39] 논문 Dionysus and Siva: Parallel Patterns in Two Pairs of Myths https://www.jstor.or[...]
[40] 서적 Dionysus: Myth and Cul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41] 서적 Indo-European Sacred Space: Vedic and Roman Cul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42] 문서 Doniger
[43] 웹사이트 Rudra Hinduism, Shiva, Veda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6-08
[44] 문서 Nirukta 10.7 Translation
[45] 웹사이트 Rig Veda: Rig-Veda, Book 6: HYMN XLVIII. Agni and Others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0-06-06
[46] 문서 Agni and Rudra Bull Horns Parallel
[47] 문서 Rig Veda References
[48] 문서 Agni and Bhairava Flaming Hair
[49] 서적 Śiva, the erotic ascetic Oxford University Press US
[50] 문서 RV 6.45.17 Text and Translation
[51] 문서 RV 6.45.17 Translation
[52] 문서 RV 8.93.3 Text and Translation
[53] 문서 Indra and Rudra Bull Parallel
[54] 문서 Rig Veda Reference
[55] 문서 Indra and Rudra Differences
[56] 웹사이트 Svetasvatara Upanishad - Chap 3 the Highest Reality https://www.esamskri[...] 2022-09-02
[57] 뉴스 Speaking Tree: The Trika Tradition of Kashmir Shaivism https://timesofindia[...] 2009-07-27
[58] 문서 Mahabhasya Date
[59] 서적 Indian Sculpture: Circa 500 B.C.–A.D. 700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0] 문서 Agama Metaphysics and Ritual
[61] 서적 The Canon of the Śaivāgama Motilal Banarsidass
[62] 서적 Śiva Sūtras Motilal Banarsidass
[63] 논문 Siva - The Mad Lord: A Puranic perspective
[64] 웹사이트 Devi bhagwat Purana Skandh 5 Chapter 1 Verse 22-23 https://archive.org/[...]
[65] 서적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 서적 The Kāpālikas and Kālāmukhas: Two Lost Śaivite Sec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6-10-06
[67] 서적 The Variegated Plumage: Encounters with Indian Philosoph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68] 서적 The Doctrine of Vibration: An Analysis of the Doctrines and Practices Associated with Kashmir Shaivism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6-10-06
[69] 웹사이트 Kashmiri Shaiva Philosophy http://www.iep.utm.e[...]
[70] 서적 Krishna: The Beautiful Legend of God: Srimad Bhagavata Purana Penguin
[71] 서적 The Puranas Otto Harrassowitz Verlag
[72] 서적 The Tree of Life Brill Academic
[73] 서적 Ashtanga Yoga https://archive.org/[...] New World
[74] 서적 Iconography of Śiva in Pahāṛī Paintings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2016-10-06
[75] 서적 Between Jerusalem and Benares: Comparative Studies in Judaism and Hinduism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6] 서적 The Atlantic Monthly https://books.google[...] Riverside Press, Cambridge
[77] 서적 The Rigved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78] 서적 The Sword and the Flute: Kālī and Kṛṣṇa, Dark Visions of the Terrible and the Sublime in Hindu Myth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9] 서적 I.A. Richards and Indian Theory of Rasa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80] 서적 The Yoga of Delight, Wonder, and Astonishment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81] 서적 Mandalas and Yantras in the Hindu Traditions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2016-10-06
[82] 서적 The Art and Architecture of the Indian Subcontinent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83] 서적 Outline of the Religious Literature of Indi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84] 서적 Krishna: A Sourcebook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5] 서적 Invading the Sacred Rupa Publication
[86] 웹사이트 Samhara, Saṃhāra: 18 definitions https://www.wisdomli[...] 2014-08-03
[87] 서적 Lord Siva's Song: The Isvara Gita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88] 서적 Śiva Sūtras (a); The Shiva Samhita: A Critical Edition (b)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a); Yoga (b)
[89] 서적 The Yoga of Delight, Wonder, and Astonishment: A Translation of the Vijnana-bhairava with an Introduction and Notes by Jaideva Singh (a); The Yoga of Vibration and Divine Pulsation: A Translation of the Spanda Karika with Ksemaraja's Commentary, the Spanda Nirnaya (b)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b)
[90] 서적 The Dance of Siva: Religion, Art and Poetry in South Ind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1] 서적 The Aphorisms of Siva: The Siva Sutra with Bhaskara's Commentary, the Varttika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92] 서적 The Purāṇas
[93] 서적 Opening to Inner Light: The Transformation of Human Nature and Consciousness (a); Inner Tantric Yoga: Working with the Universal Shakti: Secrets of Mantras, Deities and Meditation (b) https://books.google[...] J.P. Tarcher (a); Lotus (b)
[94] 서적 (Unspecified)
[95] 서적 (Unspecified)
[96] 서적 (Unspecified) (a); Kiss of the Yogini (b) (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b)
[97] 서적 (Unspecified)
[98] 서적 (Unspecified)
[99] 서적 (Unspecified)
[100] 서적 (Unspecified)
[101] 문서 Vedic Sanskrit meaning Lord has three mother eyes which symbolize eyes are the Sun, Moon and Fire.
[102] 서적 (Unspecified)
[103] 서적 (Unspecified)
[104] 서적 (Unspecified)
[105] 서적 (Unspecified)
[106] 서적 Candraśekhara as an iconographic form
[107] 서적 Translation "Having the moon as his crest"
[108] 서적 Moon iconography as marking the rise of Rudra-Shiva
[109] 서적 Linkages between Soma, Moon, and Rudra, and citation to RV 7.74
[110] 서적 Smearing of cremation ashes and practices of Tantra-oriented ascetics
[111] 서적 Brill's Encyclopedia of Hinduism, Volume 5 Brill Academic
[112] 웹사이트 Sechzig Upaniṣad's des Ved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16-10-06
[113] 서적 Translation of Kapardin as "Endowed with matted hair"
[114] 서적
[115] 서적 Kapardin as a name of Shiva, and description of the kaparda hair style
[116] 서적
[117] 서적 name #93
[118] 서적 Shiva drinking the poison churned from the world ocean
[119] 웹사이트 Lord Shiva | Shiv | God Shiva | Shiva God | Mahadev | Lord Shiv | Neelkanth https://www.dadabhag[...] 2020-12-05
[120] 서적 Alternate stories about Gaṅgādhara
[121] 서적 Description of the Gaṅgādhara form
[122] 서적 Shiva supporting Gaṅgā upon his head
[123] 서적 Definition and shape
[124] 서적 Use by Kāpālikas
[125] 서적 South Indian Bronzes Lalit Kalā Akademi
[126] 웹사이트 A Concise Dictionary of Indian Philosophy: Sanskrit Terms Defined in English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27] 웹사이트 Hindu Pilgrimage: Shifting Patterns of Worldview of Srisailam in South In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8] 서적 Evolution of the bull (Nandin) as Shiva's mount
[129] 서적 Spelling of alternate proper names Nandī and Nandin
[130] 서적
[131] 서적 Kailāsagirivāsī as a name appearing in the Shiva Sahasranama
[132] 서적 Identification of Mount Kailāsa as the central linga
[133] 서적 Dictionary of Hindu Lore and Legend
[134] 서적 "Shiva is a god of ambiguity and paradox"
[135] 웹사이트 The Hindu Temple: An Introduction to Its Meaning and Form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6-10-06
[136] 서적 Yajur Veda containing contrary sets of attributes
[137] 서적 Shiva's contrasting depictions in the Mahabharata
[138] 서적 rud- meaning "cry, howl"
[139] 서적 Citation to M. Mayrhofer, Concise Etymological Sanskrit Dictionary, s.v. "rudra"
[140] 서적 Contrast between ascetic and householder depictions
[141] harvnb
[142] harvnb
[143] harvnb
[144] harvnb
[145] harvnb
[146] harvnb
[147] 서적 Search for Meaning
[148] harvnb
[149] 웹사이트 Splitting the difference: gender and myth in ancient Greece and In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11-07
[150] 서적 Same-sex love in India: readings from literature and history Palgrave Macmillan
[151] 웹사이트 The man who was a woman and other queer tales of Hindu lo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11-07
[152] 문서 Mohini#Relationship with Shiva
[153] 웹사이트 Indian Witchcraft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154] 웹사이트 Puranic Encyclopaedia: a Comprehensive Dictionar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pic and Puranic Literature https://archive.org/[...]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155] 웹사이트 The Bedtrick: Tales of Sex and Masquerad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6] harvnb
[157] harvnb
[158] harvnb
[159] harvnb
[160] harvnb
[161] 서적 India's Kathak Dance, Past Present, Future Abhinav Publications
[162] 서적 Romance of the Raga Abhinav Publications
[163] 서적 A Dictionary of Asian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64] 서적 Kuṇḍalinī Yoga Motilal Banarsidass
[165] 웹사이트 Srimad Bhagavatam Canto 1 Chapter 2 Verse 23 http://vedabase.net/[...] 2010-11-23
[166] harvnb
[167] harvnb
[168] harvnb
[169] harvnb
[170] 서적 Sanskrit-English Dictionary Universität zu Köln
[171] harvnb
[172] harvp
[173] 백과사전 Ardhanārīśvara http://www.britannic[...] 2011-01-26
[174] 서적 Elements of Hindu Iconography. Vol. 2: Part I Law Printing House
[175] harvnb
[176] 서적 Kramrisch
[177] 서적 Kramrisch
[178] 서적 Kramrisch
[179] 서적 Kramrisch
[180] 서적 Apte
[181] 서적 Kramrisch
[182] 서적 Kramrisch
[183] 서적 The Art and Architecture of the Indian Subcontinent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84] 서적 Siva Gita A Critical Study https://shodhganga.i[...] 2021-07-16
[185] 서적 The Myths and Gods of India https://archive.org/[...] Inner Traditions / Bear & Co
[186] 웹사이트 Lingam: Hindu symbol https://web.archive.[...] 2016-10-11
[187] 서적 Sanskrit to English Dictionary
[188] 서적 Encyclopedia of Love in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ABC-CLIO
[189] 서적 Śiva, the erotic ascetic Oxford University Press
[190] 서적 On Hinduism Oxford University Press
[191] 서적 The Hindus: An Alternative History Viking Press
[192] 서적 Cultural Encyclopedia of the Peni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1-07-14
[193] 서적 The Indispensable Vivekananda Orient Blackswan
[194] 서적 Lord Siva and His Worship The Divine Life Trust Society 2009-01-18
[195] 서적 The Tantric Tradition Red Wheel/Weiser
[196] 학술지 Are Dialogues Antidotes to Violence? Two Recent Examples From Hinduism Studies https://web.archive.[...] 2008-03-01
[197] 서적 Academic Hinduphobia: A critique of Wendy Doniger's erotic school of Indology Voice of India
[198] 서적 Invading the Sacred: An Analysis of Hinduism Studies in America Rupa & Co. 2007
[199] 웹사이트 The interpretation of god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Chicago 2021-07-19
[200]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Volume 1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1] 서적 Kali: The Black Goddess of Dakshineswar Motilal Banarsidass
[202]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Swami Vivekananda
[203] 서적 Omkareshwar and Maheshwar https://books.google[...] Eicher Goodearth and Madhya Pradesh Government
[204] 서적 Avatar and incarn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5]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Volume 1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6]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2: N–Z Rosen Publishing
[207] 서적 Avatar and incarn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8] 서적 Hanuman's tale: the messages of a divine monke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9] 서적 Hanumān in the Rāmāyaṇa of Vālmīki and the Rāmacaritamānasa of Tulasī Dās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210] 서적 Hanuman Chalisa Sri Ramakrishna Math
[211] 웹사이트 Footnote 70:1 to Horace Hayman Wilson's English translation of The Vishnu Purana: Book I – Chapter IX http://www.sacred-te[...] 2012-07-17
[212] 웹사이트 Footnote 83:4 to Horace Hayman Wilson's English translation of The Vishnu Purana: Book I – Chapter X http://www.sacred-te[...] 2012-07-17
[213] 웹사이트 Srimad Bhagavatam Canto 4 Chapter 1 – English translation by A.C. Bhaktivedanta Swami Prabhupada https://web.archive.[...]
[214] 서적 A Thousand Teachings: The Upadesasahasri of Sankara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15] 서적 Dealing with Deities: The Ritual Vow i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16] 서적 My Hindu Year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217] 서적 The Hindu Religious Year Asian Educational Services
[218] 뉴스 Tubers are the veggies of choice to celebrate Thiruvathira https://www.thehindu[...] 2020-03-06
[219] 웹사이트 Thiruvathira – Kerala's own version of Karva Chauth http://travel.manora[...] Manorama 2020-03-06
[220] 학술지 The Monsoon Festival Teej in Rajasthan
[221] 학술지 The Songs of Tij: A Genre of Critical Commentary for Women in Nepal
[222] 학술지 Warrior Ascetics in Indian History https://www.jstor.or[...]
[223] 서적 Warrior Ascetics and Indian Empi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4] 뉴스 The thriving Shiva festival in Umarkot is a reminder of Sindh's Hindu heritage https://www.dawn.com[...] 2018-02-27
[225] 학술지 The Goddess Durgā in the East-Javanese Period https://www.jstor.or[...]
[226] 서적 Ensiklopedi wayang Indonesia: A-B https://books.google[...] Sekretariat Nasional Pewayangan Indonesia
[227] 서적 The British in Java, 1811–1816: a Javanese accou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for British Academy
[228] 서적 Het Buddhisme Java en Sumatra in Zijn laatste boeiperiods T.B.G.
[229] 서적 Classical Hinduism
[230] 서적 Buddhism in Central Asia
[231] 웹사이트 https://en.unesco.or[...] 2019-12-29
[232] 서적 Neighboring Faiths: A Christian Introduction to World Religions InterVarsiry Press
[233] 서적 Dasam Granth https://books.google[...] Hemkunt Press 2020-11-07
[234] 서적 Chinese and Tibetan Esoteric Buddhism Brill Publishers
[235] 서적 Buddhist Thought and Ritual Motilal Banarsidass
[236] 서적 What Is Tantric Practice?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06
[237] 서적 Indian Esoteric Buddhism: A Social History of the Tantric Movement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2-12-18
[238] 서적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th Sanskrit and English equivalents and a Sanskrit-Pali index https://www.worldcat[...] RoutledgeCurzon 2004
[239] 서적 India in the Chinese Imagination: Myth, Religion, and Though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40] 서적 India and Central Asia: Classical to Contemporary Periods https://books.google[...] Concept Publishing Company 2007
[241] 학술지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Pensive Bodhisattva Images of Asia https://www.jstor.or[...] 1993
[242] 서적 The lotus sutra http://worldcat.org/[...] Sri Satguru Publications 1999
[243] 서적 Japanese Mythology A to Z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44] 서적 Indian Sculpture: 700–1800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245] 서적 Folk Legends from Tono: Japan's Spirits, Deities, and Phantastic Creatur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46]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47] 뉴스 Shiva, the god of cool things http://indiatoday.in[...] 2017-04-11
[248] 뉴스 Shiva, the brand God who never fails http://blogs.economi[...] 2017-04-11
[249] 서적 Filming the Gods: Religion and Indian Cinem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
[250] 뉴스 TV series ''Om Namah Shivay'' had 52 songs by top singers: Director Dheeraj Kumar https://www.outlooki[...] 2020-06-16
[251] 뉴스 Mahadev tops TRP charts with a new record of 8.2 TVR http://timesofindia.[...] 2017-04-11
[252] 문서
[253] 문서 Tattwananda
[254] 문서 Zimmer
[255] 간행물 The Hindu Trinity http://www.jstor.org[...]
[256] 문서
[257] 문서 Davis
[258] 문서 Shiva Samhita
[259] 문서 Varenne
[260] 문서 Marchand for Jnana Yoga
[261] 문서 Fuller
[262] 문서 Keay
[263] 서적 Sanskrit to English Dictionary with Etymology http://www.ibiblio.o[...] Oxford University Press
[264]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65] 문서
[266] 문서
[267] 문서
[268] 문서
[269] 서적 Tantra: Cult of the Feminine https://books.google[...] Weiser Books 2002
[270] 서적 Shaivism in Ancient India: From the Earliest Times to C.A.D. 300 https://books.google[...] Meenakshi Prakashan
[271] 문서 Sri Vishnu Sahasranama
[272] 문서 Swami Chinmayananda's translation of Vishnu sahasranama Central Chinmaya Mission Trust
[273] 문서
[274] 문서
[275] 문서 Chidbhavananda, "Siva Sahasranama Stotram"
[276]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A-M https://books.google[...] Rosen Publishing Group
[277] 문서 Kramrisch
[278] 문서
[279] 문서 Kramrisch
[280] 서적 sahasranAman,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Etymologically and Philologically Arranged with Special Reference to Cognate Indo-European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Reprinted: Motilal Banarsidass)
[281] 논문 undefined 1996
[282] 문서 undefined
[283] 서적 The Anthropological Romance of Bali 1597-197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4] 서적 World Heritage Monuments and Related Edifices in India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2008-01-01
[285] 서적 Prehistoric Rock Paintings of Bhimbetka, Central India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86] 서적 A Survey of Hinduism, 3rd Edition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University Press
[287] 서적 Animals Into Ar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88] 웹사이트 Pre-History & Archaeology http://www.nationalm[...] National Museum, New Delhi (India) 2016-12-02
[289] 논문 undefined 1996
[290] 논문 undefined 1996
[291] 논문 Rgvedic Base of the Pasupati Seal of Mohenjo-Daro 1989
[292] 서적 Ancient Cities of the Indus Valley Civi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93] 논문 undefined
[294] 서적 The Making of India: A Historical Survey M.E. Sharpe
[295] 서적 Ancient Indian Civilization Arnold-Heinemann
[296] 서적 Essential Hinduism Greenwood Publishing Group
[297] 논문 undefined 2003
[298] 서적 India: A History Grove Press
[299] 서적 Many Heads, Arms and Eyes: Origin, Meaning and Form in Multiplicity in Indian Art Brill
[300] 서적 The Indus Civilization: A Contemporary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2002-11-11
[301] 서적 Gods of Love and Ecstasy: The Traditions of Shiva and Dionysus https://books.google[...] Inner Traditions / Bear & Co
[302] 서적 The Book of Shiva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303] 논문 A Dionysian Scheme on a Seal from Gupta India http://www.jstor.org[...] 2005-12-01
[304] 학술지 Siva and Dionysos: Visions of Terror and Bliss
[305] 서적 Divine Play, Sacred Laughter, and Spiritual Understanding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306] 논문 Dionysus and Siva: Parallel Patterns in Two Pairs of Myths http://www.jstor.org[...] 1980-08-01
[307] 서적 Dionysus: Myth and Cul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308] 서적 Indo-European Sacred Space: Vedic and Roman Cul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309] 서적 The Śākta Pīṭha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310] 문서 undefined
[311] 논문 undefined
[312] 서적 인도신화전설사전
[313] 논문 undefined
[314] 논문 undefined 2003
[315] 논문 undefined
[316] 서적 神の文化史事典
[317] 서적 The Presence of Siv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8] 서적 インド神話伝説辞典
[319] 문서
[320] 문서
[321] 문서
[322] 서적 The Presence of Siv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3] 문서
[324] 문서
[325] 문서
[326] 문서
[327] 문서
[328] 문서
[329] 웹사이트 Rig Veda: Rig-Veda, Book 6: HYMN XLVIII. Agni and Others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0-06-06
[330] 문서
[331] 문서
[332] 문서
[333] 서적 Śiva, the erotic ascetic Oxford University Press US
[334] 문서
[335] 문서
[336] 문서
[337] 문서
[338] 문서
[339] 문서
[340] 문서
[341] 서적 Carving Devotion in the Jain Caves at Ellora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342] 간행물 The Stūpa of the Kushan Emperor Kanishka the Great Sino-Platonic Papers http://www.sino-plat[...]
[343] 서적 Hindu Art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344] 서적 Satarudriya: Vibhuti Or Shiva's Iconography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345] 서적 Indian Sculpture: Circa 500 B.C.-A.D. 7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46] 서적 Shvetashvatara Upanisha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47] 서적 The Essentials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
[348] 간행물 Many Heads, Arms, and Eyes Brill 1968-06
[349] 간행물 Mahakala's Journey: from Gana to God http://www.jstor.org[...] 2003
[350] 문서
[351] 서적 Courtright
[352] 서적 Mate
[353] 서적 Biroba, Mhaskoba und Khandoba: Ursprung, Geschichte und Umwelt von pastoralen Gottheiten in Maharastra Wiesbaden
[354] 서적 Mate
[355] 서적 Preface
[356] 웹사이트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7] 웹사이트 The Kāpālikas and Kālāmukhas: Two Lost Śaivite Sec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58] 웹사이트 The Variegated Plumage: Encounters with Indian Philosoph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359] 웹사이트 The Doctrine of Vibration: An Analysis of the Doctrines and Practices Associated with Kashmir Shaivism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60] 웹사이트 Kashmiri Shaiva Philosophy http://www.iep.utm.e[...] University of Manitoba, Canada, IEP
[361] 서적 Krishna: The Beautiful Legend of God: Srimad Bhagavata Purana Penguin
[362] 서적 The Puranas Otto Harrassowitz Verlag
[363] 서적 The Tree of Life BRILL Academic
[364] 서적 Ashtanga Yoga New World
[365] 웹사이트 Iconography of Śiva in Pahāṛī Paintings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366] 웹사이트 Between Jerusalem and Benares: Comparative Studies in Judaism and Hinduism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67] 웹사이트 The Atlantic Monthly https://books.google[...] Riverside Press, Cambridge
[368] 웹사이트 The Rig Veda/Mandala 10/Hymn 125 https://en.wikisourc[...]
[369] 웹사이트 The Sword and the Flute: Kālī and Kṛṣṇa, Dark Visions of the Terrible and the Sublime in Hindu Myth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70] 웹사이트 I.A. Richards and Indian Theory of Rasa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371] 웹사이트 The Yoga of Delight, Wonder, and Astonishment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72] 웹사이트 Mandalas and Yantras in the Hindu Traditions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373] 웹사이트 The Art and Architecture of the Indian Subcontinent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374]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Hindu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5] 웹사이트 Lord Siva's Song: The Isvara Gita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76] 웹사이트 Śiva Sūtra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376] 웹사이트 The Shiva Samhita: A Critical Edition https://books.google[...] Yoga
[377] 웹사이트 The Yoga of Delight, Wonder, and Astonishment: A Translation of the Vijnana-bhairava with an Introduction and Notes by Jaideva Singh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77] 웹사이트 The Yoga of Vibration and Divine Pulsation: A Translation of the Spanda Karika with Ksemaraja's Commentary, the Spanda Nirnaya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78] 웹사이트 The Dance of Siva: Religion, Art and Poetry in South Ind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9] 서적 The Purāṇas
[380] 서적 Zimmer
[381] 웹사이트 The Hindu Trinity http://www.jstor.org[...]
[381] 서적 Kiss of the Yogini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82] 서적 Flood
[383] 서적 Chakravarti
[384] 서적 Chakravarti
[385] 서적 Kramrisch
[386] 서적 Ambikās 1968
[387] 서적 Ambikā
[388] 서적 moon on the forehead
[389] 서적 śekhara
[390] 서적 Candraśekhara 1976
[391] 서적 Having the moon as his crest
[392] 서적 moon iconography as marking the rise of Rudra-Shiva
[393] 서적 1996
[394] 서적 1996
[395] 서적 Brill's Encyclopedia of Hinduism, Volume 5 Brill Academic 2013
[396] 서적 Sechzig Upaniṣad's des Ved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980
[397] 서적
[398] 서적 Endowed with matted hair 1996
[399] 서적
[400] 서적 Kapardin
[401] 서적 1996
[402] 서적 name #93
[403] 서적 Shiva drinking the poison churned from the world ocean 1996
[404] 서적
[405] 서적 Gaṅgādhara
[406] 서적 Gaṅgādhara 1976
[407] 서적 Shiva supporting Gaṅgā
[408] 서적 1996
[409] 서적
[410] 서적
[411] 서적
[412] 서적
[413] 서적 Kāpālikas
[414] 서적 South Indian Bronzes Lalit Kalā Akademi 1963
[415] 서적 A Concise Dictionary of Indian Philosophy: Sanskrit Terms Defined in English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6
[416] 서적 Hindu Pilgrimage: Shifting Patterns of Worldview of Srisailam in South In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417] 서적 evolution of the bull (Nandin) as Shiva's mount
[418] 서적 Nandī and Nandin
[419] 서적 1996
[420] 서적
[421] 서적 Shiva Sahasranama 1996
[422] 서적 Mount Kailāsa as the central linga 1985
[423] 서적 Dictionary of Hindu Lore and Legend
[424] 서적
[425] 서적 Shiva is a god of ambiguity and paradox 1996
[426] 웹사이트 The Hindu Temple: An Introduction to Its Meaning and Form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7
[427] 서적
[428] 서적 1988
[429] 서적 rud- meaning "cry, howl"
[430] 서적 Citation to M. Mayrhofer, Concise Etymological Sanskrit Dictionary, s.v. "rudra"
[431] 서적
[432] 서적
[433] 서적
[434] 서적
[435] 서적 1996
[436] 서적 1996
[437] 서적
[438] 서적
[439] 서적
[440] 서적 1996
[441] 서적
[442] 서적
[443] 서적 Preface
[444] 웹사이트 Splitting the difference: gender and myth in ancient Greece and In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9
[445] 서적 Same-sex love in India: readings from literature and history Palgrave Macmillan 2001
[446] 웹사이트 The man who was a woman and other queer tales of Hindu lo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1
[447] 웹사이트 Mohini#Relationship with Shiva
[448] 서적 Offering Flowers, Feeding Skulls: Popular Goddess Worship in West Benegal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04
[449] 서적 Puranic Encyclopaedia: a Comprehensive Dictionar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pic and Puranic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1975
[450] 서적 nataraja form
[451] 서적 Interpretation of the naṭarāja form
[452] 서적 1996
[453] 서적
[454] 서적
[455] 서적 Siva's Da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456] 서적 Mythologies and Philosophies of Salvation in the Theistic Traditions of India Wilfrid Laurier Univ. Press
[457] 서적 India's Kathak Dance, Past Present, Future Abhinav Publications
[458] 서적 Romance of the Raga Abhinav Publications
[459] 서적 A Dictionary of Asian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460] 서적 Kuṇḍalinī Yoga Motilal Banarsidass
[461] 웹사이트 when it requires to be destroyed, Lord Śiva does it by the tāṇḍavanṛtya https://web.archive.[...]
[462] 문서 iconographic description of the Dakṣiṇāmūrti form
[463] 문서 description of the form as representing teaching functions
[464] 문서 characterization of Dakṣiṇāmūrti as a mostly south Indian form
[465] 문서 the deer-throne and the audience of sages as Dakṣiṇāmūrti
[466]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467] 문서 Goldberg's rejection of Marglin's translation
[468] 문서 evolution of the story from early sources to the epic period
[469] 문서 the Tripurāntaka form
[470] 문서
[471] 문서
[472] 문서
[473] 백과사전 Lingam: Hindu symbol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474] 사전 Sanskrit to English Dictionary, लिङ्ग
[475] 서적 Encyclopedia of Love in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ABC-CLIO
[476] 서적 Śiva, the erotic ascetic Oxford University Press
[477] 서적 The Indispensable Vivekananda Orient Blackswan
[478] 서적 Lord Siva and His Worship http://www.dlshq.org[...] The Divine Life Trust Society
[479] 학술지 Are Dialogues Antidotes to Violence? Two Recent Examples From Hinduism Studies http://www.jsri.ro/n[...] 2008-03-01
[480]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Volume 1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481] 서적 Kali: The Black Goddess of Dakshineswar Motilal Banarsidass
[482]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Swami Vivekananda
[483] 서적 Omkareshwar and Maheshwar https://books.google[...] Eicher Goodearth and Madhya Pradesh Government
[484] 문서 five as a sacred number
[485] 문서 the five syllable mantra
[486] 문서 these five forms and a table summarizing the associations of these five mantras
[487] 문서 distinct iconography
[488] 문서 association with the five faces and other groups of five
[489] 문서 the epithets pañcamukha and pañcavaktra
[490] 문서 variation in attributions among texts
[491] 서적 Kramrisch
[492] 서적 Pañcabrahma Upanishad
[493] 서적 Avatar and incarn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494]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Volume 1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495]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Rosen Publishing
[496]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497] 서적 Avatar and incarn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498] 서적 Hanuman's tale: the messages of a divine monke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
[499] 서적 Hanumān in the Rāmāyaṇa of Vālmīki and the Rāmacaritamānasa of Tulasī Dās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500] 간행물 Hanuman Chalisa Sri Ramakrishna Math
[501] 웹사이트 Footnote 70:1 to Horace Hayman Wilson's English translation of The Vishnu Purana: Book I - Chapter IX http://www.sacred-te[...] 2016-12-02
[502] 웹사이트 Footnote 83:4 to Horace Hayman Wilson's English translation of The Vishnu Purana: Book I - Chapter X http://www.sacred-te[...] 2016-12-02
[503] 웹사이트 Srimad Bhagavatam Canto 4 Chapter 1 - English translation by A.C. Bhaktivedanta Swami Prabhupada http://vedabase.net/[...]
[504] 서적 A Thousand Teachings: The Upadesasahasri of Sankara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05] 서적 Dealing with Deities: The Ritual Vow i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06]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507] 서적 Religious Festivals in South India and Sri Lanka (Chapter: "Mahāśivaratri: the Saiva festival of repentance") https://books.google[...] Manohar
[508] 서적 My Hindu Year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509]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510]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511]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512] 논문 The Monsoon Festival Teej in Rajasthan
[513] 논문 The Songs of Tij: A Genre of Critical Commentary for Women in Nepal
[514] 논문 Warrior Ascetics in Indian History http://www.jstor.org[...]
[515] 서적 Warrior Ascetics and Indian Empi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6]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517] 서적 Buddhist Thought and Ritual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cations 2013-10-13
[518] 서적 What Is Tantric Practice? https://books.google[...] 2013-10-13
[519] 서적 Neighboring Faiths: A Christian Introduction to World Religions InterVarsiry Press
[520] 서적 Folk Legends from Tono: Japan's Spirits, Deities, and Phantastic Creatur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521]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522] 서적 Classical Hinduism
[523] 서적 Buddhism in Central Asia
[524] 문서 Religions and Religious Movements – II http://en.unesco.org[...]
[525] 서적 Wayang, its significance in Indonesian society
[526] 서적 Japanese Mythology A to Z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527] 서적 Indian Sculpture: 700-1800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528] harvnb
[529] 서적 Śaivism in Philosophical Perspective: A Study of the Formative Concepts, Problems, and Methods of Śaiva Siddhānt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530] 문서 목이 검푸른 이유는 유해교반 때 신들과 아수라가 우유 바다를 휘젓는데 성공했을 때 나온 부산물 중 하나인 세계를 멸망시킬 수 있는 맹독을 시바 신이 희생하여 자신의 목에 머금은 후로 목의 색깔이 검푸르게 변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531] 문서 이마에 있는 제3의 눈은 시바 신이 요가 명상을 하고 있을 때 아내 파르바티가 시바 신 뒤에서 장난삼아 양손으로 눈을 가리자 세계는 곧바로 암흑으로 변하려고 하였고 그 순간 시바 신의 이마가 찢어지며 생겨난 눈으로, 이 제3의 눈에서 발하는 빛은 삼라 만상을 불태울 수 있으며, 시바는 제3의 눈을 비롯한 양쪽 눈을 통하여 과거, 현재, 미래를 투시할 수 있다고 한다.
[532] 하버드 인용
[533] 하버드 인용
[534] 하버드 인용
[535] 간행물 Evolution of Religio-Philosophic Culture in India Radhakrishnan (CHI, 195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