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포구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포구의 행정 구역은 16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행정동은 면적, 세대, 인구 등의 정보를 가지며,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등이 포함된다. 마포구는 1944년 경성부 서대문구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1946년 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1975년 서대문구 상암동, 성산동 등이 편입되었다.

2. 행정 구역

wikitable

행정동한자면적세대인구
공덕동孔德洞1.0216,12637,399
아현동阿峴洞0.768,15319,484
도화동桃花洞0.629,40823,943
용강동龍江洞0.847,77719,365
대흥동大興洞0.898,41716,044
염리동鹽里洞0.438,26118,618
신수동新水洞0.789,80123,720
서강동西江洞1.4711,52925,855
서교동西橋洞1.6315,46729,052
합정동合井洞1.719,42621,058
망원1동望遠洞1.1410,78724,960
망원2동0.678,28721,628
연남동延南洞0.659,07520,461
성산1동城山洞0.808,89621,301
성산2동2.0715,62841,371
상암동上岩洞8.3911,33333,474
마포구麻浦區23.87168,371397,736



마포구 행정구역

3. 동별 역사

행정동법정동한자설명
공덕동공덕동孔德洞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서부 용산방 청파4계(靑坡四契)·공덕리계(孔德里契)·만리창계(萬里倉契) 지역이었다. 1913년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 공덕리로 되었고, 1936년 경성부 공덕정(孔德町)으로 편입되었다. 1943년 서대문구 공덕정이 되었고, 1944년 마포구 관할이 되었으며, 1946년 10월 1일 공덕동으로 개명.[2]
신공덕동新孔德洞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서부 용산방 성외(城外) 신창계(新倉契)였다. 1913년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龍江面) 신공덕리(新孔德里)였고, 1936년 경성부 신공덕정(新孔德町)으로 편입되었다. 1943년 서대문구 신공덕정으로 바뀌었고, 1944년 마포구 관할이 되었으며, 1946년 10월 1일 신공덕동으로 개명.[2]
아현동↓ 참고
아현동아현동阿峴洞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서부 반송방 아현계(阿峴契)· 차자리계(車子里契)· 권정승계(權政丞契)였다. 1913년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龍江面) 아현리로 되었고, 1936년 경성부 아현정(阿峴町)으로 바뀌었다. 1943년 서대문구로 편입되었고, 1944년 마포구에 속한 뒤 1946년 10월 1일 아현동으로 개명.[2]
공덕동↑ 참고
염리동↓ 참고
도화동도화동桃花洞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서부 용산방 마포계(麻浦契)·도화동계(桃花洞契)였다. 1911년 경성부 용산면에 속하였고, 1914년에는 도화정(桃花町)이라고 하였다. 1943년 용산구에 편입되었고, 1944년 마포구로 관할이 바뀌었으며, 1946년 10월 1일 도화동으로 개명.[2]
마포동麻浦洞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마포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마포동으로 개명.[2]
용강동용강동龍江洞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용강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용강동으로 개명.[2]
토정동土亭洞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토정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토정동으로 개명.[2]
도화동↑ 참고
마포동↑ 참고
대흥동↓ 참고
염리동↓ 참고
대흥동대흥동大興洞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대흥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대흥동으로 개명.[2]
노고산동老故山洞1936년 노고산정(老姑山町), 1943년에는 서대문구 노고산정이라 하였다. 1946년 10월 1일 노고산동으로 개명.[2] 1964년 6월 1일 서대문구에서 마포구로 편입되었다.
신수동↓ 참고
염리동염리동鹽里洞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염리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염리동으로 개명.[2]
신수동신수동新水洞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신수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신수동으로 개명.[2]
현석동玄石洞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현석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현석동으로 개명.[2]
구수동舊水洞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구수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구수동으로 개명.[2]
신정동新井洞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신정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신정동으로 개명.[2]
대흥동↑ 참고
서강동창전동倉前洞조선시대의 창고인 광흥창의 앞동네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창전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창전동으로 개명.[2]
상수동上水洞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상수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상수동으로 개명.[2]
하중동賀中洞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하중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하중동으로 개명.[2]
당인동唐人洞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당인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당인동으로 개명.[2]
신정동↑ 참고
서교동서교동西橋洞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서교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서교동으로 개명.[2]
동교동東橋洞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동교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동교동으로 개명.[2]
노고산동↑ 참고
합정동합정동合井洞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합정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합정동으로 개명.[2]
망원1동망원동望遠洞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망원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망원동으로 개명.[2] 한강을 이웃하고 있어,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서울의 상습 침수 지역 중 하나였다. 이런 이유 때문에 개발도 상대적으로 덜 돼 망원동은 인근 합정동이나 상암동에 비해 노후 주택이 많은 편이다.[3]
망원2동
연남동연남동延南洞1975년 연희동 일부를 분리하여 연남동이라고 하였다.
성산1동성산동城山洞1949년 8월 13일 서대문구(은평출장소에서 관할)로 편입되었고[4] 1975년 10월 1일 마포구 관할이 되었다.[5]
성산2동
중동中洞1949년 8월 13일 서대문구(은평출장소에서 관할)로 편입되었다.[4]
상암동상암동上岩洞1949년 8월 13일 서대문구(은평출장소에서 관할)로 편입되었고[4] 1975년 10월 1일 마포구 관할이 되었다.[5]


4. 역사

1944년 11월 1일 경기도 경성부 서대문구에서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경기도 경성부 마포구를 설치하였다.[6] 이때 분리된 지역은 서대문구의 공덕정, 신공덕정, 아현정, 신수정, 현석정, 구수정, 신정정, 창전정, 상수일정, 하수일정, 하중정, 당인정, 서교정, 동교정, 합정정, 망원정, 율도정과 용산구의 도화정, 마포정, 용강정, 토정정, 대흥정, 염리정이었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서대문구 공덕정, 신공덕정, 아현정, 신수정, 현석정, 구수정, 신정정, 창전정, 상수일정, 하수일정, 하중정, 당인정, 서교정, 동교정, 합정정, 망원정, 율도정마포구 일원
용산구 도화정, 마포정, 용강정, 토정정, 대흥정, 염리정



1946년 8월 15일 서울시 마포구로, 1946년 9월 28일 서울특별자유시 마포구로 개칭하였다. 1946년 10월 1일에는 기존의 '~정(町)' 행정구역을 '~동(洞)'으로 일괄 변경하였다.[7] 1949년 8월 15일 서울특별시 마포구로 다시 개칭하였다.

1955년 4월 18일에는 종전의 동회를 동으로 개편하면서 19개의 행정동(아현1·2·3·4동, 공덕1·2·3·4동, 신공덕1·2동, 도화1·2동, 관란동, 대흥동, 염리동, 신석동, 세교동, 서강동, 망원동)이 설치되었다.[8] 1964년 6월 1일 서대문구와 행정구역 조정이 이루어져,[9] 서대문구 노고산동 전부와 대현동 일부가 마포구 노고산동으로 편입되었고, 마포구 아현동 일부는 서대문구 북아현동으로 편입되었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서대문구 노고산동 전부 및 대현동 일부마포구 노고산동
마포구 아현동 일부서대문구 북아현동으로 편입



1970년 5월 18일 아현1·2·3·4동을 아현1·2·3동으로, 공덕1·2·3·4동을 공덕1·2동으로, 신공덕1·2동을 신공덕동으로 통합하고, 관란동을 용강동으로, 신석동을 신수동으로 개칭하였다. 또한 서강동을 창전동과 상수동으로, 세교동을 서교동과 합정동으로 분리하여 18개 행정동이 되었다.

1975년 10월 1일 서대문구 상암동, 성산동과 수색동, 중동, 남가좌동, 연희동 일부가 마포구로 편입되어 상암동, 성산동, 연남동이 설치되었다.[5]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서대문구 상암동, 성산동과 수색동, 중동, 남가좌동, 연희동 일부마포구 상암동, 성산동, 연남동



1977년 9월 1일 성산동을 성산1동, 성산2동으로 분동하였다.[10] 1980년 7월 1일 서교동을 서교동, 동교동으로, 망원동을 망원1·2동으로 분동하였다.[11] 1989년 6월 1일 하수동을 상수동에 편입하였다.[12]

2007년 1월 1일 아현2동과 아현3동을 아현2동으로, 도화1동과 도화2동을 도화동으로, 대흥동과 노고산동을 대흥동으로, 창전동과 상수동을 서강동으로 통합하였다.[13] 2008년 1월 7일 아현2동과 공덕2동을 아현동으로, 아현1동과 공덕1동, 신공덕동을 공덕동으로, 서교동과 동교동을 서교동으로 통합하여 현재의 16개 행정동이 되었다.[14]

4. 1. 연혁

1944년 11월 1일 경기도 경성부 서대문구에서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경기도 경성부 마포구를 설치하였다.[6] 이때 분리된 지역은 서대문구의 공덕정, 신공덕정, 아현정, 신수정, 현석정, 구수정, 신정정, 창전정, 상수일정, 하수일정, 하중정, 당인정, 서교정, 동교정, 합정정, 망원정, 율도정과 용산구의 도화정, 마포정, 용강정, 토정정, 대흥정, 염리정이었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서대문구 공덕정, 신공덕정, 아현정, 신수정, 현석정, 구수정, 신정정, 창전정, 상수일정, 하수일정, 하중정, 당인정, 서교정, 동교정, 합정정, 망원정, 율도정마포구 일원
용산구 도화정, 마포정, 용강정, 토정정, 대흥정, 염리정



1946년 8월 15일 서울시 마포구로, 1946년 9월 28일 서울특별자유시 마포구로 개칭하였다. 1946년 10월 1일에는 기존의 '~정(町)' 행정구역을 '~동(洞)'으로 일괄 변경하였다.[7] 1949년 8월 15일 서울특별시 마포구로 다시 개칭하였다.

1955년 4월 18일에는 종전의 동회를 동으로 개편하면서 19개의 행정동(아현1·2·3·4동, 공덕1·2·3·4동, 신공덕1·2동, 도화1·2동, 관란동, 대흥동, 염리동, 신석동, 세교동, 서강동, 망원동)이 설치되었다.[8] 1964년 6월 1일 서대문구와 행정구역 조정이 이루어져,[9] 서대문구 노고산동 전부와 대현동 일부가 마포구 노고산동으로 편입되었고, 마포구 아현동 일부는 서대문구 북아현동으로 편입되었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서대문구 노고산동 전부 및 대현동 일부마포구 노고산동
마포구 아현동 일부서대문구 북아현동으로 편입



1970년 5월 18일 아현1·2·3·4동을 아현1·2·3동으로, 공덕1·2·3·4동을 공덕1·2동으로, 신공덕1·2동을 신공덕동으로 통합하고, 관란동을 용강동으로, 신석동을 신수동으로 개칭하였다. 또한 서강동을 창전동과 상수동으로, 세교동을 서교동과 합정동으로 분리하여 18개 행정동이 되었다.

1975년 10월 1일 서대문구 상암동, 성산동과 수색동, 중동, 남가좌동, 연희동 일부가 마포구로 편입되어 상암동, 성산동, 연남동이 설치되었다.[5]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서대문구 상암동, 성산동과 수색동, 중동, 남가좌동, 연희동 중 일부마포구 상암동, 성산동, 연남동



1977년 9월 1일 성산동을 성산1동, 성산2동으로 분동하였다.[10] 1980년 7월 1일 서교동을 서교동, 동교동으로, 망원동을 망원1·2동으로 분동하였다.[11] 1989년 6월 1일 하수동을 상수동에 편입하였다.[12]

2007년 1월 1일 아현2동과 아현3동을 아현2동으로, 도화1동과 도화2동을 도화동으로, 대흥동과 노고산동을 대흥동으로, 창전동과 상수동을 서강동으로 통합하였다.[13] 2008년 1월 7일 아현2동과 공덕2동을 아현동으로, 아현1동과 공덕1동, 신공덕동을 공덕동으로, 서교동과 동교동을 서교동으로 통합하여 현재의 16개 행정동이 되었다.[14]

5. 인구

5. 1. 인구 변화

6. 정치

6. 1. 국회의원 선거

6. 2. 지방선거

7. 교통

7. 1. 지하철

7. 2. 버스

8. 교육

8. 1. 대학교

8. 2.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9. 문화

9. 1. 문화 시설

9. 2. 축제 및 행사

10. 랜드마크

10. 1. 주요 랜드마크

11. 기타

참조

[1] 통계 2012년 1/4분기 주민등록인구통계
[2] 법령 서울시 헌장 제1조
[3] 뉴스 도시는 미술관 ⑧ 서울 망원동 ‘동네 예술가 프로젝트’ http://life.joins.co[...] 중앙일보 2009-07-04
[4] 법령 대통령령 제159호 시·도의관할구역및구·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의건 1949-08-13
[5] 법령 대통령령 제7816호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5-09-23
[6]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350호 1944-10-23
[7] 법령 서울시 헌장 제1조
[8] 법령 서울시 조례 제66호
[9] 법령 법률 제1640호
[10] 법령 서울시 조례 제1181호 1977-08-29
[11] 법령 서울시 조례 제1413호 1980-03-31
[12] 법령 마포구 조례 제84호 동명칭및구역획정조례 1989-05-29
[13] 법령 마포구 조례 제644호 동주민센터설치조례 2007-01-02
[14] 법령 마포구 조례 제691호 2008-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