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대문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대문구는 1943년 경성부에 설치된 서울특별시의 구이다. 1979년 은평구 분리, 2008년 행정동 통폐합 등의 변화를 겪었다. 현재 14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구는 2012년 기준 약 32만 명이다. 지리적으로는 서울의 중서부에 위치하며, 인왕산과 안산 등의 산지를 포함한다. 주요 문화 시설로는 독립문, 서대문형무소, 신촌 등이 있으며,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가 위치하여 교육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교통은 경의선, 용산선, 서울 지하철 2, 3, 5호선이 지나며, 서울 도심 및 인근 지역으로 연결되는 간선도로가 발달했다. 정치적으로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과 구청장이 많이 배출되었으며, 현재 구청장은 국민의힘 소속 이성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3년 설치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 1943년 설치 - 동대문구
    동대문구는 서울특별시 동부에 위치하며 1943년 설치되었고, 교통이 발달했으며, 여러 문화 시설과 교육 기관이 있고,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서울 서대문구 - 세브란스병원
    세브란스병원은 1885년 광혜원으로 시작하여 루이스 헨리 세브란스의 기부로 세브란스 기념병원으로 개칭되었고, 현재 신촌을 중심으로 여러 병원을 운영하며 송도세브란스병원을 건설하고 있다.
  • 서울 서대문구 - 신촌
    신촌은 서울의 대학 밀집 지역으로, 한때 서울의 주요 상권이었으나 침체기를 겪고 대중교통전용지구 지정과 축제 개최를 통해 다시 활기를 되찾았으며, 현대백화점 등 쇼핑 시설과 대중교통 접근성을 갖춘 곳이다.
  • 서울 서대문구의 행정 구역 - 홍제동 (서울)
    홍제동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하며, 중국 사신이 머물던 홍제원에서 이름이 유래했고, 서울 지하철 3호선 역과 무악재 고개가 있는 지역이다.
  • 서울 서대문구의 행정 구역 - 충정로 (서울)
    충정로는 서울 서대문구 아현삼거리에서 서대문역을 잇는 도로로, 민영환의 시호에서 유래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다케조에마치로 불렸다가 1946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 1984년 도로 구간 단축, 2010년 2개 이상 자치구 도로 고시, 2014년 버스전용차로 개통 등의 변화를 거쳤다.
서대문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서대문구
한자 표기西大門區
로마자 표기Seodaemun-gu
유형자치구
위치서울특별시
행정동14
법정동20
면적17.61 km²
인구305,541 명 (2022년 11월 기준)
세대145,542 (2022년 11월 기준)
인구 밀도auto
구민서대문구민 (Seodaemun gumin)
우편번호03600 – 03899
전화 지역 번호+82-2,300,700,3150~
장미
나무소나무
까치
공식 웹사이트서대문구 공식 웹사이트
정치
정치 체제지방 자치
구청장이성헌 (국민의힘)
국회의원서대문구 갑: 김동아 (더불어민주당)
서대문구 을: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구의회서대문구의회
이미지
서울 신촌 야경
신촌동 야경
서대문구 깃발
서대문구 깃발
독립문
독립문
서대문구청
서대문구청

2. 역사

1943년 6월 10일 경기도 경성부 서대문구가 설치되었다.[14] 1944년 11월 1일에는 일부 지역이 마포구로 분리되었다.[15]

1945년 10월 16일 서대문구역소를 서대문구청으로 개칭하였고, 1946년 10월 1일에는 기존의 ~정(町)의 행정구역을 ~동(洞)으로 일괄 변경하였다.[16]

서대문 형무소


1949년 8월 13일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연희면이 서대문구로 편입되었다.[17][18] 1950년 3월 15일 리가 동으로 개칭되었고, 홍제외리는 홍은동으로 개칭되었다.

1964년 6월 1일 노고산동과 대현동 일부가 마포구에 편입되고, 마포구 아현동 일부가 서대문구로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 경기도 고양군 신도면 구파발리 등이 서대문구로 편입되었다.[19] 1975년 10월 1일 서대문구 중 평창동 등이 종로구로, 서소문동 등이 중구로, 상암동 등이 마포구로 편입되었다.[20] 1979년 10월 1일 서대문구 은평출장소가 은평구로 분리되었다.[21] 2008년 5월 6일에는 여러 동이 충현동, 북아현동, 신촌동, 연희동, 홍제1동, 홍은1동으로 통합되거나 개칭되었다.[22]

2. 1. 일제강점기

1943년 6월 10일 경기도 경성부 서대문구가 설치되었다.[14] 1944년 11월 1일에는 일부 지역이 마포구로 분리되었다.[15]

1945년 10월 16일 서대문구역소를 서대문구청으로 개칭하였고, 1946년 10월 1일에는 기존의 ~정(町)의 행정구역을 ~동(洞)으로 일괄 변경하였다.[16]

2. 2. 해방 이후

1945년 10월 16일 서대문구역소를 서대문구청으로 개칭하였다.[14] 1946년 10월 1일 기존의 ~정(町)의 행정구역을 ~동(洞)으로 일괄 변경하였다.[16] 1949년 8월 13일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연희면이 서대문구로 편입되었다.[17][18] 1950년 3월 15일 리가 동으로 개칭되었고, 홍제외리는 홍은동으로 개칭되었다.[19]

1964년 6월 1일 노고산동과 대현동 일부가 마포구에 편입되고, 마포구 아현동 일부가 서대문구로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 경기도 고양군 신도면 구파발리 등이 서대문구로 편입되었다. 1975년 10월 1일 서대문구 중 평창동 등이 종로구로, 서소문동 등이 중구로, 상암동 등이 마포구로 편입되었다.[20] 1979년 10월 1일 서대문구 은평출장소가 은평구로 분리되었다.[21] 2008년 5월 6일에는 여러 동이 충현동, 북아현동, 신촌동, 연희동, 홍제1동, 홍은1동으로 통합되거나 개칭되었다.[22]

2. 3. 서울특별시 확장과 분구

1943년 6월 10일 경기도 경성부 서대문구가 설치되었고[14], 1944년 11월 1일 일부 지역이 마포구로 분리되었다.[15] 1949년 8월 13일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이 서대문구로 편입되어 은평출장소가 설치되었다.[17][18]

1964년 6월 1일 노고산동과 대현동 일부가 마포구에 편입되고, 마포구 아현동 일부가 서대문구로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에는 경기도 고양군 신도면 구파발리 등이 서대문구로 편입되었다.[19] 1975년 10월 1일 서대문구 중 평창동 등이 종로구로, 서소문동 등이 중구로, 상암동 등이 마포구로 편입되었다.[20]

1979년 10월 1일 서대문구 은평출장소가 은평구로 분리되었다.[21] 2008년 5월 6일에는 일부 행정동이 통합 및 개칭되었다.[22]

3. 지리

서대문구는 서울특별시의 중서부에 위치하며, 동경 126˚북위 37˚에 걸쳐 있다.[23] 종로구 만세문 비각 도로원표로부터 반경 5km 내에 있으며, 동쪽은 종로구중구, 남쪽은 마포구, 서쪽과 북쪽은 은평구와 접한다.[23]

인왕산


구의 대부분은 임야지, 분지, 구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임야지는 인왕산(338m), 안산(296m) 등 여러 봉우리가 솟아 홍은동, 홍제동 지역의 분지를 이룬다.[23] 계곡 일대는 자연의 조화와 수려한 경관을 이루며, 구 전체 면적의 1/3을 차지한다.[23] 세검천을 원류로 하는 홍제천과 불광천이 한강을 향해 흐르며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23]

4. 행정 구역

행정구역도


서울 서대문구의 행정 구역은 14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17.61km2이다. 서대문구의 인구는 201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324,733명이다.[24]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충현동忠峴洞1.089,27020,749
천연동天然洞0.978,59920,457
북아현동北阿峴洞0.465,00811,227
신촌동新村洞2.6310,75721,586
연희동延禧洞3.0518,75243,419
홍제제1동弘濟第1洞1.2311,42727,841
홍제제2동弘濟第2洞1.066,08515,927
홍제제3동弘濟第3洞0.828,34620,292
홍은제1동弘恩第1洞1.5810,48826,748
홍은제2동弘恩第2洞2.0611,97230,100
남가좌제1동南加佐第1洞0.491,8434,040
남가좌제2동南加佐第2洞0.7812,81930,972
북가좌제1동北加佐第1洞0.546,18717,067
북가좌제2동北加佐第2洞0.8513,55134,308



각 행정동은 여러 법정동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천연동은 냉천동, 천연동, 옥천동, 영천동, 현저동으로, 신촌동은 대현동, 대신동, 신촌동, 봉원동, 창천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4. 1. 행정동 목록



서울 서대문구의 행정 구역은 14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17.61km2이다. 서대문구의 인구는 201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324,733명이다.[24]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충현동忠峴洞1.089,27020,749
천연동天然洞0.978,59920,457
북아현동北阿峴洞0.465,00811,227
신촌동新村洞2.6310,75721,586
연희동延禧洞3.0518,75243,419
홍제제1동弘濟第1洞1.2311,42727,841
홍제제2동弘濟第2洞1.066,08515,927
홍제제3동弘濟第3洞0.828,34620,292
홍은제1동弘恩第1洞1.5810,48826,748
홍은제2동弘恩第2洞2.0611,97230,100
남가좌제1동南加佐第1洞0.491,8434,040
남가좌제2동南加佐第2洞0.7812,81930,972
북가좌제1동北加佐第1洞0.546,18717,067
북가좌제2동北加佐第2洞0.8513,55134,308



각 행정동은 여러 법정동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천연동은 냉천동, 천연동, 옥천동, 영천동, 현저동으로, 신촌동은 대현동, 대신동, 신촌동, 봉원동, 창천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5. 인구

1966년 531,744명이었던 서대문구 인구는 1970년 784,325명으로 증가하였다. 1975년에는 794,666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1980년 은평구 분구 이후 인구가 감소하여 417,854명이 되었다. 이후로도 인구는 꾸준히 감소하여 2000년대에는 30만 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연도총인구
1966년531,744명
1970년784,325명
1975년794,666명
1980년417,854명
1985년402,945명
1990년385,476명
1995년357,503명
2000년348,769명
2005년340,327명
2010년307,562명
2015년308,768명


6. 문화

봉원사


독립문


신촌 거리

태고종의 총본산 사찰로, 봉원동 안산 자락에 있다. 889년 (신라 진성여왕 3년) 도선이 처음 지은 것으로 전해지며, 당시 이름은 반야사였다. 고려 공민왕 때 보우가 크게 중창하였다. 조선 태조 때 삼존불을 조성해 봉원사에 봉안하였고, 태조의 초상이 봉안되기도 했다.
독립협회조선이 독립국임을 상징하기 위해 영은문을 무너뜨리고 그 터에 지은 문이다.[25][26] 서재필의 주도로 건립되었으며 세레딘 사바틴이 설계했고, 현판은 김가진의 작품이다. 1897년에 지어진 역사적 유물로, 서대문독립공원에 위치해 있다.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에서 접근할 수 있다.
1907년 융희 원년 대한제국을 점령한 한국통감부가 서울에 세운 형무소이다. 해방 뒤에도 교도소, 구치소로 활용되다가 1987년 교도소 시설은 경기도 의왕시로 옮기고, 박물관, 문화재 형식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형무소 건물에는 서대문독립공원의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이 설치되어 있다. 대한제국 말기에 지어져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광복 이후 민주화운동에 이르기까지 근현대사의 고난과 아픔을 간직한 역사의 현장이다.
서대문구 신촌동, 대현동, 창천동, 마포구 노고산동과 대흥동 일대를 일컫는 지명이다.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홍익대학교, 명지대학교(인문캠퍼스) 등 대학교들이 밀집해 있어 젊은 문화가 발전하였다. 서울역과 가깝고 고양, 김포, 파주, 인천 등지로 연결되는 교통편이 발달하였으며, 서울의 대표적인 부도심이자 관광지 중 하나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에서 바로 연결되고, 경의선 신촌역도 연계된다. 마포구 노고산동, 동교동, 서교동, 상수동, 신수동, 창전동 일대를 포함하는 서강대학교, 홍익대학교 주변도 신촌 권역에 속한다.
2003년에 문을 연 공립 박물관으로, 대한민국의 첫 자연사박물관이다.

  • 백련사

6. 1. 주요 문화 유적

봉원사신라 진성여왕 3년(889년)에 도선이 처음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한국불교 태고종의 총본산 사찰이다.[25][26] 조선 태조가 불교에 심취했을 때 삼존불을 조성해 봉원사에 봉안하였고, 사후에는 태조의 초상이 봉안되기도 했다. 독립문독립협회조선이 독립국임을 상징하기 위해 영은문을 무너뜨리고 그 터에 서재필의 주도로 건립한 문이다.[25][26] 1907년 융희 원년 대한제국을 점령한 한국통감부가 서울에 세운 서대문형무소는 해방 뒤에도 교도소, 구치소로 활용되다가 1987년 교도소 시설은 경기도 의왕시로 옮기고, 현재는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으로 운영되고 있다.[25][26] 대한제국 말기에 지어져 일제강점기 때의 독립운동뿐만 아니라 광복 이후 정치적 격변과 군사독재 정부에 대항한 민주화운동에 이르기까지 근현대사의 고난과 아픔을 간직한 역사의 현장이다.

6. 2. 주요 문화 시설

신촌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가 밀집한 지역으로, 젊은 문화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상업 시설과 문화 공간이 있다.[8]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경의선 신촌역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며, 서울의 대표적인 부도심이자 관광지 중 하나이다.[9]

서대문자연사박물관대한민국 최초의 공립 자연사박물관으로, 2003년에 개관하였다. 다양한 지질 및 생물학적 유물과 기록을 전시하고 있다.

7. 교육

연세대학교 언드우드관


이화여자대학교


서대문구에는 여러 대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가 있다.

'''대학원대학교'''

  •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사립대학교'''

'''원격대학'''

  • KCU한국싸이버대학교
  • 한국디지털대학교


'''사립전문대학'''

  • 명지전문대학
  • 서울여자간호대학


'''고등학교'''

'''특수학교'''

'''중학교'''

  • 가재울중학교
  • 동명여자중학교
  • 명지중학교
  • 서연중학교
  • 신연중학교
  • 연북중학교
  • 연희중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중학교
  • 인왕중학교
  • 인창중학교
  • 정원여자중학교
  • 중앙여자중학교
  • 한성중학교
  • 홍은중학교


'''초등학교'''

  • 경기초등학교
  • 명지초등학교
  • 서울고은초등학교
  • 서울금화초등학교
  • 서울대신초등학교
  • 서울미동초등학교
  • 서울북가좌초등학교
  • 서울북성초등학교
  • 서울안산초등학교
  • 서울연가초등학교
  • 서울연희초등학교
  • 서울인왕초등학교
  • 서울창서초등학교
  • 서울홍연초등학교
  • 서울홍은초등학교
  • 서울홍제초등학교
  •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 추계초등학교


'''사립 초중등학교'''

7. 1. 대학교



서대문구에는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추계예술대학교, 감리교신학대학교,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KCU한국싸이버대학교, 한국디지털대학교가 있다.[3][4][5][6]

  • '''대학원대학교'''

:**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 '''사립대학교'''

:** 연세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 명지대학교

:** 추계예술대학교

:** 감리교신학대학교

  • '''원격대학'''

:** KCU한국싸이버대학교

:** 한국디지털대학교

7. 2. 고등학교 및 기타 학교

서대문구에는 고등학교로 가재울고등학교, 명지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금란고등학교, 인창고등학교, 중앙여자고등학교, 한성고등학교, 한성과학고등학교가 있다.[3]

특수학교로는 연세대학교재활학교가 있으며, 외국인 학교로는 서울외국인학교, 서울중국학교가 있다.[4]

8. 교통

한국철도공사 경의선/Gyeongui Line영어 신촌역과 가좌역이 서대문구에 있다. 용산선 가좌역도 서대문구에 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충정로역, 서울 지하철 3호선 홍제역, 무악재역, 독립문역, 서울 지하철 5호선 충정로역이 서대문구를 지난다.

서울 도심과 강서구, 관악구, 구로구, 양천구, 영등포구, 은평구 등을 연결하는 간선도로가 발달해 있다. 인천광역시, 부천시, 김포시, 고양시로 가는 광역좌석버스도 상당수 서대문구를 경유하거나 서대문구에서 회차한다. 인천국제공항으로 가는 공항버스도 있다. 도로 총연장은 308km이고, 포장 면적은 2,641km²이다.

주요 도로로는 웅암로, 가재울로, 가좌로, 간호대로, 경기도로, 고북골로, 신촌역로, 신촌로, 수색로, 세검정로, 서소문로, 성산로, 충가로, 충정로, 통일로, 동교로, 독립문로, 북아현로, 홍은중앙로, 홍제천로, 모래내로, 연희마을로, 연희로, 연세로 등이 있다. 골목길로는 인왕시장길, 이화여대길, 세무서길, 송죽길, 독립문공원길, 불광천길, 백련사길, 포방터길, 봉원사길, 홍제원길, 홍제내길, 홍지문길, 홍연길, 명지길, 명지대길, 명물길, 문화촌길, 영천시장길, 연대동문길 등이 있다.

8. 1. 철도

한국철도공사 경의선 신촌역과 가좌역이 서대문구에 있다. 용산선 가좌역도 서대문구에 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충정로역, 서울 지하철 3호선 홍제역, 무악재역, 독립문역, 서울 지하철 5호선 충정로역이 서대문구를 지난다.

8. 2. 도로

서울 도심과 강서구, 관악구, 구로구, 양천구, 영등포구, 은평구 등을 연결하는 간선도로가 발달해 있다. 인천광역시, 부천시, 김포시, 고양시로 가는 광역좌석버스도 상당수 서대문구를 경유하거나 서대문구에서 회차한다. 인천국제공항으로 가는 공항버스도 있다. 도로 총연장은 308km이고, 포장 면적은 2,641km²이다.

주요 도로로는 웅암로, 가재울로, 가좌로, 간호대로, 경기도로, 고북골로, 신촌역로, 신촌로, 수색로, 세검정로, 서소문로, 성산로, 충가로, 충정로, 통일로, 동교로, 독립문로, 북아현로, 홍은중앙로, 홍제천로, 모래내로, 연희마을로, 연희로, 연세로 등이 있다. 골목길로는 인왕시장길, 이화여대길, 세무서길, 송죽길, 독립문공원길, 불광천길, 백련사길, 포방터길, 봉원사길, 홍제원길, 홍제내길, 홍지문길, 홍연길, 명지길, 명지대길, 명물길, 문화촌길, 영천시장길, 연대동문길 등이 있다.

9. 정치

서대문구는 전통적으로 진보 성향이 강한 지역으로,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과 구청장이 많이 배출되었다.

; 국회의원

서대문구 갑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우상호 의원이며, 5선 의원이다. 서대문구 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영호 의원이며, 재선 의원이다.

; 역대 구청장

서대문구청장은 지방자치단체의 장으로, 2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한다.[2] 민선 1기부터 4기까지는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소속 구청장이 당선되었으나, 5기부터 7기까지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문석진 구청장이 3선 연임하였다. 8기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이성헌 후보가 당선되어 현재 구청장으로 재임 중이다.

한때 한국해양사고조사원(KMST) 본부가 이 지역에 있었다.[2] 대한민국 경찰청 청사는 서대문구 미근동에 위치해 있다.[7] 1991년부터 공선제가 도입되었다. 현 구청장은 문석진(文錫珍, Mun Seok-jin, 더불어민주당)이다.

9. 1. 역대 구청장



서대문구청장은 지방자치단체의 장으로, 2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한다.[2] 민선 1기부터 4기까지는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소속 구청장이 당선되었으나, 5기부터 7기까지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문석진 구청장이 3선 연임하였다. 8기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이성헌 후보가 당선되어 현재 구청장으로 재임 중이다.

9. 2. 국회의원

서대문구 갑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우상호 의원이며, 5선 의원이다. 서대문구 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영호 의원이며, 재선 의원이다.

10. 자매 결연

서대문구는 대한민국 목포시, 장흥군, 완주군, 제주시, 아산시, 영동군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또한, 일본 도쿄도 스미다구, 중국 허베이성 베이징시와도 자매 결연 관계에 있다.

}

| 목포시

|-

| 전라남도

| 장흥군

|-

| 전북특별자치도

| 완주군

|-

|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

| 충청남도

| 아산시

|-

| 충청북도

| 영동군

|-

| 도쿄도

| 일본/日本일본어

| 스미다구

|-

| 허베이성

| 중국/中国중국어

| 베이징시

|}

11. 기타

11. 1. 일본 제품 불매 운동

2019년 8월 3일, 일본의 캐치올 규제 운용 개정(한국에 대한 우대조치 개정)이 각의 결정되자, 서대문구는 각 부서에서 사용하던 일본산 사무용품을 회수하여 보관함(타임캡슐)에 넣는 “일본 제품 사용 중지 타임캡슐 운동”을 시작했다.[11]

참조

[1] 정보상자
[2] 웹사이트 Location https://web.archiv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2005-02-09
[3] 웹사이트 Educational Institutionas in District https://web.archive.[...] 2012-04-06
[4] 웹사이트 Overseas Chinese High School Seoul,KOREA http://www.isi.go.kr[...] International School Information, Government of South Korea 2016-03-30
[5] 웹사이트 Overview https://web.archive.[...] 2012-04-06
[6] 웹사이트 Materials https://web.archive.[...] 2012-04-06
[7] 웹사이트 Home page http://www.police.go[...]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2010-04-30
[8] 웹사이트 서대문구 (Seodaemun-gu 西大門區)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4-18
[9] 웹사이트 Destinations by Region>Seoul>Seodaemun-gu>Skin Food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2-10-08
[10]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11] 웹사이트 半導体国産化アイディア公募、「NO JAPAN」バナー設置…「反日戦争」地方自治体に論争も加熱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9-08-06
[12]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3]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4]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63호 1943-06-09
[1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350호 1944-10-23
[16] 법률 서울시 헌장 제1조
[17] 법률 서울시구출장소설치에관한건 1949-08-13
[18] 법률 시·도의관할구역및구·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의건, 서울시구출장소설치에관한건 1949-08-13
[19] 법률 서울특별시및경기도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73-03-12
[20] 법률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5-09-23
[21] 법률 서울특별시은평구등7개구설치및구관할구역조정에관한규정 1979-09-26
[22] 웹사이트 주민등록 주소코드 변경내역(2008년 5월 6일 기준) http://www.mopas.go.[...] 2013-04-29
[23] 웹사이트 2011년 통계연보 http://www.sdm.go.kr[...] 2011
[24] 서적 2013 서대문통계연보 서대문구청 2014
[25] 서적 고종시대의 재조명 태학사 2000-08-30
[26] 서적 바로 잡아야 할 우리 역사 37장면 1 역사비평사
[27] 정보
[28] 정보
[29]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지역국가도시
전라남도{{llang|ko|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