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매천 황현 매천야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매천 황현(梅泉 黃玹, 1855-1910)은 조선 말기의 학자이자 시인, 독립운동가입니다. 1910년 경술국치에 비분강개하여 자결 순국하였습니다. 황현은 『매천야록(梅泉野錄)』이라는 역사책을 저술했는데, 이 책은 1864년(고종 1년)부터 1910년(경술국치)까지 약 47년간의 한국 근대사를 기록한 중요한 사료입니다.
매천 황현 (梅泉 黃玹)


  • 생애: 1855년 전라남도 광양에서 출생. 본관은 장수(長水). 세종 때 명재상 황희의 후손이나 가세는 기울었습니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11세에 한시를 지을 정도였으며, 왕석보(王錫輔)의 문하에서 나철, 이기 등과 함께 수학했습니다. 1888년 생원시에 장원 급제했으나, 과거 시험장의 부패와 조정의 무능함에 환멸을 느껴 벼슬길을 포기하고 낙향했습니다. 이후 구례에 은거하며 독서와 저술에 힘썼습니다.
  • 사상: 황현은 부패한 관료와 외세의 침략, 특히 일본의 침략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유교적 사관에 얽매이지 않고, 서양 세력에 대해서도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습니다.
  • 죽음: 1910년 경술국치 소식을 듣고 "나라가 선비를 기른 지 500년인데, 망국의 날에 한 명의 선비도 죽지 않는다면 어찌 슬프지 않겠는가?"라는 유서를 남기고 절명시 4수를 지은 후 음독 자결했습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습니다.

매천야록 (梅泉野錄)

  • 저술 배경: 황현은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청일전쟁 등 격변하는 시대 상황을 겪으며, 후손들에게 역사를 전하기 위해 『매천야록』을 저술했습니다.
  • 내용: 1864년 대원군 집정부터 1910년 경술국치까지의 역사를 편년체(시간 순서대로 기록하는 방식)로 서술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조선 말기 정치 상황, 주요 사건, 민중의 생활상 등을 상세히 기록했습니다.
  • 당시 집권 세력의 부정부패와 무능, 외세의 침략, 특히 일본의 침략상을 비판적으로 기록했습니다.
  •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을미사변, 독립협회 활동, 의병 항쟁 등 주요 사건에 대한 기록이 상세합니다.
  • 고종과 명성황후에 대한 비판적인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 당시의 풍문, 소문, 자신이 직접 보고 들은 내용 등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어 생생한 역사 기록을 제공합니다.
  • 가치: 『매천야록』은 공식적인 역사 기록(정사)이 아닌 야사(野史)이지만, 구한말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습니다. 특히, 다른 기록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내용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습니다.
  • 특징:
  • 편년체 형식으로, 시간 순서에 따라 사건을 기록했습니다.
  • 1894년 이전은 큰 사건 위주로, 1894년 이후는 연월일까지 상세하게 기록했습니다.
  • 유교적 사관에 얽매이지 않고, 비판적이고 냉철한 시각으로 역사를 서술했습니다.
  • 일본에 대해서는 처음에는 '왜인'으로 표기하다가 점차 '왜놈'으로 표현하는 등 적개심을 드러냈습니다.
  • 주의할 점: 황현이 고향에 칩거하며 신문, 소문, 지인들의 이야기 등을 바탕으로 기록했기 때문에, 사실 관계 확인이 필요한 부분도 있습니다.

참고:

  • 매천야록의 일부 내용은 황현의 문인 고용주(高墉柱)가 추가로 기록했습니다.
  • 매천야록은 오랫동안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다가, 1955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원본과 부본을 토대로 간행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 2019년 5월 7일, 『매천 황현 매천야록』 친필 원본 7책이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746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매천 황현과 그의 저서 『매천야록』은 격동의 구한말,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지식인의 역할과 책임을 고민하고 실천한 한 선비의 삶과 기록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매천 황현 매천야록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문화재 정보
이름매천 황현 매천야록
이미지 없음
이미지
유형국가등록문화재
번호746
지정2019년 5월 7일
주소전라남도
수량7책
문화재청 ID79,07460000,3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