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덕황후 (북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덕황후 이씨는 북송 태종의 황후이다. 상당현 출신으로, 이처운의 딸이며, 978년 태종의 왕비가 되었고, 985년에 황후로 책봉되었다. 단정하고 예의 바르며 인후한 성품으로 태종과의 사이에 아들을 두었으나 요절했다. 태종 사후 황태후가 되어 만안궁에서 거처하다가 1004년에 붕어했으며, 명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04년 사망 - 한언공
한언공은 고려 시대 문신으로 광문원 서생으로 시작해 문하시중에 이르렀고, 송나라 사신으로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으며 중추원 설치에 기여하여 목종 묘정에 배향되었고 시호는 정신이다. - 1004년 사망 - 이계천
이계천은 서하 건국의 기틀을 마련한 탕구트족 출신 인물로, 요나라와 협력하여 세력을 확장하고 아들 이덕명에게 북송에 귀순할 것을 지시했으며, 손자 이원호가 서하를 건국한 후 태조 신무황제로 추증되었다. - 960년 출생 - 콘스탄티노스 8세
콘스탄티노스 8세는 로마노스 2세의 아들이자 바실리오스 2세의 동생으로, 형과 공동 황제를 지내다 형의 사망 후 단독 황제가 되었으나, 정치 경험 부족으로 제국을 쇠퇴시키고 딸 조에를 로마노스 아르기루스와 결혼시켜 후계자로 삼았다. - 960년 출생 - 성종 (고려)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아 문물 제도를 정비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했으며, 요나라의 침입을 외교 담판으로 막아내고 강동 6주를 설치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나 왕실 권위가 실추되기도 했던 고려의 제6대 왕이다. - 북송의 황태후 - 장혜황후
장혜황후 양씨는 송나라 진종의 후궁이자 인종의 양모로, 장헌명숙황후 유씨의 신임을 받아 인종 즉위 후 황태후로 존숭되었으며, 유태후 사후에는 인종을 보좌하며 국사를 논의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여 송나라에서 황후나 황제의 생모가 아님에도 황후로 추존된 첫 번째 사례가 되었다. - 북송의 황태후 - 장헌명숙황후
북송 진종의 황후이자 인종의 섭정 태후인 장헌명숙황후는 미천한 신분에서 황후가 되어 뛰어난 정치적 수완으로 국정을 운영하고 인종 즉위 후 섭정을 통해 국가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지만, 권력에 대한 욕심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며 청나라 서태후에게 영향을 주었다.
| 명덕황후 (북송)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성 | 이 (李) |
| 통치 정보 | |
| 배우자 | 태종 |
| 황후 즉위 | 옹희 원년 985년 |
| 황후 퇴위 | 지도 3년 997년 |
| 황태후 즉위 | 997년 |
| 황태후 퇴위 | 1004년 |
| 계승자 (황후) | 소장황후 |
| 후임자 (황후) | 장목황후 |
| 계승자 (황태후) | 장헌황후 |
| 무덤 | 공의 |
| 생애 | |
| 출생 | 960년 |
| 출생지 | 노주상당현 |
| 사망 | 1004년 |
| 사망지 | 개봉 |
| 아버지 | 이처운 (李處耘) |
| 어머니 | 한국태부인 진씨 (韓國太夫人 陳氏) |
2. 생애
송나라 장군 이처운의 둘째 딸인 이씨는 태조에 의해 조광의와 혼인하도록 정해졌다. 태조가 976년에 사망한 후, 조광의는 태종이 되었고, 이씨는 황후가 되었다.[3][2]
지도 2년(996년) 이씨의 적모 오씨가 위국태부인으로, 생모 진씨가 한국태부인으로 봉해졌다. 태종이 붕어한 후 황태후가 되어 서궁의 가경전으로 옮겨갔다. 함평 4년(1001년) 만안궁이 세워져, 이곳에 머물면서 만안황태후로 불렸다.
경덕 원년(1004년) 3월, 만안궁에서 붕어하였다. 시호는 '명덕'이며, 태종의 영희릉에 합장되었다.
2. 1. 가계와 혼인
명덕황후 이씨는 노주 상당현 출신으로, 자주 자사를 지낸 이처운과 진씨의 둘째 딸이었다. 개보 연간에 부씨와 사별한 진왕(후의 태종)과 혼인하여 왕비가 되었다.[9]태평흥국 3년(978년) 7월에 입궁하였고, 옹희 원년 12월(985년 1월)에 황후로 책봉되었다. 단정하고 예의 바르며, 인자하고 관대한 성격이었다. 태종과의 사이에서 아들 1명을 두었으나 요절했다.[9]
지도 2년(996년), 이씨의 적모 오씨는 위국태부인으로, 생모 진씨는 한국태부인으로 봉해졌다.[9]
2. 2. 황후 시절
978년(태평흥국 3년) 입궁하였으며, 984년(옹희 원년) 12월(985년 1월 10일) 황후로 책봉되었다.[9][3][2] 이황후는 단정하고 예의바르며 인자하고 관대하였다. 태종과의 사이에서 아들을 낳았으나 요절하였다.[9]996년(지도 2년), 이황후의 적모인 오씨를 위국태부인으로, 생모인 진씨를 한국태부인으로 각각 봉하였다.[9] 태조가 태종이 된 조광의와 이씨의 혼인을 정하였다.
2. 3. 황태후 시절
태종이 붕어하고 진종이 즉위하자 황태후로 존숭받았으며, 거처를 서궁의 가경전으로 옮겼다. 진종은 이씨에게 효를 다하였으며, 특별히 만안궁(萬安宮)을 지어주었다. 이태후가 병에 들자 손수 약을 다렸을 뿐만 아니라 병이 깊어지자 울음을 터뜨렸고, 상을 걸고 민간의 명의들을 수소문하기도 하였다.[9]1004년(경덕 원년) 3월 15일, 이씨는 만안궁에서 붕어하였다. 시호는 '''명덕'''(明德)이며 영희릉(永熙陵)에 묻혔다.[9]
3. 기타
- 송사 권242 후비전상 명덕이황후전[1]
- 송회요집고 권12 후비 일 명덕이황후[2]
참조
[1]
서적
Song Shi
[2]
서적
Song Shi
[3]
서적
Song Shi
[4]
서적
Song Shi
[5]
서적
宋史
[6]
서적
宋史
[7]
서적
송사
[8]
서적
송사
[9]
서적
송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