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각거북고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각거북고둥은 두 아종으로 나뉘는 바다 달팽이의 일종이다. 북극해와 북대서양의 차가운 해역에 분포하며, 아종에 따라 크기가 다르다. 북방계 아종은 더 크고, 남방계 아종은 상대적으로 작다. 무각거북고둥은 표해수층과 중층해수층에 서식하며, 두 개의 날개를 사용하여 헤엄친다. 일본 문화에서 무각거북고둥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포켓몬스터의 마나피와 피오네의 모티브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4년 기재된 물고기 - 창고기
창고기는 북동 대서양 얕은 바다에 사는 척삭동물로, 길쭉하고 양 끝이 뾰족한 형태에 척삭을 가지며, 척추동물 발달 연구 모델 생물로 활용되고 척추동물과의 연관성 및 면역 반응 매개체로서의 역할이 밝혀지고 있다.
| 무각거북고둥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분류 | |
| 학명 | Clione limacina |
| 명명자 | (Phipps, 1774) |
| 이명 | Clione borealis (Pallas, 1774) Trichocyclus dumerilii (Eschscholtz, 1825) |
| 설명 | |
| 크기 | 500m |
2. 아종
무각거북고둥은 크게 두 아종으로 나뉜다.
- ''Clione limacina australis'' (브뤼기에르, 1792)
- ''Clione limacina limacina'' (피프스, 1774)
2. 1. Clione limacina australis
''Clione limacina australis''는 브뤼기에르(Jean Guillaume Bruguière)가 1792년에 명명한 무각거북고둥의 아종이다. 주로 남반구의 상대적으로 따뜻한 해역에 서식하는 남방계 아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아종에 비해 크기가 작은 경향이 있다.2. 2. Clione limacina limacina
''Clione limacina limacina''는 북방계 아종으로, 피프스가 1774년에 명명하였다. 다른 아종에 비해 더 추운 해역에 서식하며 크기가 큰 편이다.3. 분포
''무각거북고둥''은 북극해와 북대서양의 차가운 해역에서 발견되며, 적어도 사르가소해까지 남쪽으로 분포한다.[5][6] 이전에는 ''무각거북고둥''(''C. limacina'')에 아종, 변종 또는 하위 개체군으로 포함되었던 다른 세 종이 있다. 이들은 추운 북태평양(적어도 알래스카 만 북쪽까지)에 서식하는 ''C. elegantissima'' (보퍼트 해에는 ''무각거북고둥''이 서식), 오호츠크해에 서식하는 ''C. okhotensis''(여기서는 ''C. elegantissima''와 분포 지역이 겹침), 그리고 남극 해역에 서식하는 ''C. antarctica''이다.[6]
4. 생태
5. 형태
무각거북고둥은 몸길이에서 차이를 보이는 두 아종이 있다.[11] 북부 아종은 더 차가운 물에 서식하며, 3cm 크기에서 성숙하고, 최대 7cm에서 8.5cm까지 자랄 수 있다.[11][7] 이는 이 종을 현존하는 바다 천사 중 가장 크게 만드는 특징이다.[6] 이에 비해 남부 아종의 크기는 최대 1.2cm 정도이다.[6]
무각거북고둥은 두 개의 날개를 펄럭여 위로 이동하거나 일정한 깊이를 유지하며 헤엄친다. 헤엄치는 동안 몸을 똑바로 유지하기 위해 꼬리를 사용하며, 중력을 감지하는 두 개의 평형반사기를 이용해 자세를 바로잡는다.[9]
6. 문화적 상징성
무각거북고둥은 서구권에서는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지만 일본 문화에서는 매우 유명하다. 그 결과,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포켓몬스터 프랜차이즈에 등장하는 캐릭터 마나피와 피오네는 무각거북고둥을 모델로 하여 창작되었다.[17]
참조
[1]
서적
A voyage towards the North Pole undertaken by His Majesty's Command 1773
1774
[2]
웹사이트
Clione limacina
http://www.marinespe[...]
2012-07-23
[3]
문서
Spitzbergiscbe oder grönlandische Reisebeschreibung
[4]
웹사이트
Clione limacina
http://www.marinespe[...]
2011-01-29
[5]
논문
Breeding and larval distribution of the pteropod Clione limacina in the North Atlantic, Subarctic and North Pacific Oceans
1970
[6]
논문
A new species of Clione distinguished from sympatric C. limacina (Gastropoda: Gymnosomata) in the southern Okhotsk Sea, Japan, with remarks on the taxonomy of the genus
2017
[7]
간행물
Alternative prey choice in the pteropod Clione limacina (Gastropoda) studied by DNA-based methods.
http://munin.uit.no/[...]
2013
[8]
서적
Marine Chemical Ecology
https://archive.org/[...]
CRC Press
1997
[9]
논문
Control of spatial orientation in a mollusc
1998
[10]
서적
Pelagic Snails. The biology of holoplanktonic gastropod molluscs.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9
[11]
논문
The Arctic pteropod Clione limacina: seasonal lipid dynamics and life-strategy
2005
[12]
논문
Fast-strike feeding behavior in a pteropod mollusk, Clione limacina Phipps
Marine Biological Laboratory
1992
[13]
논문
New Data on the Fine Structure of hooks in Clione limacina (Gastropoda, Opistobranchia) and Diversity of the Jaw Apparatus in Gastropods
http://apps.webofkno[...]
2014-03
[14]
논문
Exceptional long-term starvation ability and sites of lipid storage of the Arctic pteropod Clione limacina
2006
[15]
서적
Mollusca
http://en.wikisource[...]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1854
[16]
논문
Carotenoids of Sea Angels Clione limacina and Paedoclione doliiformi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od Chain
2014-03
[17]
웹사이트
On the Origin of Species: Manaphy and Phione
https://bulbanews.bu[...]
2018-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