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핵 행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핵 행성은 중심핵이 없는 가상의 행성이다. 2008년 사라 시거와 린다 엘킨스 탠턴의 연구에 따르면, 무핵 행성은 콘드라이트와 유사한 물이 풍부하고 산화된 물질이 뭉쳐서 생성되거나, 물과 금속 철이 섞인 물질의 반응으로 생성될 수 있다. 무핵 행성은 핵이 있는 행성과 크기가 유사하여 질량과 반지름만으로는 내부 구조를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용융된 핵이 없기 때문에 자기장을 가지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성의 종류 - 얼음 행성
    얼음 행성은 표면이 얼음으로 덮여 극저온 환경을 가지지만, 지열로 인해 지하에 액체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외계 생명체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천체로, 태양계 내외에서 여러 위성, 엣지워스-카이퍼 대 천체 및 외계 행성 후보들이 발견되었다.
  • 행성의 종류 - 목성형 행성
    목성형 행성은 크고 무거우며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두꺼운 대기를 가진 행성으로, 태양계의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속하며, 내부는 유체 상태이고 많은 위성과 고리를 가지며, 혜성 침입을 막아 지구 생명체 진화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지구형 행성 - 금성
    금성은 지구와 유사한 크기와 질량을 가진 지구형 행성이지만, 짙은 이산화탄소 대기와 높은 표면 온도, 강력한 표면 압력, 그리고 활발한 화산 활동으로 특징지어지며, 지구의 미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 지구형 행성 - 얼음 행성
    얼음 행성은 표면이 얼음으로 덮여 극저온 환경을 가지지만, 지열로 인해 지하에 액체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외계 생명체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천체로, 태양계 내외에서 여러 위성, 엣지워스-카이퍼 대 천체 및 외계 행성 후보들이 발견되었다.
무핵 행성

2. 기원

2008년 사라 시거, 린다 엘킨스 탠턴의 논문에 따르면 무핵 행성이 태어나는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별할 수 있다고 한다.[6]

첫 번째로 행성이 콘드라이트 비슷하게 물이 풍부하면서 충분히 산화가 이루어진 물질이 뭉쳐서 태어날 경우이다. 여기에서 모든 금속 철은 규산염 광물 결정에 묶인다. 이런 행성은 중심별에서 먼 곳에서 태어날 것이다.

두 번째로 행성을 이루는 재료가 물이 풍부한 물질과 금속이 풍부한 물질 두 개가 섞여 있을 경우이다. 금속 철은 물과 반응하여 산화철을 형성하며 중심핵이 만들어지기 전에 수소를 이탈시킨다. 철 입자들이 잘 섞여 있고 크기도 작다고 가정하면(1 센티미터 이하) 철은 산화되어 맨틀에 묶이고, 밑으로 가라앉지 않아 중심핵을 형성할 수 없을 것이다.

2. 1. 콘드라이트형 강착

사라 시거와 린다 엘킨스 탠턴의 2008년 논문에 따르면 무핵 행성이 형성되는 방법 중 하나는, 콘드라이트와 유사하게 물이 풍부하고 충분히 산화된 물질로부터 행성이 강착되는 경우이다.[6][1][5] 이 경우 모든 금속 철은 규산염 광물 결정에 묶인다.[6] 이러한 행성은 중심별에서 더 멀리 떨어진 더 차가운 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다.[1][5]

2. 2. 금속-물 반응형 강착

사라 시거와 린다 엘킨스 탠턴의 2008년 논문에 따르면, 무핵 행성이 태어나는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별할 수 있다고 한다.[6][1][5] 행성을 이루는 재료가 물이 풍부한 물질과 금속 철이 풍부한 물질 두 가지가 섞여 있을 경우, 금속 철은 물과 반응하여 산화철을 형성하며 중심핵이 만들어지기 전에 수소를 방출한다. 철 입자들이 작고 잘 섞여 있으면(1 센티미터 이하) 철은 산화되어 맨틀에 갇히고, 중심핵을 형성하지 못한다.

3. 특징

핵이 있는 행성과 없는 행성의 반지름 차이는 수 퍼센트 이내로 거의 비슷하다. 이 때문에 질량과 반지름만으로 행성에 핵이 있는지 없는지를 가려내기는 어렵다.[9] 무핵 행성과 핵을 가진 행성의 예측 크기는 몇 퍼센트 내에서 유사하므로, 측정된 행성의 질량과 반경을 기반으로 외계 행성의 내부 구성을 해석하기가 어렵다.[4]

완전한 핵이 없는 행성은 용융된 핵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자기장도 가지고 있지 않다. 핵이 있는 행성과 예측되는 핵이 없는 행성의 크기는 몇 %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 질량과 반지름 측정만으로는 외계 행성의 내부 조성을 예측하기 어렵게 한다.

3. 1. 자기장

다이너모 이론에 따르면 지구 자기장은 금속성의 중심핵이 유체처럼 흐르기 때문에 발생한다.[7][8] 그러나 슈퍼지구와 같은 무핵 행성의 경우, 질량이 커서 내부 물질을 짓누르는 힘이 지구보다 크며, 이 때문에 내부 물질의 점성이 커지고 녹는점이 높아져 여러 층으로 분화되지 않는다.[7] 따라서 중심핵 없이 맨틀만으로 이루어진 구조가 될 수 있다. 지구에서 암석 형태로 존재하는 산화 마그네슘은 슈퍼지구의 맨틀에서 높은 압력과 온도로 액체 금속 상태가 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7][8][2][3]

완전한 핵이 없는 행성은 용융된 핵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자기장도 가지고 있지 않다. 핵이 있는 행성과 예측되는 핵이 없는 행성의 크기는 몇 %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 질량과 반지름 측정만으로는 외계 행성의 내부 조성을 예측하기 어렵게 한다.

4. 같이 보기

참조

[1] 논문 Coreless Terrestrial Exoplanets
[2] 웹사이트 Super-Earths Get Magnetic 'Shield' from Liquid Metal http://www.space.com[...] 2012-11-22
[3] 논문 The Effect of Lower Mantle Metallization on Magnetic Field Generation in Rocky Exoplanets 2013
[4] 논문 A Framework for Quantifying the Degeneracies of Exoplanet Interior Compositions 2010
[5] 논문 Coreless Terrestrial Exoplanets
[6] 논문 Coreless Terrestrial Exoplanets
[7] 웹사이트 Super-Earths Get Magnetic 'Shield' from Liquid Metal http://www.space.com[...] 2012-11-22
[8] 문서 The Effect of Lower Mantle Metallization on Magnetic Field Generation in Rocky Exoplanets http://arxiv.org/abs[...] 2013-04-25
[9] 문서 A Framework for Quantifying the Degeneracies of Exoplanet Interior Compositions http://arxiv.org/abs[...] 2009-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