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뮤리얼 게이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뮤리얼 게이언은 아일랜드의 공예 교육 및 농촌 진흥 운동에 기여한 인물이다. 1897년 도네갈 주에서 태어나, 아이스 하키 선수, 화가, 더블린 대통령 비서관으로 활동했다. 아일랜드 여성 협회(ICA) 활동을 통해 농촌 공예인 지원, 아일랜드 홈스펀 협회 설립, 아일랜드 컨트리 마켓 회장 등을 역임하며 아일랜드 공예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1947년 미 군정 남조선 과도정부 서울 미군정청을 방문하여 '김용완'이라는 한국어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1995년 사망했으며, 그녀의 업적을 기리는 박물관이 개관하고 장학금이 수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의 환경 운동가 - 피어스 브로스넌
    피어스 브로스넌은 《레밍턴 스틸》의 주연으로 인지도를 얻고 5대 제임스 본드로 활약한 아일랜드-미국 배우이자 영화 제작자로, 유니세프 친선대사이자 환경 보호 운동가로도 활동한다.
  • 노르웨이에 거주한 영국인 - 믹 플리트우드
    믹 플리트우드는 플리트우드 맥의 공동 창립자이자 드러머로서 밴드의 멤버 변화에도 자리를 지키며 밴드를 이끌었고, 솔로 활동과 배우 활동을 병행했으며, 플리트우드 맥의 멤버로서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뮤리얼 게이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위니프레드 뮤리얼 프랑수아즈 게이언
공정 이용 이미지
국적아일랜드
출생일1897년 10월 27일
출생지아일랜드, 더니골 주, 마헤라베그 하우스
사망일1995년 7월 12일
사망지더블린, 볼스브리지
개인 정보
활동아일랜드 농촌 운동가, 공예 및 협동조합 홍보가
직책
직책대통령 비서실 문화체육행정개혁특보비서관
임기 시작1940년 9월 22일
임기 종료1941년 2월 26일
종교
종교성공회 → 천주교(세례명: 마리아 막달레나)
정치
정당무소속
경력
경력안트베르펜 올림픽 아이스 하키 출전
은퇴 아이스 하키 선수 출신 정치가
서양화가 겸 스포츠 행정가
외교관 겸 환경운동가
아일랜드 더블린 대학교 겸임교수
관련 인물
대통령더글러스 하이드

2. 초기 생애

위니프레드 뮤리엘 프랑수아즈 게이언은 1897년 10월 27일 아일랜드 도네갈 주 도네갈 타운 근처 매거베그 하우스에서 태어났다.[1][2] 그녀의 부모는 위니프레드(결혼 전 성: 워터스)와 프레드릭 조지 타운센드 게이언이었다. 아버지는 당시 아일랜드 빈곤 지역 개발을 담당하던 혼잡 지구 위원회(Congested Districts Board for Ireland)의 토목 기사였고, 어머니는 원래 영국 케임브리지셔 출신으로 가정교사였다.[1][2] 게이언에게는 적어도 한 명의 여동생과 네 명의 남동생이 있었다.[1]

가족은 1900년에 메이요 주 캐슬바로 이사했다. 아버지의 직업 때문에 메이요 주 여러 지역을 다니면서, 게이언은 당시 아일랜드 농촌 사회가 겪고 있던 심각한 빈곤 문제에 대해 깊이 알게 되었다.[1][2]

게이언은 가정교사에게 교육을 받았고, 이후 웨일스 란페어페찬에 있는 여자 학교인 세인트 위니프레드 스쿨(St Winifred's School)에 다녔다. 1914년 아일랜드로 돌아와 1916년까지 더블린의 알렉산드라 칼리지에서 수학했다. 이곳에서 평생의 친구이자 동료가 되는 올리비아 로버트슨을 만났다.[1] 또한, 게이언은 메이즈 오브 더 마운틴 하키 클럽(Maids of the Mountain Hockey Club) 소속으로 필드 하키 선수로 활동하기도 했다.[3]

가족은 한동안 더블린의 래스민스 지역에 살았으나, 1919년에 다시 캐슬바로 돌아왔다. 1926년 아버지가 은퇴하자 게이언은 더블린으로 이주했다.[1]

3. 경력

영국령 아일랜드 더니골 주 리퍼드에서 태어나 메이요 주 캐슬바에서 성장했다. 젊은 시절 아이스 하키 선수(1918년~1923년)로 활동한 후 화가로 전향했으며, 1940년대 초반에는 더글러스 하이드 대통령의 비서관을 지내기도 했다. 이후 아일랜드 공예 발전과 농촌 여성의 경제적 자립 지원에 헌신하며 관련 단체 활동 및 교육 증진에 힘썼고, 이러한 공로를 널리 인정받았다.[1][2][4][5][6]

3. 1. 아일랜드 여성 협회(ICA) 활동과 농촌 진흥 운동

1927년 게이언은 여성으로만 구성된 회사인 모던 데코레이터(Modern Decorator)에서 화가이자 장식가로 경력을 시작했다. 이 경험을 통해 1910년에 설립된 아일랜드 연합 여성회(United Irishwomen)와 처음 인연을 맺게 되었고, 친구인 휴즈의 권유로 1929년 이 단체에 가입하여 왕립 더블린 협회(RDS) 봄 전시회 준비를 위한 단체 부스 페인팅 작업에 참여했다. 1930년에는 직장을 그만두고 다른 아일랜드 연합 여성회 회원들과 함께 더블린에 컨트리 샵(Country Shop)이라는 판매소를 열었다. 이 가게는 고립된 농촌 지역의 공예가들이 자신의 작품에 대해 정당한 가격을 받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들의 작품을 대신 판매하는 역할을 했다. Vawn Corrigan은 오늘날 널리 알려진 아란 스웨터의 첫 주문이 1932년 게이언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주장한다.[1][4][5] 1935년, 아일랜드 연합 여성회는 아일랜드 여성 협회(Irish Countrywomen's Association, ICA)로 명칭을 변경했으며, 게이언은 ICA 활동을 통해 루시 프랭크스(Lucy Franks), 마이니 젤렛(Mainie Jellett), 비다 렌테인(Vida Lentaigne) 등과 교류했다.[2]

게이언은 아일랜드 전통 공예 보존에도 힘썼다. 1935년에는 국가의 전통을 지키기 위해 아일랜드 홈스펀 협회(Irish Homespun Society)를 설립했고, 1941년에는 이 단체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협회는 매년 더블린 봄 전시회에서 전시회를 개최했다. 또한, 1946년부터 공예품과 농산물을 판매하는 협동조합인 아일랜드 컨트리 마켓(Irish Country Markets Ltd)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1975년까지 회장직을 맡았으며, 같은 해 왕립 더블린 협회(RDS)의 회원이 되어 1948년부터는 산업, 예술 및 일반 목적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그녀는 아일랜드 예술 및 공예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51년 아일랜드 예술 위원회(Arts Council (Ireland)) 창립 멤버 중 한 명이었으며, 1956년에는 아일랜드 예술 공예 협회(Arts and Crafts Society of Ireland) 위원회와 국가 저축 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1] Corrigan은 아일랜드 공예계에서 나타나는 자신감과 자존감이 게이언이 남긴 유산의 일부라고 평가한다.[6]

게이언은 아일랜드 내 공예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립 예술 디자인 대학(National College of Art and Design)에 직조 학교 설립을 성공적으로 로비했다. 또한 ICA가 라우스 주(County Louth) 터먼페킨(Termonfeckin)에 기숙형 훈련 대학인 An Grianán|안 그리안안gle을 설립하는 과정에서 미국의 켈로그 재단(Kellogg Foundation)으로부터 자금을 확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 대학은 1954년에 문을 열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65년 ICA 명예 종신 회원으로 추대되었다. 이후에도 그녀의 활동은 계속되어 1974년 얼라이드 아일랜드 은행(Allied Irish Banks) 지역 사회 개발 상, 1978년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Trinity College Dublin) 명예 박사 학위, 1984년 플런켓 협동 노력 상(Plunkett Award for Cooperative Endeavour)을 수상했다. 1976년에는 RDS 최초의 여성 부회장으로 선출되는 영예를 안았다.[1]

3. 2. 한국과의 인연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미국과의 관계 등을 바탕으로 1947년 2월, 미 군정 하의 남조선 과도정부 서울 미군정청을 방문하였다. 이때 '''김용완'''(金蓉琓)이라는 한국어 이름을 잠시 사용하기도 했다.

3. 3. 공예 교육 및 발전 옹호

1927년 게이언은 여성으로만 구성된 회사인 모던 데코레이터(Modern Decorator)에서 화가이자 장식가로 경력을 시작했다. 이 경험을 통해 1910년에 설립된 아일랜드 연합 여성회(United Irishwomen)와 처음 관계를 맺게 되었고, 친구 휴즈의 초대로 1929년 이 단체에 가입하여 왕립 더블린 협회(RDS) 봄 전시회를 위한 단체 부스를 직접 페인팅했다. 1930년에는 직장을 그만두고 다른 아일랜드 연합 여성회 회원들과 함께 더블린에 '컨트리 샵'(Country Shop)이라는 판매소를 열었다. 이는 자신의 작품에 대해 정당한 대가를 받지 못하는 고립된 농촌 지역 공예가들의 작품을 판매하기 위한 공간이었다. 오늘날 널리 알려진 아란 스웨터는 1932년 게이언이 처음으로 주문한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1][4][5] 1935년 아일랜드 연합 여성회는 아일랜드 여성 협회(Irish Countrywomen's Association, ICA)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게이언은 ICA 활동을 통해 루시 프랭크스, 마이니 젤렛, 비다 렌테인 등과 교류했다.[2]

게이언은 아일랜드의 전통 공예를 보존하는 데 깊은 관심을 가졌고, 1935년 아일랜드 홈스펀 협회(Irish Homespun Society)를 설립하여 국가의 전통을 지키고자 노력했다. 1941년에는 이 협회의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협회는 매년 더블린 봄 전시회에서 전시회를 개최했다. 또한 1946년부터는 공예품과 농산물을 판매하는 협동조합인 아일랜드 컨트리 마켓(Irish Country Markets Ltd)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1975년까지 회장직을 맡았다. 같은 해(1946년) 왕립 더블린 협회(RDS)의 회원이 되었고, 1948년부터는 산업, 예술 및 일반 목적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공예 발전에 기여했다. 1951년에는 아일랜드 예술 위원회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으로 참여했으며, 1956년에는 아일랜드 예술 공예 협회 위원회와 국가 저축 위원회에 임명되어 활동 범위를 넓혔다.[1] 아일랜드 공예계에서 나타나는 자신감과 자존감은 게이언이 남긴 중요한 유산의 일부로 평가받는다.[6]

게이언은 아일랜드 내 공예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적극적으로 옹호했다. 그녀의 노력으로 국립 예술 디자인 대학 내에 직조 학교를 설립하도록 설득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ICA가 라우스 주 터먼페킨에 기숙형 훈련 대학인 안 그리안안(An Grianán)을 설립할 때 미국의 켈로그 재단(Kellogg Foundation)으로부터 자금을 확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 대학은 1954년에 문을 열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65년 ICA로부터 명예 종신 회원으로 선정되었다. 이후에도 그녀의 공헌은 계속 인정받아 1974년 얼라이드 아일랜드 은행 지역 사회 개발 상, 1978년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명예 박사 학위, 1984년 플런켓 협동 노력 상(Plunkett Award for Cooperative Endeavour)을 수상했다. 특히 1976년에는 왕립 더블린 협회(RDS) 최초의 여성 부회장으로 선출되는 영예를 안았다.[1]

4. 사망과 유산

게이언은 1992년 ICA에서 은퇴하여 더블린 생킬에서 거주했다. 이후 볼스브리지의 세인트 메리 요양원으로 거처를 옮겼고, 그곳에서 1995년 7월 12일에 사망했다. 에드워드 맥과이어가 그린 게이언의 초상화는 RDS의 의회 회의실에 걸려 있다.[1]

2011년 4월 7일, 아 그리아난에 머리얼 게이언 아일랜드 역사 박물관이 개관했다. 이 박물관은 현재 아일랜드 역사, 공예, 문화와 관련된 많은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또한, 매년 RDS 전국 공예 대회에서는 2000EUR의 머리얼 게이언 장학금이 수여된다.[7][8]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Irish Bi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2] 웹사이트 A woman of craft and creativity https://www.irishtim[...] 1997-12-13
[3] 뉴스 Maids of the Mountain Hockey Club transcript http://www.dublincit[...] www.dublincity.ie 2014-10-29
[4] 서적 Irish Aran, History, Tradition, Fashion http://www.obrien.ie[...] O'Brien Press 2019
[5] 웹사이트 Deeds not Words https://www.mayobook[...]
[6] 서적 Irish Tweed: History, Tradition, Fashion http://www.obrien.ie[...] O'Brien Press 2020
[7] 웹사이트 MURIEL GAHAN http://www.castlebar[...] 2021-03-10
[8] 웹사이트 Muriel François Gahan https://www.ourirish[...] 2021-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