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노타우르-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노타우르-C는 미국 노스럽 그러먼이 제작한 4단 고체 연료 로켓이다. 페가수스 로켓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된다. 미노타우르-C는 정부 및 상업용 인공위성 발사에 사용되며, 군사용 위성 발사에도 적합하다. 1994년 첫 발사 이후 여러 차례의 발사 실패를 겪은 후 재설계를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미노타우르-C는 4자리의 숫자로 구성된 넘버링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구성을 나타내며, 지상 기반 요격기(GBI)의 부스터 차량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노타우르 로켓 - 미노타우르 IV
미노타우르 IV는 피스키퍼 미사일을 기반으로 개발된 4단 고체 연료 로켓으로, 소형 위성 발사 및 준궤도 비행 시험 등에 사용되며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 미노타우르 로켓 - 미노타우르 I
미노타우르 I은 궤도 과학사에서 개발한 발사체로, 퇴역한 미니트맨 미사일의 1단 로켓과 SR19 2단 로켓을 결합하여 최대 580kg의 탑재체를 저궤도에 올릴 수 있다. - 우주발사체 - 팰컨 1
스페이스X에서 개발한 팰컨 1은 민간 자금으로 개발된 액체 추진 방식의 소형 궤도 발사체로, 여러 번의 시도 끝에 세계 최초로 민간 액체 추진 로켓으로서 궤도 진입과 상업 위성 발사에 성공했으나, 사업성 부족으로 운용이 중단되었다. - 우주발사체 - 델타 IV
델타 IV는 미국 공군의 EELV 프로그램에 따라 개발된 델타 로켓 계열의 발사체로, 액체 수소 연료와 RS-68 엔진을 사용하며 다양한 버전으로 운용되다가 높은 비용과 수요 부족으로 인해 단계적으로 폐지되었고, 벌컨 켄타우루스가 이를 대체할 예정이다.
미노타우르-C | |
---|---|
개요 | |
기능 | 궤도 발사체 |
제조사 | 오비탈 사이언스, 오비탈 ATK, 노스롭 그루먼 |
원산지 | 미국 |
비용 | 미화 4천만 ~ 5천만 달러 |
상태 | 활동 중 |
발사 장소 | 반덴버그 공군 기지, SLC-576E |
물리적 특성 | |
높이 | 27.9 m |
지름 | 2.35 m |
질량 | 73000 kg |
단 | 4단 |
성능 | |
LEO 수송 능력 | 1458 kg |
SSO 수송 능력 | 1054 kg |
발사 기록 | |
발사 횟수 | 10회 |
성공 횟수 | 7회 |
실패 횟수 | 3회 |
첫 발사 | 1994년 3월 13일 22:32 UTC (USA 101 / USA 102) |
마지막 발사 | 2017년 10월 31일 21:37 UTC |
1단 | |
이름 | 캐스터 120 |
엔진 | 1개 고체 |
고체 여부 | 예 |
추력 | 1606.6 kN |
비추력 | 286 s |
연소 시간 | 83초 |
연료 | 고체 |
2단 | |
이름 | 토러스-1 |
엔진 | 1개 고체 |
고체 여부 | 예 |
추력 | 484.9 kN |
비추력 | 285 s |
연소 시간 | 73초 |
연료 | 고체 |
3단 | |
이름 | 페가수스-2 |
엔진 | 1개 고체 |
고체 여부 | 예 |
추력 | 118.2 kN |
비추력 | 292 s |
연소 시간 | 73초 |
연료 | 고체 |
4단 | |
이름 | 페가수스-3 |
엔진 | 1개 고체 |
고체 여부 | 예 |
추력 | 34.57 kN |
비추력 | 293 s |
연소 시간 | 65초 |
연료 | 고체 |
2. 역사
미노타우르-C는 4단 고체연료 로켓으로, 미국 노스럽 그러먼이 제작했다.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공군 기지의 SLC-576E 발사대에서 발사한다.[25] 노스럽 그러먼의 공중발사형 페가수스 로켓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1,350kg의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올릴 수 있다.
미노타우르-C는 4단 고체 연료 로켓으로, 각 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994년 최초로 발사되었으며, 10번의 발사 중 7번 성공했다. 2009년과 2011년에는 두 번 연속 같은 원인으로 발사에 실패했다.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지원을 받아 개발된 페가수스의 지상 발사형이 토러스이다.[27] 처음에는 SSLV ("Standard Small Launch Vehicle")로 불리며 1989년에 계약이 이루어져 개발이 진행되었다.[28]
정부 기관용 및 상업용 인공위성 발사에 사용되며, 전단 고체 방식의 즉응성이 높은 설계로 군사용 위성 발사에도 적합하다. 2014년 미노타우르-C로 브랜드 이름을 변경했다. 기존의 항법장치를 미노타우르 계열 로켓에 사용된 새로운 항법장치로 교체했다. 6년간 발사하지 않다가 2017년 미노타우르-C를 발사했다.[25]
3. 구성
미노타우르-C는 제0단에서 제3단 또는 제4단까지 구성된 4단 또는 5단의 전단 고체 연료 로켓이며, 모든 모터는 ATK 런치 시스템즈 그룹(구 티오콜)이 제조한다.[29]
일반적인 경우 로켓의 초단을 제1단으로 표기하지만, OSC에서는 토러스의 초단을 제0단으로 표기한다. 이는 토러스가 페가수스의 지상 발사형으로 개발되었다는 경위에 따른 것이다.
;SSLV 토러스
1000번대에 해당하며 군사용 토러스이다. ARPA (현 DARPA)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ARPA 토러스, 공군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어 포스 토러스라고 불리지만, 구성은 동일하며, 모두 제0단 부스터로 피스키퍼의 초단 TU-903을 채용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3기가 발사되어 모두 성공했다.
;토러스
2000번대에 해당하는 상업 발사용 표준형 토러스이다. SSLV 토러스와의 차이는 제0단 부스터에 캐스터 120 모터를 채용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이 모터는 ATK가 TU-903을 바탕으로 상업 발사를 하는 아테나용으로 개발한 것이다. 3기가 발사되었고, 1기가 실패했다.
;토러스 XL
3000번대에 해당하는 상업 발사용 증강형 토러스이다. 표준형과 달리 1, 2단에 페가수스 XL과 동일한 확장형 모터를 사용하여, 궤도 투입 능력의 향상을 꾀했다. 4기가 발사되었고, 2기가 실패했다.
3. 1. 넘버링 시스템
미노타우르-C의 다양한 구성은 델타 로켓에 사용된 넘버링 시스템과 유사한 4자리 코드를 사용하여 지정된다. 첫 번째 숫자는 사용되는 1단 로켓의 유형과 2단 및 3단 로켓이 표준 또는 "XL" 구성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9][10] 두 번째 숫자는 페이로드 페어링의 직경을 나타낸다.[9] 세 번째 숫자는 4단 로켓의 유형을 나타낸다.[9] 네 번째 숫자는 선택적인 5단 로켓을 나타내며, 지금까지 사용된 적이 없다.[9]번호 | 첫 번째 숫자 | 두 번째 숫자 | 세 번째 숫자 | 네 번째 숫자 | ||
---|---|---|---|---|---|---|
1단 로켓 | 2단 로켓 | 3단 로켓 | 페어링 직경 | 4단 로켓 | 5단 로켓 | |
0 | | | |없음 | |||||
1 | TU-903 | 오리온 50ST | 오리온 50T | 1.6m | 오리온 38 | |
2 | 캐스터-120 | 오리온 50ST | 오리온 50T | 2.34m | ||
3 | 캐스터-120 | 오리온 50SXLT | 오리온 50XLT | 스타-37FM | 스타-37[10] |
토러스는 제0단에서 제3단 또는 제4단까지로 구성된 4단 또는 5단의 전단 고체 연료 로켓이며, 모터는 모두 ATK 런치 시스템즈 그룹(구 티오콜)이 제조한다.[29] 토러스의 구성은 4자리의 숫자로 표기되며, 대략 1000번대 SSLV 토러스, 2000번대 표준형 토러스, 3000번대 토러스 XL의 3종류로 구분된다. 이 외에 페어링이나 제3단의 종류, 제4단의 유무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다.[30]
번호 | a | b | c | d |
---|---|---|---|---|
구성 | 페어링 직경 | 제3단 | 제4단 | |
0 | N/A | N/A | N/A | 무 |
1 | SSLV 토러스 | 63인치 | 오리온 38 | N/A |
2 | 토러스 | 92인치 | N/A | N/A |
3 | 토러스 XL | N/A | 스타 37FM | 스타 37FM |
4. 발사 기록
22:32
13:20
10:04
07:13
09:29
18:49
17:47
09:55
10:09
2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