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셀 마크 부샤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셸 마르크 부샤르는 캐나다 퀘벡 출신의 극작가이자 시나리오 작가로, 1958년에 태어났다. 오타와 대학교에서 연극을 공부하고 1980년대 초부터 극작가 겸 배우로 활동하며, 25편 이상의 희곡을 썼다. 그의 작품은 《고아 뮤즈들》, 《레 펠뤼에트 또는 낭만적인 드라마의 반복》, 《백합》, 《톰, 농장에서》, 《로리에 고드로가 깨어난 밤》 등이 있으며, 여러 차례 영화 및 텔레비전 드라마로 각색되었다. 그는 퀘벡 국가 훈장 기사 작위, 아타나즈-다비드 상, 블루 메트로폴리스 바이올렛 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성소수자 작가 - 제임스 랜디
제임스 랜디는 캐나다 출신의 마술사이자 회의론자로, 가짜 초능력자 폭로, 탈출 마술, 저서 및 강연을 통해 초자연 현상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며 회의론 운동에 기여했다. - 캐나다의 성소수자 작가 - 알베르토 망구엘
알베르토 망구엘은 아르헨티나 출신의 작가, 편집자, 번역가, 독서가이자 서지학자이며, 《독서의 역사》 등의 저서를 통해 널리 알려졌고, 아르헨티나 국립 도서관 관장을 역임했다. - 게이 작가 - 안젤로 폴리치아노
안젤로 폴리치아노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고전학자이자 시인으로, 로렌초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았으며 고전 문헌 연구에 문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다양한 라틴어 및 이탈리아어 작품을 남겼다. - 게이 작가 - 미셸 푸코
미셸 푸코는 프랑스의 철학자, 역사가, 사회학자로서 권력, 지식, 담론 등을 탐구하며 서양 사상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셀 마크 부샤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58년 2월 2일 (66세) |
국적 | 캐나다 |
직업 | 극작가 |
수상 | |
퀘벡 국가 훈장 | 퀘벡 국가 훈장 |
2. 초기 생애 및 교육
미셸 마르크 부샤르는 1958년 캐나다 퀘벡주 북쪽 도시 생쾨르드마리에서 태어났다.[3] 오타와 대학교 연극과를 졸업한 후,[3] 1980년대 초부터 온타리오에 있는 불어권 극단을 중심으로 극작가 겸 배우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80년에 쓴 <물 나르는 사람들>은 1981년에 쉬드뷔리에 있는 누벨·온타리오 극장에서 첫 공연을 올렸다. <고아 뮤즈들>(1988), <레 펠뤼에트 또는 낭만적인 드라마의 반복>(1988)이 공연에서 모두 성공을 거둬 불어권 연극계에 발판을 굳혔을 뿐만 아니라, 캐나다 영어권 지역과 외국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오타와 대학교에서 연극을 공부했다.[3]
2. 1. 출생 및 성장 배경
미셸 마르크 부샤르는 1958년 캐나다 퀘벡주 북쪽 도시 생쾨르드마리에서 태어났다.[3] 오타와 대학교 연극과를 졸업한 후,[3] 1980년대 초부터 온타리오에 있는 불어권 극단을 중심으로 극작가 겸 배우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80년에 쓴 <물 나르는 사람들>은 1981년에 쉬드뷔리에 있는 누벨·온타리오 극장에서 첫 공연을 올렸다. <고아 뮤즈들>(1988), <레 펠뤼에트 또는 낭만적인 드라마의 반복>(1988)이 공연에서 모두 성공을 거둬 불어권 연극계에 발판을 굳혔을 뿐만 아니라, 캐나다 영어권 지역과 외국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2. 2. 오타와 대학교 연극과 졸업
퀘벡주 생쾨르드마리에서 태어난 그는 오타와 대학교에서 연극을 공부했다.[3]3. 경력
미셸 마르크 부샤르는 1958년 퀘벡 주 북쪽 도시 생-퀘르 드 마리에서 태어난 캐나다의 불어권 지역인 퀘벡 출신의 극작가이자 시나리오 작가이다. 오타와 대학 연극과를 졸업한 이후인 1980년대 초부터 온타리오에 있는 불어권 극단을 중심으로 극작가 겸 배우로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81년에는 쉬드뷔리에 있는 누벨·온타리오 극장에서 <물 나르는 사람들>(1980)의 첫 공연을 올렸다.
1983년 프로 극작가로 데뷔하여 《대관식 항해 (Le voyage du Couronnement)》, 《위험한 고갯길 (Le chemin des Passes-dangereuses)》, 《홍수의 원고 (Les manuscrits du déluge)》 등 25편 이상의 희곡을 썼다.[1]
<고아 뮤즈들>(1988), <레 펠뤼에트 또는 낭만적인 드라마의 반복>(1988)은 공연에서 모두 성공을 거둬 불어권 연극계에 발판을 굳혔을 뿐만 아니라 캐나다 영어권 지역과 외국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특히 <레 펠뤼에트 또는 낭만적인 드라마의 반복>은 몬트리올 신문사 문학상, 우타우에 문학 서클 특별상(1988), 도라 무어 상 (1991), 샬머 상(1991)을 받았으며, 2003년 공연에서는 퀘벡 연극 아카데미에서 주는 관객 마스크 상과 최고 마스크 상, 몬트리올 최고 제작상, 세 배우의 연기상을 휩쓸었다. 그의 희곡 작품은 10개국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영화화된 작품도 여럿 있을 정도로 캐나다 불어권의 중요한 극작가이다.
희곡과 시나리오 작업 외에도, 오타와 트릴리움 극장 예술감독(1989∼1991)을 역임했으며, 오타와 대학과 몬트리올 대학에서 연극을 강의하기도 했다(1992).
1993년 부샤르와 그의 극단 레 두 몽드(Les deux mondes)는 총독 공연 예술상의 부상인 국립 예술 센터 상을 수상했다.[4]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인 희곡 《백합》은 존 그레이슨에 의해 영화 《백합》으로 제작되어 1996년 제니 상을 수상했다.[5] 부샤르의 희곡 《고아의 뮤즈 (Les Muses orphelines)》는 2000년 로버트 파브로에 의해 영화로 각색되었다. 그의 희곡 《마돈나 화가 (Le Peintre des madones)》는 영어로 번역되어 2010년 캐나다의 극장에서 공연되어 호평을 받았다.[6]
부샤르의 희곡 《톰, 농장에서 (Tom à la ferme)》는 2011년 테아트르 도주르드위에서 초연되었고, 자비에 돌란에 의해 2013년 영화로 각색되었다.[8][9]
2012년 부샤르는 퀘벡 국가 훈장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10] 2021년에는 문학 분야 평생 업적을 기리는 퀘벡의 아타나즈-다비드 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11] 그의 2019년 희곡 《로리에 고드로가 깨어난 밤 (La nuit où Laurier Gaudreault s'est réveillé)》은 자비에 돌란에 의해 텔레비전 드라마 《로건이 깨어난 밤》으로 각색되었다.[12] 2023년에는 LGBTQ 작가를 위한 블루 메트로폴리스 바이올렛 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13]
3. 1. 초기 활동: 1980년대
미셸 마르크 부샤르는 1958년 퀘벡 주 북쪽 도시 생-퀘르 드 마리에서 태어난 캐나다의 불어권 지역인 퀘벡 출신의 극작가이자 시나리오 작가이다. 오타와 대학 연극과를 졸업한 이후인 1980년대 초부터 온타리오에 있는 불어권 극단을 중심으로 극작가 겸 배우로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81년에는 쉬드뷔리에 있는 누벨·온타리오 극장에서 <물 나르는 사람들>(1980)의 첫 공연을 올렸다. <고아 뮤즈들>(1988), <레 펠뤼에트 또는 낭만적인 드라마의 반복>(1988)이 공연에서 모두 성공을 거둬 불어권 연극계에 발판을 굳혔을 뿐만 아니라, 캐나다의 영어권 지역과 외국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특히 <레 펠뤼에트 또는 낭만적인 드라마의 반복>은 첫 공연 이후 몬트리올 신문사 문학상, 우타우에 문학 서클 특별상(1988)과 도라 무어 상(1991), 샬머 상(1991)을 받았다. 지금까지 무대화된 희곡만 30편 정도 되고, 몇몇 희곡 작품은 10개국 언어로 번역된 바 있으며, 영화화된 작품도 몇 편이 될 정도로 그는 캐나다 불어권의 중요한 극작가이다. 이러한 희곡과 시나리오 작업 외에도, 작가는 오타와 트릴리움 극장 예술감독(1989∼1991)을 역임한 바 있으며, 오타와 대학과 몬트리올 대학에서 연극을 강의하기도 했다(1992).3. 2. 극작가로서의 성공과 인정: 1980년대 후반 ~ 현재
미셸 마르크 부샤르는 1980년대 초부터 온타리오에 있는 불어권 극단을 중심으로 극작가 겸 배우로서 활동하기 시작했다.[1] 1983년 프로 극작가로 데뷔하여 《대관식 항해 (Le voyage du Couronnement)》, 《위험한 고갯길 (Le chemin des Passes-dangereuses)》, 《홍수의 원고 (Les manuscrits du déluge)》 등 25편 이상의 희곡을 썼다.[1]<고아 뮤즈들>(1988), <레 펠뤼에트 또는 낭만적인 드라마의 반복>(1988)은 공연에서 모두 성공을 거둬 불어권 연극계에 발판을 굳혔을 뿐만 아니라 캐나다 영어권 지역과 외국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특히 <레 펠뤼에트 또는 낭만적인 드라마의 반복>은 몬트리올 신문사 문학상, 우타우에 문학 서클 특별상(1988), 도라 무어 상 (1991), 샬머 상(1991)을 받았으며, 2003년 공연에서는 퀘벡 연극 아카데미에서 주는 관객 마스크 상과 최고 마스크 상, 몬트리올 최고 제작상, 세 배우의 연기상을 휩쓸었다. 그의 희곡 작품은 10개국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영화화된 작품도 여럿 있을 정도로 캐나다 불어권의 중요한 극작가이다. 오타와 트릴리움 극장 예술감독(1989∼1991)을 역임했으며, 오타와 대학과 몬트리올 대학에서 연극을 강의하기도 했다(1992).[1]
1993년 부샤르와 그의 극단 레 두 몽드(Les deux mondes)는 총독 공연 예술상의 부상인 국립 예술 센터 상을 수상했다.[4]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인 희곡 《백합》은 존 그레이슨에 의해 영화 《백합》으로 제작되어 1996년 제니 상을 수상했다.[5] 부샤르의 희곡 《고아의 뮤즈 (Les Muses orphelines)》는 2000년 로버트 파브로에 의해 영화로 각색되었다. 그의 희곡 《마돈나 화가 (Le Peintre des madones)》는 영어로 번역되어 2010년 캐나다의 극장에서 공연되어 호평을 받았다.[6]
부샤르의 희곡 《톰, 농장에서 (Tom à la ferme)》는 2011년 테아트르 도주르드위에서 초연되었고, 자비에 돌란에 의해 2013년 영화로 각색되었다.[8][9] 2012년 부샤르는 퀘벡 국가 훈장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10] 2021년에는 문학 분야 평생 업적을 기리는 퀘벡의 아타나즈-다비드 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11] 그의 2019년 희곡 《로리에 고드로가 깨어난 밤 (La nuit où Laurier Gaudreault s'est réveillé)》은 자비에 돌란에 의해 텔레비전 드라마 《로건이 깨어난 밤》으로 각색되었다.[12] 2023년에는 LGBTQ 작가를 위한 블루 메트로폴리스 바이올렛 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13]
3. 3. 영화화된 작품들
미셸 마르크 부샤르의 희곡 《백합》은 존 그레이슨에 의해 영화 《백합》으로 제작되었으며, 이 영화는 1996년 제니 상을 수상했다.[5] 그의 희곡 《고아의 뮤즈 (Les Muses orphelines)》는 2000년 로버트 파브로에 의해 영화로 각색되었다.[6] 《톰, 농장에서 (Tom à la ferme)》는 2011년 테아트르 도주르드위에서 초연되었으며, 자비에 돌란에 의해 2013년 영화로 각색되었다.[8][9] 그의 2019년 희곡 《로리에 고드로가 깨어난 밤 (La nuit où Laurier Gaudreault s'est réveillé)》은 자비에 돌란에 의해 텔레비전 드라마 《로건이 깨어난 밤》으로 각색되었다.[12]3. 4. 기타 활동
미셸 마르크 부샤르는 1958년 퀘벡 주 북쪽 도시 생-퀘르 드 마리에서 태어난 캐나다의 불어권 지역인 퀘벡 출신의 극작가이자 시나리오 작가이다. 오타와 대학 연극과를 졸업한 이후 80년대 초부터 온타리오에 있는 불어권 극단을 중심으로 극작가 겸 배우로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희곡과 시나리오 작업 외에도, 오타와 트릴리움 극장 예술감독(1989∼1991)을 역임했으며, 오타와 대학과 몬트리올 대학에서 연극을 강의하기도 했다(1992).4. 주요 작품
《고아 뮤즈들》(Les Muses orphelines)은 7개 국어로 번역되어 약 10개국에서 공연된 작품으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삶의 고통, 부모 부재로 인한 좌절, 형제간의 갈등과 애증, 주변 사람들의 질시에 대한 반항 등이 주된 내용이다. 현대적이면서도 고전적인 심리극, 사이코드라마, 언어 중심극과 같은 다채로운 면모를 지닌 이 작품은 자신의 삶을 찾기 위해 모성을 포기하는 파격적인 어머니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엄마가 떠난 후 엄마 옷을 입고 마을을 돌아다니는 남동생, 완고하지만 바람둥이인 큰언니, 레즈비언인 작은언니, 약간 모자란 듯하면서도 이야기의 중심축이 되는 막내 여동생 등 작품 속 인물들은 평범하지 않은 캐릭터를 통해 무미건조한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고 작품의 깊이를 더한다. 자식을 버린 어머니는 원망과 증오의 대상이 아니라 자유와 용기를 상징하며 사회적 통념을 깨는 인물로 그려진다. 이는 기존 가부장적 사회에서 부정적으로 묘사되던 여성상에서 벗어나, 주체적이고 자유로운 여성상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진보적인 가치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고아 뮤즈들》이라는 제목처럼 이 작품은 엄마가 젊은 스페인 남자 페데리코를 찾아 떠난 후 버림받은 고아들에 관한 이야기이지만, 슬프거나 우울하거나 감상적으로 흐르지 않는다. 오히려 곳곳에서 터져 나오는 유머와 아이러니로 인해 경쾌하고 활기찬 분위기를 자아낸다. 남매들의 고통스러웠던 어린 시절과 서로에 대한 갈등과 오해는 극중극 형식으로 펼쳐지면서 화해와 치유의 국면으로 접어든다. 나아가 자신들을 버린 어머니까지도 한 인간으로서 이해하게 되고, 모성애의 터부를 과감하게 뛰어넘는 어머니를 지지하기에 이른다. 극이 진행됨에 따라 고통과 불신은 점차 사라지고, 자신의 진정한 정체성을 찾아나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4. 1. 《고아 뮤즈들》 (Les Muses orphelines)
《고아 뮤즈들》(Les Muses orphelines)은 7개 국어로 번역되어 약 10개국에서 공연된 작품으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삶의 고통, 부모 부재로 인한 좌절, 형제간의 갈등과 애증, 주변 사람들의 질시에 대한 반항 등이 주된 내용이다. 현대적이면서도 고전적인 심리극, 사이코드라마, 언어 중심극과 같은 다채로운 면모를 지닌 이 작품은 자신의 삶을 찾기 위해 모성을 포기하는 파격적인 어머니를 중심으로 전개된다.엄마가 떠난 후 엄마 옷을 입고 마을을 돌아다니는 남동생, 완고하지만 바람둥이인 큰언니, 레즈비언인 작은언니, 약간 모자란 듯하면서도 이야기의 중심축이 되는 막내 여동생 등 작품 속 인물들은 평범하지 않은 캐릭터를 통해 무미건조한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고 작품의 깊이를 더한다. 자식을 버린 어머니는 원망과 증오의 대상이 아니라 자유와 용기를 상징하며 사회적 통념을 깨는 인물로 그려진다.
《고아 뮤즈들》이라는 제목처럼 이 작품은 엄마가 젊은 스페인 남자 페데리코를 찾아 떠난 후 버림받은 고아들에 관한 이야기이지만, 슬프거나 우울하거나 감상적으로 흐르지 않는다. 오히려 곳곳에서 터져 나오는 유머와 아이러니로 인해 경쾌하고 활기찬 분위기를 자아낸다. 남매들의 고통스러웠던 어린 시절과 서로에 대한 갈등과 오해는 극중극 형식으로 펼쳐지면서 화해와 치유의 국면으로 접어든다. 나아가 자신들을 버린 어머니까지도 한 인간으로서 이해하게 되고, 모성애의 터부를 과감하게 뛰어넘는 어머니를 지지하기에 이른다. 극이 진행됨에 따라 고통과 불신은 점차 사라지고, 자신의 진정한 정체성을 찾아나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4. 2. 《레 펠뤼에트 또는 낭만적인 드라마의 반복》 (Les Feluettes ou la répétition d'un drame romantique)
4. 3. 《백합》 (Lilies)
4. 4. 《톰, 농장에서》 (Tom à la ferme)
4. 5. 《로리에 고드로가 깨어난 밤》 (La nuit où Laurier Gaudreault s'est réveillé)
5. 수상 경력
미셸 마크 부샤르는 1983년 프로 극작가로 데뷔하여 25편 이상의 희곡을 썼다.[1] 1993년 부샤르와 그의 극단 레 두 몽드는 국립 예술 센터 상을 수상했다.[4] 그의 희곡 《백합》은 존 그레이슨에 의해 영화 《백합》으로 제작되어 1996년 제니 상을 수상했다.[5]
그의 희곡 《고아의 뮤즈 (Les Muses orphelines)》, 《마돈나 화가 (Le Peintre des madones)》, 《톰, 농장에서 (Tom à la ferme)》는 각각 로버트 파브로, 자비에 돌란에 의해 영화화되었다.[6][8][9] 특히 《마돈나 화가》는 영어로 번역되어 2010년 캐나다 극장에서 공연되어 호평을 받았다.[6]
2012년 부샤르는 퀘벡 국가 훈장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10] 2021년에는 문학 분야 평생 업적을 기리는 아타나즈-다비드 상을 수상했다.[11] 2023년에는 LGBTQ 작가를 위한 블루 메트로폴리스 바이올렛 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13] 그의 2019년 희곡 《로리에 고드로가 깨어난 밤 (La nuit où Laurier Gaudreault s'est réveillé)》은 자비에 돌란에 의해 텔레비전 드라마 《로건이 깨어난 밤》으로 각색되었다.[12]
6. 작품 세계의 특징
6. 1. 사회적 통념과 금기에 대한 도전
6. 2. 섬세한 심리 묘사와 극적인 구성
6. 3. 소외된 개인과 사회와의 갈등
참조
[1]
백과사전
Michel Marc Bouchard
http://www.thecanadi[...]
2016-07-06
[2]
뉴스
Another career peak for Michel Marc Bouchard with Tom at the Farm
https://www.theglobe[...]
The Globe and Mail
2015-04-10
[3]
웹사이트
Michel Marc Bouchard
http://www.cead.qc.c[...]
Centre des auteur dramatiques
2019-01-18
[4]
웹사이트
Michel Marc Bouchard and Les Deux Mondes biography
http://ggpaa.ca/awar[...]
Governor General's Performing Arts Awards Foundation
2015-02-02
[5]
뉴스
"Q&A: The Girl King's Michel Marc Bouchard rules the stage, serves the screen"
https://montrealgaze[...]
Montreal Gazette
2016-08-25
[6]
웹사이트
Bouchard play paints bleak period in Canadian history
http://www.vancourie[...]
Vancouver Courier
2010-11-19
[7]
뉴스
The Madonna Painter: Small town drama
https://www.theglobe[...]
The Globe and Mail
2009-11-24
[8]
웹사이트
Xavier Dolan to adapt the Michel Marc Bouchard play Tom à la ferme
https://montrealgaze[...]
2016-07-06
[9]
라디오
Playwright Michel Marc Bouchard
http://www.cbc.ca/ra[...]
CBC Radio
2014-08-31
[10]
웹사이트
Les récipiendaires de l'Ordre national du Québec
http://www.premier-m[...]
Government of Quebec
2012-06-04
[11]
뉴스
Bouchard, Galipeau, Pintal et Rivard honorés
https://www.lapresse[...]
La Presse
2021-10-29
[12]
뉴스
Xavier Dolan reawakens fans' interest with first series
https://montrealgaze[...]
Montreal Gazette
2022-12-02
[13]
뉴스
Michel Marc Bouchard: «j’ai le droit de parler de tout»
https://journalmetro[...]
Métro
2023-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