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시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시사는 1970년대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역사 연구 방법론으로, 사회사 및 문화사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기존의 역사 기술 방식에 대한 반작용으로 등장했으며, 개인, 가족, 마을 등 사회의 작은 단위에 집중하여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탐구한다. 대표적인 연구자로는 카를로 긴즈부르그, 조반니 레비 등이 있으며, 2010년대 이후에는 미시사의 상세한 초점을 세계적 관점과 결합한 "글로벌 미시사" 분야로 확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사적 분야 - 교회사
    교회사는 기독교의 역사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며, 로마 가톨릭교회와 개신교에서 각기 다른 관점으로 정의하고, 초대 교회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현대에는 객관적인 역사 연구 방법론을 활용한다.
  • 역사적 분야 - 정신사
    정신사는 지성사를 번역한 용어로 사상사, 관념사, 심성사와 함께 지적 활동의 역사를 다루는 학문 분야이며, 미국에서 정치 중심 역사학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출발하여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거쳐 발전해왔고, 최근에는 르네상스 연구를 중심으로 인문학 전반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21세기에 들어 세계 지성사 분야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미시사
미시사
유형역사 연구 방법
설명특정 사건, 공동체, 개인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통해 광범위한 역사적 질문에 답하는 역사 연구 방법
어원
정의"작은 것"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접두사 "미크로(micro-)"에서 유래
특징
연구 범위단일 사건
공동체
개인
연구 목표구체적인 사례 연구를 통해 거시적인 역사적 흐름을 이해
역사적 맥락의 복잡성 강조
다양한 관점과 경험 포착
방법론
주요 방법1차 사료 분석 (기록, 편지, 일기 등)
구술사
인류학적 방법론
특징엄밀한 경험적 조사
미시적 수준에서의 사회적, 문화적 역학 관계 분석
역사
기원1970년대 이탈리아
초기 연구카를로 진츠부르그의 《치즈와 구더기》
조반니 레비의 《상속 재산》
발전프랑스 아날학파의 영향
사회사, 문화사, 정신사 연구와 융합
전 세계적으로 확산
중요성
기여역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 확장
소외된 집단과 개인의 역사 재조명
역사 서술의 다양성 증진
비판
문제점지나치게 좁은 연구 범위로 인한 일반화의 어려움
거시적 역사와의 연관성 부족
주관적인 해석의 가능성
영향
관련 분야사회사
문화사
정신사
구술사
인류학
참고 문헌
주요 학자카를로 진츠부르그
조반니 레비
나탈리 제먼 데이비스
아론 구레비치

2. 배경과 의미

미시사(Microstoria)는 1970년대 이탈리아에서 카를로 긴즈부르크, 조반니 레비 등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사회사, 문화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7] 조반니 레비에 따르면, 미시사는 기존 역사 기술 방식에서 나타난 문제점에 대한 반작용으로 시작되었다.[7] 카를로 긴즈부르크는 1977년경 처음 이 용어를 들었고, 곧 레비, 시모나 체루티와 함께 미시사 작품 시리즈인 ''Microstorie''를 작업하기 시작했다고 한다.[9]

'미시사'라는 용어는 1959년 미국의 역사학자 조지 R. 스튜어트가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10] 1970년대 이탈리아 학자들에 의해 학문적 방법론으로 정립되었다. 에드워드 P. 톰슨, 에마뉘엘 르 루아 라뒤리, 루이스 곤잘레스 이 곤잘레스 등은 이탈리아 미시사 학파보다 먼저 미시사적 접근을 시도한 선구자들로 평가받는다.[8]

3. 접근 방식

미시사 연구자들은 사회의 작은 단위에 집중하는데, 이는 사회 과학이 제시하는 일반화가 이러한 작은 단위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2] 1976년 긴즈부르크의 저서 『치즈와 구더기』는 16세기 이탈리아의 한 방앗간 주인인 메노키오의 삶을 탐구하는 등, 미시사 연구는 주로 평범한 개인이나 소외된 집단의 삶을 다룬다. 리처드 M. 트리스타노는 이들을 "작은 사람들"이라고 묘사한다.

카를로 긴즈부르크는 자료의 부족이나 공백(空白)을 역사적 설명의 일부로 포함시키는 것을 미시사의 핵심 원칙으로 제시했다. 레비는 연구자 자신의 관점 또한 연구 과정에 반영될 수 있음을 인정한다고 말했다. 또한 미시사적 접근 방식은 엘리트 문화와 대중 문화, 미시적 역사와 거시적 역사의 상호작용에도 주목한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 걸쳐 미시사는 프랑스와 독일의 역사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대표적인 학자로는 나탈리 제몽 데이비스 (''The Return of Martin Guerre'', 1983), 로버트 단턴, 알랭 코르뱅 등이 있다. 미국의 미시사 연구는 클리퍼드 기어츠의 '두터운 서술(thick description)' 개념에 큰 영향을 받았다.[12] 미시사는 프랑스 아날 학파의 심성사, 독일의 일상사(Alltagsgeschichte), 역사 인류학 등과 함께 문화사의 일부로 간주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글로벌 미시사'라는 분야가 등장하여, 미시사 연구의 상세한 초점을 더 넓은 초지역적 또는 세계적 관점과 결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3][4]

3. 1. 주요 연구자


  • 볼프강 베링거
  • 로버트 비커스
  • Jaroslav Čechura|야로슬라프 체후라cs
  • 시모나 체루티
  • 알랭 코르뱅
  • 존 J. 커리
  • 로버트 단턴
  • 나탈리 제몽 데이비스
  • 아리 판 더르선
  • 클리퍼드 기어츠
  • 카를로 긴즈부르그
  • 루이스 곤잘레스 이 곤잘레스
  • 마우리치오 그리바우디
  • 크레이그 할라인
  • 신시아 A. 키어너
  • 마크 컬란스키
  • 에마뉘엘 르 루아 라뒤리
  • 조반니 레비
  • 시구르뒤르 길피 마그누손
  • 루이스 모트
  • 수 피바디
  • 레슬리 피어스
  • 데틀레프 포이케르트
  • 오스발도 라조
  • 자크 레벨
  • 귀도 루지에로
  • 데이비드 세이비언
  • 미미 셸러
  • 캐롤린 스티드먼
  • 조너선 D. 스펜스
  • 앨런 테일러
  • 스텔라 틸리어드
  • E. P. 톰슨
  • 로렐 대처 울리치
  • 알프레드 F. 영

참조

[1] 서적 Shared Traditions: Southern History and Folk Cul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1999
[2] 학술지 'The Singularization of History': Social History and Microhistory within the Postmodern State of Knowledge
[3] 학술지 Global History and Microhistory https://academic.oup[...] 2019
[4] 학술지 Global Microhistory: A Case to Follow https://www.cambridg[...] 2018
[5] 간행물 <文献レビュー>マイクロヒストリーとは何か : S. G. マグ ナッセン・L. スジャルト『マイクロヒストリーとは何か : 理論と実践』
[6] 서적 Shared Traditions: Southern History and Folk Cul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1999
[7] 서적 Il formaggio e i vermi Einaudi 1976
[8] 서적 Pueblo en vilo El Colegio de México 1968
[9] 간행물 ミクロストリアとはなにか--私の知っている2,3のこと
[10] 서적 Pickett’s Charge: A Microhistory of the Final Attack on Gettysburg, July 3, 1863 Houghton Mifflin 1959
[11] 간행물 The Brocas Book 1887-07
[12] 간행물 ミクロヒストリーと日常生活の歴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