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강 (푸젠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강(閩江)은 푸젠성(福建省)을 흐르는 강으로, 사계(沙溪), 부둔계(富屯溪), 건계(建溪) 세 하천이 남평(南平)에서 합류하여 형성된다. 하구에는 랑기도(琅岐島)가 위치하며, 흑꼬리물떼새, 중국흰날개갈매기, 철갑상어 등의 서식지로 람사르 협약에 등록되었다. 민강의 발원지는 지리적, 수문학적으로 논쟁의 대상이며, 고전계(古田溪)를 지류로 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민강 (푸젠성)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민강
중국어 (간체)闽江
중국어 (정체)閩江
병음Mǐn Jiāng
민어 병음Bân kang
푸저우어 로마자Mìng-gĕ̤ng
건녕어 로마자Ma̿ing-gó̤ng
지리
국가중국
위치푸젠성
발원지푸툰 강 (사오우시, 푸젠성)
사시 강 (산밍시, 푸젠성)
합류점 위치난핑시, 푸젠성
하구푸저우시, 타이완 해협
길이505 km
유역 면적60,922 km²
평균 방류량1980 m³/s
수계
왼쪽 지류런서우 강, 젠시 강 및 지류
오른쪽 지류시시 강, 진시 강, 사시 강, 유시 강, 다장 강

2. 지리

민강(푸젠성) 상류에는 연성현 부근에서 발원하여 북동쪽으로 흐르는 사계(沙溪), 숭링에서 발원하여 남동쪽으로 흐르는 부둔계(富屯溪), 무이산과 선하령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흐르는 건계(建溪)의 세 하천이 있다. 이 세 하천의 유로가 되는 강변에는 영안시, 사무시, 건주시 등의 도시가 있다.

세 하천은 남평시(南平)에서 합류하여 민강이 된다. 사계와 건계는 거의 일직선으로 같은 단층선의 계곡을 흐르며, 부둔계와 민강 본류도 거의 일직선이지만, 유향은 단층의 산과 마주하고 있다. 이들 하천은 십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남평이 그 중심이다.

민강의 유로는 모두 해발 1000m의 산록에서 흘러내려오지만, 남평에 이르면 50m 이하로 낮아진다. 남평 상류는 급류이며 여울이 많다.

2. 1. 사계(沙溪)

민강 상류의 세 하천 중 하나인 사계(沙溪)는 연성현 부근에서 발원하여 북동쪽으로 흐른다.[1] 사계는 건계와 거의 일직선으로 같은 단층선의 계곡을 흐른다.[1] 강변에는 영안시 등의 도시가 있다.[1]

2. 2. 부둔계(富屯溪)

숭링에서 발원하여 남동쪽으로 흐르는 하천이다. 강변에는 사무 등의 도시가 있다.[1]

남평 상류는 급류이며 여울이 많다(특히 부둔계). 소형 선박으로도 수운(舟運)이 매우 어려워 "하나의 난소의 높이는 1장(10척)이나 되며, 사무(邵武)는 천상에 있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이다.[1]

2. 3. 건계(建溪)

무이산과 선하령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흐르는 강이다. 강변에는 건주시(建甌) 등의 도시가 있다.[1]

사계(沙溪)와 건계(建溪)는 거의 일직선으로 같은 단층선의 계곡을 흐른다.[1]

2. 4. 합류 및 하류

민강(閩江) 상류에는 다음 세 개의 하천이 있다.

  • 사계(沙溪): 연성현(連城) 부근에서 발원하여 북동쪽으로 흐른다.
  • 부둔계(富屯溪): 숭령(杉嶺)에서 발원하여 남동쪽으로 흐른다.
  • 건계(建溪): 무이산(武夷山)과 선하령(仙霞嶺)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흐른다.


이 세 하천은 남평시(南平)에서 합류하여 민강이 된다. 사계(沙溪)와 건계(建溪)는 거의 일직선으로 같은 단층선의 계곡을 흐르며, 부둔계(富屯溪)와 민강(閩江) 본류도 거의 일직선이지만, 유향은 단층의 산과 마주하고 있다. 이들 하천은 십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남평(南平)이 그 중심에 해당한다.

민강(閩江)의 유로는 모두 해발 1000m의 산록에서 흘러내려오지만, 남평(南平)에 이르면 50m 이하로 낮아진다. 남평(南平)에서 상류는 급류이며 여울이 많아(특히 부둔계(富屯溪)) 소형 선박으로도 수운(舟運)이 매우 어렵다. “하나의 난소의 높이는 1장(10척)이나 되며, 사무(邵武)는 천상에 있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이다.

하류에서는 유세가 완만해지지만, 하상에는 자갈이 많다. 수구진(水口镇|수구진중국어)에 이르면 민강(閩江)은 고전계(古田溪)를 받아들여 난소가 거의 없어지고 소형 선박이 언제든지 통행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복주시(福州市)의 외항인 마미구(馬尾)가 되면 대형 선박이 항행할 수 있다.

타이완 해협(臺灣海峽)으로 유입되는 하구에는 랑기도(琅岐島)가 있으며, 그 남동부 일대의 하구 습지와 맹그로브는 흑꼬리물떼새, 중국흰날개갈매기, 철갑상어 등의 서식지로, 2022년에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 다만, 외래종인 갯잔디와 부유쓰레기의 침입은 문제가 되고 있다.[1]

2. 5. 하구

민강은 타이완 해협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구에 랑기도가 있으며, 그 남동부 일대의 하구 습지와 맹그로브는 흑꼬리물떼새, 중국흰날개갈매기, 철갑상어 등의 서식지이다. 2022년에 이 지역은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1] 다만, 외래종인 갯잔디와 부유쓰레기의 침입은 문제가 되고 있다.[1]

3. 지류

민강의 주요 지류로는 구전계(古田溪)가 있으며, 핑난현(屏南県) 남부 산지에서 발원하여 구전현(古田県), 민청현(閩清県)을 거쳐 수구진(水口鎮)에서 민강으로 합류한다.

3. 1. 고전계(古田溪)

고전계(古田溪)는 핑난현(屏南県) 남부의 산지에서 발원하여, 구전현(古田県)·민청현(閩清県) 두 현을 흐르며, 구전현 수구진(水口鎮)(水口镇 (古田县))에서 민강(閩江)에 유입된다. 총연장은 약 90km, 유역면적은 1790km2이다. 강수량이 충분하고, 흐름이 급하다.

구전현 경계의 고산·협곡 지대에서는 계류의 낙차가 300m에 달하며, 발전소 건설에 적합하다. 그 때문에 1951년에 구전계에서 구전발전소(古田発電所)(古田水库) 건설 공사가 시작되었다. 이어서 제2, 제3, 제4 발전소 공사도 현재 모두 완료되어, 12기의 터빈 발전기가 강력한 전력을 보내고 있다.

4. 발원지 논쟁

민강의 전통적인 발원지는 분지 북서쪽 끝으로, 중국에서는 최상류가 북시 시내(Beixi Brook)로 불린다. 그러나 북시는 지리적 또는 수문학적 발원지가 아니다.

4. 1. 지리적 발원지

민강의 전통적인 발원지는 분지 북서쪽 끝으로, 중국에서는 최상류가 북시 시내(Beixi Brook)로 불린다. 이 발원지를 기준으로 하면 강의 총 길이는 505km이다. 그러나 실제 북시는 지리적 또는 수문학적 발원지가 아니다. 가장 먼 지리적 발원지는 수이첸(Shuiqian)이며, 수이첸-샤시-민강은 580km의 길이를 가진다. 다른 강인 진시(Jinxi)는 두 강이 만나는 지점에서 북시-푸툰(Beixi-Futun)보다 크며, 따라서 수문학적 발원지와 연결된다.

4. 2. 수문학적 발원지

민강의 전통적인 발원지는 분지 북서쪽 끝으로, 중국에서는 최상류가 북시 시내(Beixi Brook)로 불리는 곳이다. 이 발원지를 기준으로 하면 강의 총 길이는 505km이다. 그러나 실제로 북시는 지리적 또는 수문학적 발원지가 아니다. 가장 먼 지리적 발원지는 수이첸(Shuiqian)이며, 수이첸-샤시-민강은 580km의 길이를 가진다. 진시(Jinxi)는 두 강이 만나는 지점에서 북시-푸툰(Beixi-Futun)보다 크며, 수문학적 발원지와 연결된다.

5. 역사·문화적 측면

옛부터 연안 주민들은 이곳을 "용(龍)"이라고 불렀다. 수운과 관개가 편리하고, 경치가 기이하고 아름답기 때문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